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당원교육
  • 당비납부
  • 당비영수증
    출력
  • 당비납부내역
    확인
  • [국토부 인사청문회] 장기 공공임대주택 규모, 부풀려진 수치 바로잡아야 … 정부 발표 8%, 실제로는 5%에 불과해

장기 공공임대주택 규모, 부풀려진 수치 바로잡아야 정부 발표 8%, 실제로는 5%에 불과해

- 정부 발표 주거복지 2.0 로드맵에서 10년 분양전환, 전세임대 등 장기공공임대주택에 포함시켜 수치 부풀려

- 현행법에 따른 30년 이상 장기공공임대주택 계산하면 5%에 불과

- 심상정, “정책목표 수립과 달성 위해 법률적 정의에 맞게 바로잡아야

 

심상정 정의당 의원은 23일 변창흠 국토교통부 장관 후보자 인사청문회에서 장기 공공임대주택 규모가 정부가 발표한 8%가 아닌 5%에 불과하다며, 공공임대주택 공급정책을 명확한 수치에 맞춰 정책목표를 잡아야 한다고 지적했다.

 

현행 장기공공임대주택 입주자 삶의 질 향상 지원법에 따르면 장기임대주택은 국가 또는 지자체가 공급하는 30년 이상 임대주택이다. 그러나 정부는 주거복지 2.0 로드맵에서 10년 분양임대주택, 전세임대주택 등까지 포함해 장기공공임대주택 공급 규모를 부풀리며 장밋빛 전망을 발표해 혼란을 야기했다.

 

장기공공임대주택 입주자 삶의 질 향상 지원법

 

2(정의)

1. "장기공공임대주택"이란 다음 각 목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주택을 말한다.

. 30년 이상 임대할 목적으로 국가 또는 지방자치단체의 재정 및 주택도시기금법에 따른 주택도시기금(이하 "주택도시기금"이라 한다)을 지원받아 건설 또는 매입한 임대주택

. 50년 이상 임대할 목적으로 국가 또는 지방자치단체의 재정이나 주택도시기금을 지원받아 건설한 임대주택

 

이에 심 의원은 국토교통부 임대주택통계에서 30년 이상 공공임대 만을 계산한 결과 2019년 우리니라 장기공공임대주택은 92.6만호에 그쳤으며, 전체 주택 1,813만 호의 5.1%에 불과하다고 지적했다.

 

심 의원은 정부가 장기공공임대주택 목표를 제시하면서 10년 분양전환임대, 장기전세 등을 포함하는 것이 적절한가? 국토부는 앞으로 장기공공임대주택 비율을 법률적 정의에 맞게 바로잡아야 정책목표 수립과 달성이 가능해질 것이라고 강조했다.

 

첨부 : 질의 참고자료

 

* 인사청문회 예상질의 내용을 바탕으로 작성한 사전보도자료입니다. 인사청문회가 진행됨에 따라 실제 질의응답 내용을 참고하여 보도하여 주시길 부탁드립니다.

 
참여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