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당원교육
  • 당비납부
  • 당비영수증
    출력
  • 당비납부내역
    확인
  • [강은미 국정감사 보도자료] 2021~2022년 주거급여 수급가구 중 생계·의료급여 탈락 가구 평균소득 681,468원


2021~2022년 주거급여 수급가구 중 생계·의료급여 탈락 가구 평균소득 681,468

 

- 2021~2022년 주거급여 수급가구 중 생계·의료급여 수급탈락가 구 43,329가구의 평균소득은 681,468
- 탈락가구 중 60만 원 미만 소득 가구는 24,411가구로 56%, 3000만원 미만 재산은 24,959명으로 57.6%
- 생계·의료급여 탈락 1인가구 평균소득수준, 생계급여 선정기준인 기준 중위소득 30% 미만
- 강은미 
의원 기초생활보장제도 사각지대의 민낯 드러나, 부양의무기준 폐지하고 기초생활보장제도 문턱 낮춰야

 

강은미 국회의원(정의당, 보건복지위원회)이 주거급여 수급가구 중 생계급여와 의료급여 수급 탈락한 43,329가구의 소득과 재산을 분석한 결과 해당 가구의 평균소득이 681,468원에 불과하고 그 중 1인가구 소득은 생계급여 수급기준에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기초생활보장제도 개요>

 

주거급여

의료급여

생계급여

소득인정액

(기준중위소득 기준)

43%

40%

30%

부양의무기준

폐지

유지

유지

 

<주거급여 수급가구 중 생계·의료급여 탈락가구 수>

 

 

 

 

 

 

 

 

(단위 : 가구)

구분

1인가구

2인가구

3인가구

4인가구

5인가구

6인가구

7인가구 이상

합계

가구수

32,310

8,510

1,648

588

209

50

14

43,329

 

<생계·의료급여 탈락자 소득수준>

 

(단위 : 가구, )

구분

합계

1인가구

2인가구

3인가구

4인가구

5인가구

6인가구

7인가구 이상

10만원 미만

3,331

2,831

335

106

42

14

2

1

10만원~20만원

537

415

86

27

7

2

-

-

20만원~40만원

11,971

11,340

541

69

16

4

-

1

40만원~60만원

8,572

6,914

1,510

118

23

6

-

1

60만원~80만원

6,617

5,008

1,472

104

23

10

-

-

80만원~100만원

4,278

3,023

1,094

119

32

9

1

-

100만원~120만원

2,324

1,281

868

135

35

5

-

-

120만원~140만원

1,569

565

865

99

30

8

2

-

140만원~160만원

1,124

326

657

100

28

12

1

-

160만원~180만원

827

200

449

139

29

5

5

-

180만원~200만원

667

110

301

194

43

17

1

1

200만원 이상

1,512

297

332

438

280

117

38

10

평균

681,468

537,375

959,603

1,428,371

1,772,069

2,058,640

2,723,670

2,580,597

기준중위소득 대비

27.6%

29.4%

34.1%

34.6%

34.2%

39.4%

 

*소득은 가구원수별 소득을 합산한 가구소득

 

구체적으로 전체 탈락가구의 74.6%를 차지하고 있는 1인가구 탈락 중 60만 원 이하 소득은 21,500가구로 탈락가구의 66.5%에 달하고 있다. 탈락한 1인가구의 평균소득은 537,375원으로 기준중위소득 대비 27.6%에 머물렀다. 이는 생계급여 소득기준(기준 중위소득의 30%)에도 못 미치는 수준이다. 1인 가구 중 기준중위소득 100% 이상으로 추정되는 200만 원 이상 소득 가구는 297가구로 단 0.09%에 불과하다.

 

가구재산도 1인가구의 경우 3,000만 원 이하 재산가액의 가구가 20,315가구로 62.9%를 차지하고 있고, 전체 평균 재산액은 3700여만 원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생계·의료급여 탈락자 재산수준>

 

(단위 : 가구, )

구분

합계

1인가구

2인가구

3인가구

4인가구

5인가구

6인가구

7인가구 이상

1000만원 미만

14,390

12,348

1,642

278

81

28

9

4

1000만원~

3000만원

10,569

7,967

1,972

419

147

52

9

3

3000만원~

5000만원

6,837

4,923

1,528

255

96

28

5

2

5000만원~

7000만원

4,849

3,219

1,313

208

74

25

7

3

7000만원~1

4,023

2,496

1,183

240

74

28

2

-

1억원 이상

2,661

1,357

872

248

116

48

18

2

평균

36,915,779

31,675,909

49,944,405

56,711,150

64,449,547

69,595,910

91,111,502

42,203,151

 

강은미 의원은 기준중위소득의 30%에도 미치지 못하고, 재산이 대도시에서 쪽방 전세도 어려운 3,000만 원에도 미치지 못하는데 부양의무기준과 처분이 어려운 재산으로 인해 기초생활보장제도에서 탈락하는 것이 복지 사각지대의 현주소다. 복지 사각지대 해소를 위해 부양의무제 기준을 폐지하고, 재산가액을 현실화 하는 등 기초생활보장제도의 문턱을 낮춰야 한다고 지적했다.

 
참여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