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기아 해외 리콜 차량, 국내에서는 절반도 못 미쳐”
- 국산차 결함 신고 많음에도 일부만 ‘안전하자심의’ 대상
□ 결함 신고는 국산차, 리콜은 수입차
* 旣 보도자료 = m.blog.naver.com/713sim/222110031142
□ 자동차안전하자심의위, 국산차 심의 건수 수입차보다 낮아
○ 자동차안전하자심의위, 최근 3년간 국산차 심의 건수 및 비율 낮아
- 2019년 국산차 심의, 수입차 심의의 50%에 불과.
- 2017년 현대차 결함 공익제보가 이루어진 해를 제외하면 수입차 리콜, 권고 비중 多
|
연도 |
심의건수 |
심의결과 |
||||||
|
국산 |
수입 |
리콜 |
기각 |
기타권고 |
||||
|
국산차 |
수입차 |
국산차 |
수입차 |
국산차 |
수입차 |
국산차 |
수입차 |
|
|
2017 |
31 |
10 |
12 |
4 |
6 |
3 |
13 |
3 |
|
2018 |
11 |
10 |
5 |
8 |
5 |
2 |
1 |
0 |
|
2019 |
7 |
14 |
4 |
6 |
3 |
5 |
0 |
3 |
|
2020.9 |
5 |
8 |
2 |
2 |
3 |
5 |
0 |
1 |
□ 해외에서 리콜된 현대·기아차 75건, 동일 차량 국내선 31건만 리콜
○ 현대·기아차 75건 해외에서 리콜, 국내선 31건만 리콜해 44건 외면.
- 지난 4년간 현대차 해외 리콜 45건 중, 국내 리콜 17건 불과.
- 지난 4년간 기아차 해외 리콜 30건 중, 국내 리콜 14건 불과.
- 해외에서 리콜한 75건의 절반에도 못 미치는 31건만 리콜 시행.
|
연도 구분 |
2017년 |
2018년 |
2019년 |
2020년 9월 |
총계 |
|
국내리콜 미시행 건수* |
11건 |
5건 |
4건 |
8건 |
28건 |
|
국내리콜 건 수 |
2건 |
0건 |
8건 |
7건 |
17건 |
|
해외리콜 총계 |
13건 |
5건 |
12건 |
15건 |
45건 |
현대자동차 해외리콜 차량, 국내 리콜 미실시 건 수
|
연도 구분 |
2017년 |
2018년 |
2019년 |
2020년 9월 |
총계 |
|
국내리콜 미시행 건수* |
7건 |
3건 |
5건 |
1건 |
16건 |
|
국내리콜 건 수 |
1건 |
1건 |
5건 |
7건 |
14건 |
|
해외리콜 총계 |
8건 |
4건 |
10건 |
8건 |
30건 |
기아자동차 해외리콜 차량, 국내 리콜 미실시 건 수
□ 교통공단, 국민 안전 최우선에 둬야 자동차 산업 경쟁력도 지켜져
○ 국민 안전 우선해야 산업경쟁력도 성장
- “한 나라의 자동차산업은 그 나라의 제조업 경쟁력” 신념 갖고 일해야.
- 반복되는 문제 강력한 조치 있어야 세계 시장 산업경쟁력과 기술력 성장.
- 국민 안전 위협하지 않는 품질의 자동차가 국제적 인정도 받을 수 있어.
○ 교통안전공단 역할 중요, 주어진 소임 다해야
- 맡겨진 임무 다해야 국민 안전도 지키고, 자동차 산업도 지원 가능.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