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당원교육
  • 당비납부
  • 당비영수증
    출력
  • 당비납부내역
    확인
  • [국감_보도자료] 강은미 의원, 내성천 흰수마자, 2020년에 확인되지 않아

수 신

각 언론사 담당자

문 의

임미애(010-5283-5626)

일 자

20201023()

제 목

내성천 흰수마자, 2020년에 확인되지 않아


영주댐 시험담수 1년 만에 내성천 생태계 크게 훼손

 

- 흰수마자는 ‘16년에 492개체 발견 이후 ’20년에 전혀 확인되지 않아

- 명승 회룡포 등 내성천 곳곳 자갈밭으로 변해

- 강은미 의원 서둘러 영주댐 방류하고, 내성천 생태계 복원 로드맵 마련해야

 

정의당 강은미 의원(국회 환경노동위원회)은 한국수자원공사가 제출한 영주댐 사후환경영향조사 관련 자료에서 당초 영주댐 방류 예정일인 1015일까지 내성천에 흰수마자가 전혀 확인되지 않은 것을 확인했다.

<첨부1> 참고


내성천은 우리나라에서 모래가 가장 발달한 강으로, 낙동강수계관리위원회와 국립환경과학원 낙동강물환경연구소가 실시한 ‘06년도 낙동강 수생태계 조사에서 집단 서식처가 있는 것을 발견했다고 했을 만큼 대표적인 흰수마자 서식처였다. 4대강사업 중 낙동강사업의 핵심사업으로 영주댐이 건설된 이후 2018년에 단 9개체만 확인되는 등 개체수가 급감했다. 환경부가 20199월에 영주댐 시험담수를 강행한 뒤, 댐 상류의 모래를 내보내는 배사문은 2019925일 이후 한 번도 열리지 않았다.

 

환경부 멸종위기 야생생물 급으로 지정된 법정 보호종인 흰수마자에 대해 대구지방환경청과 한국수자원공사가 공동조사한 멸종위기 담수어류 보호 및 복원을 위한 내성천 생태건강성 조사연구/2017.1에 따르면 흰수마자의 거의 유일한 서식 제한요인인 모래입도 조성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지속적이고 안정적으로 모래가 유입되어야 할 것이다라고 분석하였다.

 

2018년 내성천에서 흰수마자 급감이 확인된 상황에서 모래유입을 적극 검토해야 할 환경부가 오히려 영주댐 시설의 안전성 평가를 이유로 댐 상류의 모래이동을 완전히 차단하는 시험 담수를 1년 넘게 시행했다.

 

치어의 경우에는 모래입도에 더 민감할 수밖에 없다. 한국수자원공사가 강은미 의원실에 제출한 1~4차 내성천 흰수마자 치어 방류 관련 입도조사 결과에 따르면 1차 치어방류를 위해 20149월에 실시한 입도조사에서 미호교, 고평교는 1mm 미만의 모래입도 비중이 90%를 상회하였지만, 불과 2년 만인 20168월에 각각 30%, 20%대로 고운 모래의 비중이 급감하였다. <첨부2, 3> 참고

 

내성천의 모래입도는 올해 여름 54일간의 장마를 거치면서 댐 상류와 하류 간에 극단적인 변화양상을 보여주었다. 댐 상류 20km 지점의 석포교 일대는 홍수기를 거치며 모래톱이 넓어지고 비교적 고운 입도의 모래로 이루어진 반면 댐 하류 회룡포는 자갈을 크게 드러낼 정도로 고운 모래가 사라졌다. 홍수기에 모래의 이동을 막는 댐의 영향을 뚜렷하게 보여준 것이다.<첨부4> 참고

 

한편 수자원공사가 제출한 2019년 영주댐 사후환경영향조사에 따르면 산란회유로 개방문제와 관련하여 내성천 흰수마자는 낙동강 본류로 이동하여 산란하고, 발생한 치어와 산란을 마친 성어는 다시 내성천으로 올라와 서식하는 것으로 추정된다면서 “2014년부터 2019년까지 단년생 치어가 출현한 것은 대홍수가 발생하여 낙동강 본류 합수부에 모래가 퇴적되면서 산란회유로가 일시적으로 개방되었던 2016년뿐이다고 분석했다.

 

2015년 부산지방국토청은 문경시 영순면 일대에 있는 취수용 달지 하상유지시설을 보강 공사하면서 흰수마자의 이동에 심각한 장애가 있음을 지적했다. 부산국토청은 201812월에 흰수마자 보호대책으로 해당지역에 생태수로 조성공사를 시행하였다. 또 올해에는 2016년을 능가하는 대홍수가 발생하였지만, 내성천 9개 지점과 낙동강 1개 지점을 3차례에 걸쳐 6일간 조사한 사후환경영향조사 결과 흰수마자는 전혀 확인되지 않았다.

 

내성천의 흰수마자 서식처가 크게 훼손된 것을 회복하는 일은 영주댐 처리문제를 검토하지 않는 한 해결될 수 없을 것이라는 점에서 매우 중요한 사안이다.

 

정의당 강은미 의원은 “4대강사업으로 만든 영주댐은 낙동강의 하천환경 개선을 내세웠지만, 녹조를 내려 보내 오히려 내성천과 낙동강의 수질부담을 가중하고 있고, 동시에 우리나라 최고의 모래강인 내성천의 빼어난 경관을 훼손하고 흰수마자를 결국 멸종으로 치닫게 만들었다.”환경부는 좌고우면하지 말고 내성천의 생태계를 회복하는 복원 로드맵을 착수해야 한다.”고 비판했다.

 

강 의원은 특히 이번에 한 개체도 확인되지 않은 흰수마자 문제는 이번 시험담수의 영향이 적지 않다아직도 담수를 하고 있는 영주댐을 당초 약속한 대로 하루라도 빨리 전량 방류하여야 한다고 촉구했다.

 

<첨부1>

2020년 흰수마자 서식현황 조사결과

조사시기

 

조사지점

52627

92728

101314

11월 조사예정

자연개체

방류개체

자연개체

방류개체

자연개체

방류개체

자연개체

방류개체

치어

성어

치어

성어

치어

성어

치어

성어

치어

성어

치어

성어

치어

성어

치어

성어

수도교

0

0

0

0

0

0

0

0

0

0

0

0

 

 

 

 

석탑교

0

0

0

0

0

0

0

0

0

0

0

0

 

 

 

 

오신교

0

0

0

0

0

0

0

0

0

0

0

0

 

 

 

 

미호교

0

0

0

0

0

0

0

0

0

0

0

0

 

 

 

 

고평교

0

0

0

0

0

0

0

0

0

0

0

0

 

 

 

 

경진교

0

0

0

0

0

0

0

0

0

0

0

0

 

 

 

 

신음리

0

0

0

0

0

0

0

0

0

0

0

0

 

 

 

 

회룡교

0

0

0

0

0

0

0

0

0

0

0

0

 

 

 

 

삼강교

0

0

0

0

0

0

0

0

0

0

0

0

 

 

 

 

이목교(본류)

0

0

0

0

0

0

0

0

0

0

0

0

 

 

 

 

합계

0

0

0

0

0

0

0

0

0

0

0

0

 

 

 

 

자료출처: 한국수자원공사

한국수자원공사는 11월 조사예정을 밝혔지만, 영주댐 방류가 당초 1015일 계획되었고, 방류기간 중에는 현실적으로 조사가 불가능함.

 

<첨부2>

흰수마자 치어방류 관련 모래입도 조사 현황

조사지점

조사연월

모래입도 조성 비율(%)

비고

1mm미만

1~2mm

2mm이상

수도교

‘14.09

61.3

34.1

4.7

 

‘16.08

 

 

 

조사 미실시

‘20.04

 

 

 

조사 미실시

석탑교

‘14.09

55.7

41.7

2.6

 

‘16.08

 

 

 

조사 미실시

‘20.04

 

 

 

조사 미실시

오신교

‘14.09

85.1

11.1

3.8

 

‘16.08

38.3

41.5

20.2

 

‘20.04

 

 

 

조사 미실시

미호교

(1, 2차 치어방류)

‘14.09

93.7

6.1

0.1

 

‘16.08

35.9

40.0

24.1

 

‘20.04

 

 

 

조사 미실시

고평교

‘14.09

90.8

8.2

1.0

 

‘16.08

20.7

42.0

37.2

 

‘20.04

 

 

 

조사 미실시

경진교

‘14.09

 

 

 

조사 미실시

‘16.08

39.9

41.9

18.2

 

‘20.04

 

 

 

조사 미실시

신음리

‘14.09

 

 

 

조사 미실시

‘16.08

 

 

 

조사 미실시

‘20.04

 

 

 

조사 미실시

회룡교

(3차 치어방류)

‘14.09

 

 

 

조사 미실시

‘16.08

65.8

27.0

7.3

 

‘20.04

 

 

 

조사 미실시

삼강교

‘14.09

 

 

 

조사 미실시

‘16.08

25.0

47.7

27.3

조사 미실시

‘20.04

 

 

 

조사 미실시

이목교

‘14.09

 

 

 

(낙동강 본류)

조사 미실시

‘16.08

 

 

 

‘20.04

 

 

 

하풍리

(4차 치어방류)

‘14.09

 

 

 

조사 미실시

‘16.08

 

 

 

조사 미실시

‘20.04

50.1

44.1

5.8

 

(낙동강 본류)

 

각 방류 차수별 조사 시기

1·2차 치어방류 관련 입도조사 : ’14.09.

3차 치어방류 관련 입도조사 : ‘16.08.

4차 치어방류 관련 입도조사 : ’20.04.

 - 4차 치어방류 관련 내성천 조사 미실시

 

 

<첨부3>

내성천 흰수마자 치어방류 현황

방류일

방류 위치(하천)

방류 개체수()

‘14. 10. 15

(1)

경북 예천군 (내성천 미호교)

* 1·2차방류 관련 입도조사 ‘14.9 실시

(1·2차 계획 동시 수립으로 입도조사 1회 실시)

2,000

‘15. 05. 13

(2)

경북 예천군 (내성천 미호교)

* 1·2차방류 관련 입도조사 ‘14.9 실시

3,000

‘16. 10. 12

(3)

경북 예천군 (내성천 회룡교)

* 3차방류 관련 입도조사 ‘16.8 실시

5,000

‘20. 05. 29

(4)

경북 예천군 풍양면 하풍리 211-1 인근 (낙동강 본류)

* 4차방류 관련 입도조사 ‘20.4 실시

5,000

자료출처: 한국수자원공사

 

 

<첨부4> 2020년 영주댐 상 하류의 내성천 모래톱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DSC_2818 석포교 상류 L1.jpg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2400pixel, 세로 1600pixel

사진 찍은 날짜: 2020년 10월 22일 오후 11:25

카메라 제조 업체 : NIKON CORPORATION

카메라 모델 : NIKON D850

프로그램 이름 : Adobe Photoshop CC (Windows)

F-스톱 : 14.0

노출 시간 : 10/2000초

IOS 감도 : 400

색 대표 :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2020 0821 회룡포 DSC_7349s L.jpg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2400pixel, 세로 1602pixel

사진 찍은 날짜: 2020년 10월 22일 오후 11:14

카메라 제조 업체 : NIKON CORPORATION

카메라 모델 : NIKON D800E

프로그램 이름 : Adobe Photoshop CC (Windows)

F-스톱 : 13.0

노출 시간 : 1/200초

IOS 감도 : 400

 
참여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