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당원교육
  • 당비납부
  • 당비영수증
    출력
  • 당비납부내역
    확인
  • [보도자료] 강은미의원, 생계급여 인상 및 농민물가 대책 요구

 

강은미 의원, 생계급여 인상 및

농민물가 대책 요구

 

-생계급여 등 중위 기준소득, 코로나19 물가상황 반영해 높여야

-농어업피해 대책없는 CPTPP중단하고, 비료값 인상 등 농민물가 대책 세워야

-한덕수 총리, 폭등한 비료값 인상분 내년에도 지원 약속

 

정의당 강은미 국회의원(보건복지위원회)은 오늘(27) 국회 본회의장에서 열린 대정부질의에서 한덕수 국무총리를 대상으로 생계급여 등 중위 기준소득 후퇴 문제와 CPTPP(환태평양경제동반자협정) 가입 등을 지적하며 이에 대한 대책을 요구했다.

 

강은미 의원은 생계급여와 관련하여 한 총리에게기준중위소득은 우리나라 복지사업 76개가 포함되는 등 국민 기초생활보장 급여 수준을 결정하는 기준이다. 그런데 기재부가 지난 25일 열린 중앙생활보장위원회에 기본증가율을 작년 3.02%보다 낮은 2.32%로 제시했다

 

부자감세는 131천억원을 하면서, 재정부담을 이유로 기준중위소득 인상율을 낮추는 것은 부자들에게 후하고 빈자들에게 박한 후안무치한 행위다라고 강하게 질타했다. 이에 한 총리는 적절선에서 인상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답변했다.

 

이어 강은미 의원은 CPTPP 가입 관련하여 이 협정의 관세철폐율은 과거 어느 자유무역협정보다 높아 농어업인들의 극심한 피해가 예상된다. 농민들에 대한 충분한 보호 대책이 없이 협정에 가입하는 것은 그렇지 않아도 어려운 국내 농업을 아예 포기하는 것이다고 질타했다.

 

마지막으로 강 의원은정부의 물가 대책에 농어민이 없다. 올해 추경부터 4차례 발표한 민생안정대책과 물가대책에는 농어업 생산자에 대한 물가 부담을 줄여주는 대책이 전무하다. 무기질 비료 가격은 작년 대비 100% 이상 상승하고, 쌀값은 45년 만에 최대폭으로 폭락했는데 비료값 지속 지원과 정부 수매를 통한 추가 시장격리 등 이에 대한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이에 한 총리는 비료값 지원을 지속하겠다고 답변했다.

 

*붙임1. 대정부질의 사진

참여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