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논평] 이기중 부대변인, 국립국어원 ‘근로자’가 바람직하다는 입장 관련

[논평] 이기중 부대변인, 국립국어원 ‘근로자’가 바람직하다는 입장 관련

 

'근로자의 날'은 '노동절'로 다듬어 쓰는 것이 바람직하다.

 

국립국어원이 SNS를 통해 "'노동절'은 1963년에 '근로자의 날'로 이름이 바뀌었다. 또한 '노동자'는 '근로자'로 다듬어 쓰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밝혔다.

 

현행법상 노동절의 공식명칭이 '근로자의 날'임은 유감스럽게도 사실이나, 이는 바로잡아야 할 구시대의 유물이다.

 

5월 1일은 1886년 미국의 노동자들이 8시간 노동 쟁취를 위해 투쟁했던 날이며, 전세계 노동자들의 기념일이다. 우리나라에서도 노동자들이 일제시대부터 해방 후까지 5월 1일을 노동절로 기념해왔다.

 

'근로자의 날'이라는 명칭은 1963년 군사독재정권이 만든 것이며, 그 날짜도 대한노총 창립기념일인 3월 10일이었다. 노동자들의 부단한 투쟁으로 1994년 노동절을 5월 1일로 바꾸었으나, 여전히 그 이름은 '근로자의 날'로 남아있다. 세계의 노동자들이 노동절을 기념하는 오늘에, 50년전 군사독재정권이 제멋대로 붙인 이름을 여전히 공식명칭으로 쓰고 있는 것은 부끄러운 일이다. 국립국어원이 이와 같은 역사를 모르고 있었다면 심히 유감스럽다.

 

"'노동자'는 '근로자'로 다듬어 쓰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구절에선 탄식이 나온다. '노동자'가 표준어가 아닌 비속어라도 된다는 말인가.

 

국립국어원의 표준국어대사전에서는 '노동'은 "사람이 생활에 필요한 물자를 얻기 위하여 육체적 노력이나 정신적 노력을 들이는 행위"로, '근로'는 "부지런히 일함"으로 정의하고 있다. 근로보다 노동이, 근로자보다 노동자가 오히려 가치중립적 의미를 담고 있는 말이다. 노동이라는 말을 불온시하고 근로라는 말로 대체해온 것은 냉전,독재시대의 유산이다. 모든 노동자는 국가를 위해 부지런히 일만 해야 한다는 구시대의 사고방식을 이제는 벗어날 때도 되었다.

 

정의당의 심상정 원내대표는 '근로자의 날'을 '노동절'로 바로잡자는 법안을 발의한 바 있으며, 이에 대해 여야를 막론하고 의견이 모아지고 있다. 무릇 이름을 바로잡는 것에서 정의가 시작되는 법이다. '근로자의 날'은 '노동절'로, '근로자'는 '노동자'로 다듬어 쓰는 것이 바람직하다. 국민들의 올바른 언어생활을 위해 노력하는 국립국어원이 오늘만큼은 '노동절'과 '노동자'의 의미에 대해 깊이 생각해보길 바란다.

 

2014년 5월 1일

정의당 부대변인 이기중

참여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