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당원교육
  • 당비납부
  • 당비영수증
    출력
  • 당비납부내역
    확인
  • [배진교_국감] 공정위, 자체감찰로 적발한 징계, 5년 간 단2명

 

공정위, 자체감찰로 적발한 징계, 5년 간 단2

 

- 최근5년 간 징계 14명 중 12명은 외부기관 적발에 의한 조치
- 감사원 자체감사 평가에서 3년간째 최하위등급(D등급) 받아
- 배진교 의원, 경제검찰로 불리는 공정위의 높은 공직윤리 노력 필요

 

배진교 의원(정의당, 국회정무위원회)과 참여연대 행정감시센터(소장:이광수변호사)가 공정거래위원회(이하 공정위)로부터 제출받은 내부감찰과 징계현황 등을 분석한 결과, 2016년부터 20217월 말 기준 공정위 자체 감찰에 의해 적발하여 징계한 공직자 수는 2명에 불과했다. 이 또한 2019년 처분결과로 이후에는 ‘0’건 이었다.

 

이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붙임 1,2 참고), 20161월부터 20217월 말 기준으로, 징계에 이른 공정위 소속 공직자는 총 14명이다.(붙임 1 참고) 이 중 공정위가 아닌 수사기관 등 외부기관에 의한 적발로 징계에 이른 경우는 12명이다. 공정위가 직무감찰 등을 통해 스스로 적발하고 징계를 처분한 결과는 2명에 불과하다. 이를 양형으로 구분하면, 수사기관의 적발 등에 의한 징계의 경우, 견책 5, 감봉 3, 정직 1, 해임 1, 파면 이다. 공정위 자체적발의 경우에는 견책 1, 정직 1이다.

 

징계사유를 구체적으로 확인할 수 없으나 공정위가 제출한 수사개시 통보 및 처분현황, 조치결과에 따르면 2016, 음주운전으로 소속 공직자를 정직 1개월, 견책을 각각 처분했고, 폭행, 음주운전으로 소속 공직자에게 경고, 견책 처분을 내렸다. 한편 2018, 업무방해죄로 불구속구공판에 넘겨진 소속 공직자는 파면⋅해임에 처해졌다. 2019, 절도에 대해 기소유예받은 소속 공직자에 대해 견책이, 폭행에 대해 공소권없음 처분받은 소속 공직자에게 경고가 처분되었다.

 

공정위는 감사원이 「공공감사에 관한 법률」에 따라 매년 국가기관의 자체감사 기능을 점검하는데 감사원이 발표한 <자체감사활동 심사결과>2018년부터 2020년까지 3년 연속으로 최하위등급인 “D”를 받았다. (붙임 3)

 

 

공정위는 20179<공정거래위원회 신뢰제고 방안>, 20188<공정거래위원회 조직 쇄신 방안 등을 발표하고 공직윤리 강화를 강조했으나, 이행충돌 여부, 비위와 반부패를 자체적으로 관리?감독할 직무감찰이 제기능을 하고 있지 못한 것으로 해석된다.

 

배진교 의원은 공정위의 내부감찰이 부실한 이유는 전문성과 독립성의 부재에서 비롯된다며, 내부감찰, 자체감사를 담당하는 부서장인 감사담당관은 현행 법률 상 개방형직위로 임용하도록 되어있으나, 공정위는 10년째 자부처 출신으로 감사담당관을 채용하고 있다, “독립성과 전문성을 기대하기 어려운 구조라고 말했다. 이어서 내년이면 이해충돌방지법이 시행되는데, 경제검찰로 불리는 공정위의 높은 공직윤리를 확립하기 위한 노력과 제도를 강화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2021104()

정의당 국회의원 배 진 교

 

 

 

 

 

 

연도

직 급

성명

징계사유

징계일자

징계결과

2021

서기관

○○○

성실의무위반

2021.06.

감봉

2020

행정사무관

○○○

성실의무위반

2020.02.

감봉

서기관

○○○

성실의무위반

2020.02.

감봉

2019

행정주사

○○○

품위유지의무위반

2019.11.

견책

행정주사

○○○

성실의무위반

2019.11.

견책

고위공무원

○○○

품위유지의무 위반

2019.07.

정직

고위공무원

○○○

품위유지의무 위반

2019.04.

해임

2018

서기관

○○○

성실의무위반

2018.05.

견책

2017

전산사무관

○○○

청렴의무위반

2017.03.

견책

행정주사

○○○

품위유지의무 위반

2017.01.

견책

2016

전산주사

○○○

품위유지의무 위반

2016.10.

정직

전산주사보

○○○

품위유지의무 위반

2016.09.

견책

행정사무관

○○○

청렴의무위반

2016.09.

파면

행정사무관

○○○

청렴의무위반

2016.09.

파면

< 붙임 1> 최근 5년간 공정거래위원회 징계현황

[자료 : 공정거래위원회]

 

<붙임 2> 내부/외부 적발에 따른 징계 구분

 

년도

적발구분

징계종류

총합계

견책

감봉

정직

강등

해임

파면

2021

외부

0

1

0

0

0

0

1

자체

0

0

0

0

0

0

0

2020

외부

0

2

0

0

0

0

2

자체

0

0

0

0

0

0

0

2019

외부

1

0

0

0

1

0

2

자체

1

0

1

0

0

0

2

2018

외부

1

0

0

0

0

0

1

자체

0

0

0

0

0

0

0

2017

외부

2

0

0

0

0

0

2

자체

0

0

0

0

0

0

0

2016

외부

1

0

1

0

0

2

4

자체

0

0

0

0

0

0

0

[자료 : 공정거래위원회]

 

 

연도

등급

징계사유

2020

A등급

국토교통부, 중소벤처기업부, 해양수산부

B등급

고용노동부, 교육부, 금융위원회, 기획재정부, 법무부, 통일부, 행정안전부, 환경부

C등급

과학기술정보통신부, 국무조정실, 국민권익위원회, 국방부, 농림축산식품부, 문화체육관광부, 보건복지부, 산업통상자원부, 외교부

D등급

공정거래위원회

2019

A등급

교육부, 국토교통부, 중소벤처기업부, 해양수산부, 행정안전부

B등급

고용노동부, 과학기술정보통신부, 국무조정실, 국방부, 문화체육관광부, 외교부, 통일부

C등급

국민권익위원회, 금융위원회, 기획재정부, 법무부, 보건복지부, 산업통상자원부, 환경부

D등급

공정거래위원회, 농림축산식품부

2018

A등급

교육부, 해양수산부, 통일부, 국토교통부

B등급

행정안전부, 환경부, 고용노동부, 국무조정실, 기획재정부, 문화체육관광부, 외교부, 중소벤처기업부

C등급

보건복지부, 국방부, 산업통상자원부, 법무부, 금융위원회, 농림축산식품부, 국민권익위원회

D등급

공정거래위원회, 과학기술정보통신부

<붙임 3> 감사원 자체감사활동 심사결과 보고(2018~2020)

[자료 : 감사원]

 

참여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