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3년간 장기요양시설 국공립 개설은 0.3%
- 최근 3년간 신설된 장기요양시설 9,355개중 국공립은 단 20개 개설
- 강은미 의원“장기요양 돌봄의 질을 높이기위해 공공요양시설 확충하고, 예산도 확대되어야”
  
정의당 강은미 국회의원(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연금개혁특별위원회)이 보건복지부가 제출한 최근 3년간 장기요양시기관 신설 개소 현황을 살펴본 결과, 총 9,355개 개소 중에 국공립은 0.3%인 단 20개뿐인 것을 확인했다. 대부분 민간이 개설한 개인설립 8,520개소, 법인설립 815개소로 나타났다.
 
노인돌봄이 활성화되기 위해서는 민간시설이 아닌 공공성을 높여 믿을 수 있는 기관을 늘리고, 공공을 모범사례로 삼아 민간기관의 질적향상을 도모해야한다.
  
이에 강은미 의원은 “민간요양시설은 새로 설립되는데, 꼭 필요한 공공요양시설은 제자리 수준”이라고 지적했다. 강 의원은 “돌봄의 질을 높이기 위해선 훨씬 더 많은 공공요양시설이 개소 되어야 하고, 예산도 확대되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붙임1] 최근 3년간 장기요양기관 신설 개소 현황
  
<최근 3년간 장기요양기관 신설 개소 현황>
(단위 : 개소, ‘23.9. 기준)
| 
			 구분  | 
			
			 계  | 
			
			 급여 종류  | 
			
			 설립구분  | 
		|||
| 
			 시설급여  | 
			
			 재가급여  | 
			
			 개인  | 
			
			 법인  | 
			
			 지자체  | 
		||
| 
			 ‘21년  | 
			
			 3,221  | 
			
			 743  | 
			
			 2,478  | 
			
			 2,937  | 
			
			 275  | 
			
			 9  | 
		
| 
			 ‘22년  | 
			
			 3,446  | 
			
			 689  | 
			
			 2,757  | 
			
			 3,146  | 
			
			 292  | 
			
			 8  | 
		
| 
			 ‘23년  | 
			
			 2,688  | 
			
			 478  | 
			
			 2,210  | 
			
			 2,437  | 
			
			 248  | 
			
			 3  | 
		
| 
			 합계  | 
			
			 9,355  | 
			
			 1,910  | 
			
			 7,445  | 
			
			 8,520  | 
			
			 815  | 
			
			 20  | 
		
| 
			 비율  | 
			
			 100%  | 
			
			 20.4%  | 
			
			 79.6%  | 
			
			 91.0%  | 
			
			 8.7%  | 
			
			 0.3%  | 
		
자료제공 : 보건복지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