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당원교육
  • 당비납부
  • 당비영수증
    출력
  • 당비납부내역
    확인
  • [보도자료] 강은미 의원, 1~2월 중대재해 분석결과 발표


 

강은미, 1~2 89건의 중대재해분석. 89명 사망, 11명 부상

전체 사망자 중 36명이 하청업체 노동자 (40%)

20211~2 중대산업재해 업종별, 사고유형별 분석 결과,

- 외국인노동자 사망비중 10%

- (업종별) 건설업(48%), 제조업(25%)

       - (재해유형) 떨어짐(38%), 끼임(17%), 부딪힘(13%), 맞음(9%), 깔림(8%)

 

  정의당 강은미 의원(국회 환경노동위원회)은 올해 1월~2월 발생한 중대산업재해 89건에 대해 분석 결과를 발표하였다.

중대재해 발생 89건 중 사망자는 89명, 부상은 11명이었다. 89건 사고 사업장 중 36곳이 하청소속 노동자 재해사고였다.

업종별로는 건설업이 43곳(48%), 제조 22곳(25%), 기타업종 24곳이다.

재해 유형별로는 추락사고가 34건(38%)으로 가장 많고, 끼임 15건(17%), 부딪힘 12건(13%), 맞음 8건(9%), 깔림 7건(8%), 무너짐 3건, 폭발·넘어짐·기타 각 2건, 화재·베임·감전·찔림 각 1건이다.

1~2월 중대재해 사망자 중 내·외국인 비율은 외국인노동자가 9명으로 전체 사망자의 10%를 차지했다.

올해 1월 중대대해처벌법이 제정된 후 기업들도 산재예방을 위한 조치들을 발표하고, 고용노동부에서도 산재감축을 위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지만 영세한 하청업체에서 산재발생이 집중되는 점, 건설업의 추락 사고가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는 등에 대해서는 시급한 예방조치가 필요하다고 본다.

 

강은미 의원은 지속적으로 (중대)산업재해 동향을 주의깊게 살펴볼 것이며, 중대재해처벌법 제정된 2021년 1월부터 매달 중대산업재해 분석을 통해 제정법에 보완할 부분과 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끝)

자료제공 : 고용노동부 중대재해 발생현황

참여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