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배진교의원, 한국주택금융공사, 전세자금보증 고신용자에게 쏠림
- 문재인 정부 4년간, 7등급 이하 12.7%에 그쳐, 전체 공급액 대비 10.5% 비중
- 코로나 19로 빈익빈 부익부는 더 심화
- 보증이 절실한 7등급 이하 보증지원 확대 강화 필요
저신용자에게 절실히 필요한 전세자금보증이 고신용자 위주로 유지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국회 정무위원회 소속 배진교 정의당 의원실이 한국주택금융공사로부터 받은 ‘2017~2020년까지 신용등급별 전세자금보증 공급 현황’ 자료에 따르면 문재인정부 4년 동안 전세자금 보증을 받은 ‘7등급 이하’(저신용자)는 모두 30만 2022건으로 전체(237만 6653건) 비중의 12.7%에 그쳤다. 금액으로는 15조 5857억원으로 이 또한 전체 금액(148조 3400억원) 중 10.5%에 불과했다.
한편 같은 기간 4~6등급 중신용자의 전세자금 보증 건수는 118만 4073건(49.8%, 76조 4254억원)이었고, 가장 신용도가 높은 고신용자의 보증 건수는 89만 549건(37.5%, 56조 3284억원)이었다.
전세자금 보증은 세입자가 은행에서 전세자금을 대출받고자 할 때 담보로 한국주택금융공사가 보증서를 발행하여 보증해 주는 것을 말한다. 세입자는 대출받는 은행에서 대출 및 보증업무를 모두 처리할 수 있다.
코로나 19상황으로 빈익빈 부익부 양극화가 더 심해졌다. 지난해 공급된 전세자금보증액은 50조 6948억원인데, 이 가운데 7등급 이하 저신용자가 차지하는 비중은 고작 8.8%(4조 4425억원)에 불과였다. 2019년(4조 9993억원)에 비해 3.6% 포인트 감소했다. 지난해 공급 건수도 7만 8327건으로 전체 비중의 10.9%에 그쳤다. 경제적으로 어려운 시기에 중저신용자가 되레 전세자금보증 받기가 어려워졌다는 얘기다.
배진교의원은 “전세자금은 실수요자에게 절실한 자금이라는 점에서 어느 누구보다 저신용자에 대한 보증지원이 필요함에도 7등급 이하 공급액이 10%수준을 벗어나고 있지 못한 것은 문제” 라며, “주택금융공사는 저신용자에 초점을 두고 이들을 위한 보증지원을 확대할 방안을 마련해 본래의 역할을 충실히 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 담당 : 공석환 보좌관 (010-6343-1451)
2021년 10월 1일 (금)
정의당 국회의원 배 진 교
<표1. 최근 5년간 전세자금보증 공급실적>
(단위 : 억원, 건)
|
구분 |
’17년 |
’18년 |
’19년 |
’20년 |
합계 |
|
공급금액 |
237,231 |
336,025 |
403,196 |
506,948 |
1,483,400 |
|
공급건수 |
465,358 |
564,257 |
629,924 |
717,114 |
2,376,653 |
<표2. 전세자금보증 신용등급별 보증 공급액>
(단위 : 억원, %)
|
구분 |
’17년 |
’18년 |
’19년 |
’20년 |
합계 |
|
총합계 |
237,231 |
336,025 |
403,196 |
506,948 |
1,483,400 |
|
1~3등급 |
91,914 |
105,556 |
113,197 |
252,617 |
563,284 |
|
(비율) |
38.7 |
31.4 |
28.1 |
49.8 |
38.0 |
|
4~6등급 |
121,066 |
193,281 |
240,005 |
209,902 |
764,254 |
|
(비율) |
51.0 |
57.5 |
59.5 |
41.4 |
51.5 |
|
7등급 이하 |
24,253 |
37,186 |
49,993 |
44,425 |
155,857 |
|
(비율) |
10.2 |
11.1 |
12.4 |
8.8 |
10.5 |
|
기타주1) |
(2)주2) |
2 |
1 |
4 |
7 |
<표3 신용등급별 보증공급 건수>
(단위 : 건)
|
구분 |
’17년 |
’18년 |
’19년 |
’20년 |
합계 |
|
총합계 |
465,358 |
564,257 |
629,924 |
717,114 |
2,376,653 |
|
1~3등급 |
183,443 |
192,712 |
187,525 |
326,869 |
890,549 |
|
(비율) |
39.4 |
34.2 |
29.8 |
45.6 |
37.5 |
|
4~6등급 |
223,030 |
297,987 |
351,145 |
311,911 |
1,184,073 |
|
(비율) |
47.9 |
52.8 |
55.7 |
43.5 |
49.8 |
|
7등급 이하 |
58,909 |
73,542 |
91,244 |
78,327 |
302,022 |
|
(비율) |
12.7 |
13.0 |
14.5 |
10.9 |
12.7 |
|
기타주1) |
(24)주2) |
16 |
10 |
7 |
33 |
주1) 신용평가 도입 이전 취급 건의 기한연장 건, 신용평가 생략 가능한 구상채권회수보증 등 신용평가 미실시 건 등
주2) 보증공급 취소 건 등으로 (-)값 발생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