• 당원교육
  • 당비납부
  • 당비영수증
    출력
  • 당비납부내역
    확인

[정책] 정책제안/토론

  • 장애여성정책안 - 2004년 심상정 대표의 공약

이중차별’ 굴레 벗겨내야 장애여성 자립, 사회적 지원강화

● ● ●

공중화장실에는 남자용, 여자용, 장애인용 세 가지 공간이 있다. 장애인도 분명 남성과 여성으로 구분되는데 이들만은 왜 함께 사용해야 하는가. 우리사회가 장애인의 인권에 얼마나 무심한 지를 보여주는 대표적 사례다.

특히 장애여성은 장애인 차별에 더해 성차별까지 ‘이중차별’ 속에 살아가고 있지만, 이 문제는 사회적 관심의 사각지대에 놓여 있다. 장애여성에 대한 차별은 가족 안에서 시작해 학교, 직장, 지역 등 모든 사회영역에서 이루어진다. 많은 장애여성이 집밖으로 나가지도 못한 채 인간의 기본적 권리조차 박탈당하며 살아가고 있다.

학력 중졸이하 77%, 무학 27.8%

보건복지부의 장애인실태조사(2005)에 따르면, 중졸이하 학력의 장애여성이 전체 장애여성의 77%나 된다. 반면 대학이상은 5%로 장애남성(14%), 전체여성(20.6%)보다 매우 적다(2000년 현재). 특히 무학은 27.8%로 장애남성(7.4%)보다 훨씬 많은 실정이다.

학교를 못 다니거나 중퇴한 이유로는 “집에서 다니지 못하게 했다”는 응답이 20.1%(장애남성 2.2%)에 이르러 가정 안에서 여성에 대한 가부장적 차별이 이루어짐을 엿볼 수 있다.

월평균수입 24.4만원, 26.9%는 전혀 없어

교육기회의 차별은 경제활동에서 성별 격차로 이어진다. 장애남성의 44%가 취업상태인 반면 장애여성은 19.7%에 불과하다. 취업 장애여성의 종사상 지위를 보면, 일용?임시노동자(39.6%)와 무급가족종사자(25.7%)가 가장 많고 상용직노동자는 11.6%에 불과하다.

장애여성의 근로소득과 개인소득(금융?연금 등)을 포함한 월평균 수입은 24.4만원으로 2005년 1인가구 최저생계비 40만1천원에 크게 못미치며, 전혀 소득원이 없는 장애여성도 26.9%로 나타나 경제적 빈곤이 심각한 상태다.

혼자서 산후조리 27.1% 

장애여성 중 임심기간 정기검진을 받는 비율은 62.3%, 37.7%는 정기검진을 받지 못하고 있다. 비장애여성의 산전진찰율(2003년 98.9%)과 견줘 매우 낮은 비율이다. 일반병원에서는 잘 받아주지 않아 대학병원 같은 큰 병원을 찾아야 하는데 이동불편, 비용부담 등 때문에 스스로 검진을 꺼리기 때문이다.

장애여성은 산후조리를 대부분 친정이나 시댁식구가 해주고 있으며, 돌봐주는 사람이 없었던 경우도 21.7%나 돼 산후조리 서비스, 특히 장애인을 잘 이해하는 산후조리사가 필요하다.

▲장애인 차별철폐 집회(2004.4.20)

성폭력피해자 쉼터 전국에 두 곳뿐

장애여성은 폭력 대처능력이 크게 떨어져 가정폭력과 성폭력에 노출될 위험이 크다. 그러나 장애여성 성폭력상담소는 전국에 15곳, 보호시설(쉼터)은 전국에 단 2곳뿐으로 매우 부족한 실정이다.

성폭력특별법 중 장애인에 대한 간음조항은 ‘장애’와 ‘항거불능’을 별도요건으로 규정하고 있다. 그런데 1, 2급 정신지체 장애인의 경우 성폭력 피해자의 항거불능 상태가 인정되지 않아 가해자에게 무죄판결이 내려지고 있다. 또 경찰과 검찰의 수사와 재판과정에서 장애여성의 특수성이 고려되지 않는 경우가 많아 법률적 지원체계와 보호장치 마련이 시급하다.

장애여성 지원을 위한 정책대안

장애여성 더블카운트제 도입?장애인 의무고용율 5%로 상향조정, 장애여성 더블카운트제(할증제의 일종) 도입?장애여성에게 맞는 직업교육 및 취업알선?장애여성 창업지원프로그램 개발

장애여성 소득보장과 주거보장생업자금 융자제도 확대?본인과 자녀 학자금융자 확대?영구임대아파트 또는 공공임대주거시설 입주 우선순위?주택구입자금과 전세자금 지원

장애여성의 건강권과 모성권 보장?중증장애여성을 위한 의료비 지원범위 확대?장애여성 출산 전문병원 설치?장애여성 전문 산후조리사 양성과 파견서비스 실시?영아 양육도우미, 자녀 학습도우미 등 지원

활동보조인서비스 강화?활동보조인 서비스 자부담 폐지와 월 180시간 상한 폐지?장애여성 특성에 맞는 활동보조인서비스 개발과 성별 활동보조인 파견?활동보조인 성폭력교육 의무화

장애여성 성폭력상담소?보호시설(쉼터) 확대?성폭력특별법 개정(장애여성 관련 독소조항 개정)?경찰?검찰 수사와 재판 과정에서 장애여성을 위한 법률지원체계와 보호장치 마련(장애특성과 의사소통상 문제 고려)?시설종사자와 자원봉사자에 대한 성폭력교육 의무화?장애여성 성폭력상담소 증설과 운영비 지원강화?장애여성 성폭력피해자 보호시설(쉼터) 광역시도별 1곳 이상 설치

이상은 2004.년 심상정 대표의 공약이다. 대부분 그 공약들은 미해결과제들이다. 아직도 장애여성들은 곳곳에서 성폭력을 당하고도 쉼터에 입소가 어려운 실정이고, 일자리도 없고 부양의무제에 걸려 영구임대 지원도 못받고 60만여만원 남짓한 기초연금으로 30만원의 월세를 힘들게 부담하며 살고 있다.  이번 총선 의제에선 그래도 진보라하는 우리당에서 장애인을 비롯한 사회의 소수자들이 살만한 정책 발굴에 힘썼으면 한다.
참여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