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당원교육
  • 당비납부
  • 당비영수증
    출력
  • 당비납부내역
    확인
  • [배진교_국감] 중신용자 비중 늘리겠다던 카카오뱅크 시중은행보다 비중 낮아



배의원
, 중신용자 비중 늘리겠다던 카카오뱅크 시중은행보다 비중 낮아
 

- 신용대출, 7개 시중은행 중신용자 비중 14.9% vs 카뱅 8.5%
- 고신용자를 통한 수익성 위주 대출 관행 유지
- 인터넷전문은행 도입 취지 위배

 

올해 상반기 인터넷전문은행 카카오뱅크의 중신용자 대상 대출 취급 비중이 시중은행과 별 차이가 없거나 더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카카오뱅크는 올해 초 중신용 대출을 획기적으로 늘리겠다고 밝혔으나 여전히 인터넷전문은행 설립 취지에 부합하지 못하고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국회 정무위원회 소속 배진교 정의당 의원이 금융감독원의 은행권 신용대출 및 전세자금대출 자료를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KB국민·신한·하나·우리·SC제일·씨티·기업은행 등 7개 시중은행의 6월 말 기준 신용대출(잔액) 가운데 중신용자(신용점수 701~850) 비중은 14.9%였다. 카카오뱅크의 중신용자 비중은 8.5%로 더 낮았다. 반면 카카오뱅크의 고신용자(신용점수 851점 이상) 신용대출 비중은 88%, 7개 시중은행(80.2%)보다 7.8%포인트 높았다.

 

계좌 수를 기준으로도 7개 시중은행의 고신용자 신용대출 비중은 72.3%인 반면, 카카오뱅크는 85.6%에 이른다. 중신용자 비중은 시중은행이 19.9%인 반면 카카오뱅크는 10%에 그쳤다.

지난해 국정감사에서 카카오뱅크는 중신용자 대출 실적이 낮다는 이유로 거센 비판을 받았다. 금융위원회도 지난 4중금리 대출 제도 개선방안을 내놓고 핀테크 금융권에 중금리 대출 확대를 촉구했고, 카카오뱅크도 중신용자 대출을 획기적으로 늘리겠다고 밝힌 바 있다.

 

배진교의원은 “작년 국정감사에서 본 의원이 인터넷전문은행만의 3년간 신용대출 현황에 대한 분석을 통해 기간 중신용자에 대한 중금리 대출 비율이 낮다는 것을 지적했고, 이에 대해 금융위원회와 카카오뱅크 모두 향후 중금리상품을 확대시키겠다고 약속했지만 약속이 무색하다.”고 말했다.

 

이어 “시중은행과 마찬가지로 수익성 위주 대출관행을 이어오고 있고, 고신용자 비중이 오히려 높다는 점에서 인터넷전문은행이 중신용자에게 맞는 중금리 대출을 담당하게 하겠다던 정책은 실패한 것으로 보고 추가 제도개선에 나성야한다고 주장했다.<끝>

 

* 담당 : 공석환 보좌관 (010-6343-1451)

 

2021929()

정의당 국회의원 배 진 교

 

 

<1. 신용등급별 신용대출/전세자금대출 잔액 비중>

 

7개 시중은행(통합) 대출잔액 기준

 

 

 

 

 

 

 

(단위 : 백만원)

하한

상한

신용대출

전세자금대출

잔액

비율

우량/보통/

잔액

비율

우량/보통/

951

1,000

29,856,825

21.7%

 

25,114,959

21.7%

 

901

950

50,638,162

36.8%

 

40,363,933

34.9%

 

851

900

29,692,965

21.6%

80.2%

25,165,629

21.7%

78.3%

801

850

10,783,225

7.8%

 

11,423,414

9.9%

 

751

800

5,819,571

4.2%

 

5,857,566

5.1%

 

701

750

3,906,605

2.8%

14.9%

3,536,392

3.1%

18.0%

651

700

3,693,332

2.7%

 

2,424,773

2.1%

 

601

650

1,396,137

1.0%

 

745,780

0.6%

 

301

600

849,322

0.6%

 

434,509

0.4%

 

1

300

447,090

0.3%

4.6%

210,622

0.2%

3.3%

미산출

347,375

0.25%

 

442,060

0.38%

 

합계

137,430,610

100.0%

 

115,719,637

100.0%

 

 

 

 

 

 

 

 

 

카카오뱅크대출 잔액기준

 

 

 

 

 

 

 

(단위:백만원)

하한

상한

신용대출

전세자금대출

잔액

비율

우량/보통/

잔액

비율

우량/보통/

951

1,000

6,507,450

45.7%

 

2,061,830

30.7%

 

901

950

4,856,660

34.1%

 

2,130,310

31.7%

 

851

900

1,155,510

8.1%

88.0%

928,370

13.8%

76.1%

801

850

533,960

3.8%

 

554,980

8.3%

 

751

800

371,920

2.6%

 

383,260

5.7%

 

701

750

297,950

2.1%

8.5%

367,530

5.5%

19.4%

651

700

234,750

1.7%

 

129,450

1.9%

 

601

650

145,680

1.0%

 

95,480

1.4%

 

301

600

87,360

0.6%

 

66,050

1.0%

 

1

300

32,440

0.2%

3.5%

7,130

0.1%

4.4%

미산출

2,620

0.02%

 

750

0.01%

 

합계

14,226,300

100.0%

 

6,725,140

100.0%

 

 

7개 시중은행(통합) 대출 계좌수 기준

 

 

 

 

 

 

 

(단위 : )

하한

상한

신용대출

전세자금대출

잔액

비율

우량/보통/

잔액

비율

우량/보통/

951

1,000

1,130,432

19.5%

 

193,251

19.6%

 

901

950

1,817,838

31.4%

 

332,718

33.8%

 

851

900

1,241,224

21.4%

72.3%

217,575

22.1%

75.5%

801

850

556,210

9.6%

 

105,557

10.7%

 

751

800

345,430

6.0%

 

55,800

5.7%

 

701

750

252,295

4.4%

19.9%

35,442

3.6%

20.0%

601

700

236,840

4.1%

 

24,959

2.5%

 

501

600

93,518

1.6%

 

7,810

0.8%

 

401

500

60,724

1.0%

 

4,478

0.5%

 

1

400

35,689

0.6%

7.4%

3,411

0.3%

4.1%

미산출

25,724

0.44%

 

3,314

0.34%

 

합계

5,795,924

100.0%

 

984,315

100.0%

 

 

 

 

 

 

 

 

 

카카오뱅크대출 계좌수 기준

 

 

 

 

 

 

 

(단위:)

하한

상한

신용대출

전세자금대출

잔액

비율

우량/보통/

잔액

비율

우량/보통/

951

1,000

374,788

47.3%

 

19,234

21.9%

 

901

950

236,981

29.9%

 

24,281

27.7%

 

851

900

66,843

8.4%

85.6%

13,798

15.7%

65.3%

801

850

33,369

4.2%

 

9,697

11.1%

 

751

800

25,302

3.2%

 

7,350

8.4%

 

701

750

20,542

2.6%

10.0%

7,149

8.1%

27.6%

651

700

16,027

2.0%

 

2,506

2.9%

 

601

650

10,149

1.3%

 

2,025

2.3%

 

301

600

6,150

0.8%

 

1,490

1.7%

 

1

300

2,026

0.3%

4.3%

197

0.2%

7.1%

미산출

138

0.02%

 

11

0.01%

 

합계

792,315

100.0%

 

87,738

100.0%

 

<2. 신용등급별 신용대출/전세자금대출 계좌수 비중>

 

<자료 구분 기준>

1. 신용수준 : 은행마다 주로 관리하는 CB사 신용점수에 따라, NICE 또는 KCB 평점을 사용

차주의 기간 말 신용점수를 기준으로 구분

2. 미산출 : 미성년 또는 초고령자로 신용점수가 산출되지 않는 차주

3. 대상시점 : 본 자료는 '21.6월말을 기준으로 가계대출의 잔액 및 계좌수를 작성

 
참여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