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당원교육
  • 당비납부
  • 당비영수증
    출력
  • 당비납부내역
    확인
  • [배진교_국감보도] “비대면 금융 확산에··· 은행점포, 올 130곳 문닫는다”

[2020년 국정감사_금융위원회, 금융감독원]

 

4대 시중은행 지점·영업소 549개소 폐점, 일자리 7,570개 사라져
 

- 100년 넘게 운영한 신한은행 종로지점 203월 폐쇄
- 언택트, 핀테크 시대 은행구조조정 가속화 불가피
- 무분별한 통폐합은 일자리 축소와 금융서비스 사각지대 발생 우려

 

4대 시중은행의 지점 통폐합으로 인한 지점<영업소 포함>’(이하 영업점’) 축소와 그에 따른 일자리 증발이 현실로 확인됐다.

 

배진교의원(국회정무위원회, 정의당)이 금융감독원으로부터 제출받은 ‘4대 시중은행 영업소 통폐합 현황자료에 따르면, 4대 시중은행의 전국 영업점 수는 2015년 말 3,513개소에서 20208월말 2,964개로 48개월 만에 549개 영업점이 사라진 것으로 나타났다. 코로나19등의 여파로 올해 말까지 63개소가 추가로 폐점될 예정이다.

 

은행별로 보면 하나은행은 853개소에서 610개소로 28.4%에 해당하는 243개의 영업점을 폐점했다. 국민은행은 1,022개소에서 874개소로 148개 영업점을, 우리은행은 842개소에서 748개소로 94개 영업점을, 신한은행은 796개소에서 732개소로 64개 영업점을 폐점했다. <1>

 

지역별로는 서울특별시 281, 경기도 104개 영업점을 폐쇄한 가운데, 15년 대비 평균 폐점 비율인 15.6% 보다 높은 폐점 비율을 보인 지역은 대전, 대구, 서울, 부산(비율순)순으로 광역자치단체 내 영업점 통폐합을 통한 폐점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2>

 

최근 5년 내 폐쇄한 영업점 중 가장 오래 운영해 온 영업점은 신한은행의 종로3가 영업점으로 1919111일에 개설 해 올해 330일 폐점됐다. 100년 하고도 4개월을 운영했지만, 언택트와 핀테크가 중시되는 시대 변화 속에 은행 영업점에 대한 구조조정 칼날을 피하지 못했다. <3>

 

한편 실제 4대 시중은행의 현원 규모는 201566,865명에서 2020859,295명으로 7,570개의 일자리가 증발됐다. 영업점 통폐합과 그로 인한 폐점이 가속화된 결과다. <4>

 

은행연합회에 따르면 2016년 말 기준 7,100개였던 국내 은행 영업점은 올해 6월 말 6,591개로 감소했으며 올 상반기에만 117개 점포가 사라졌다. 그만큼의 좋은 일자리가 줄어들 수밖에 없다.

 

배진교의원은 은행은 전 국민이 대상인 금융서비스라는 점에서 개별 시중은행이 이윤만을 우선해 오프라인 서비스를 과도하게 축소해서는 안된다.”, “시대 변화에 따라 은행 영업점의 구조조정이 일부 이뤄지더라도, 시중은행이 영업점을 무분별하게 없애면 온라인 금융서비스 접근이 어려운 노인층을 비롯한 취약계층에 대한 금융서비스 사각지대가 발생될 수 있다.”고 우려를 표했다.

 

이어, “금융당국은 은행 영업소 축소로 인해 금융서비스 취약계층에 대한 사각지대가 발생하지 않도록 은행지점 폐쇄 영향평가절차 과정에서 폐점이 예정되는 지역 주민의 의사가 반영될 수 있도록 하고, 폐점 확대에 따른 보완책도 함께 마련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 담당 : 공석환 보좌관 (010-6343-1451)

 

2020107()

정의당 국회의원 배 진 교

 



 

<1> 최근5, 4대 시중은행 영업점 현황 (단위 : 개소, 연말기준)

 

은행명/기준

2015

2016

2017

2018

2019

20208월말

2020년 말(예정)

3,513

3,332

3,123

3,086

3,031

2,964

2,901

국민

1,022

1,005

924

907

883

874

874

신한

796

762

738

741

737

732

719

우리

842

780

765

758

757

748

714

하나

853

785

696

680

654

610

594

 

 

<2> 최근 5, 4대 시중은행 지역별 폐점 및 운영지점 현황 (단위 : 개소, %)

 

지역(광역)

폐점수

(a-b)

(a-b)/a*100

운영지점 수

2015

(a)

2016

2017

2018

2019

208월말

(b)

합계

549

15.6

3,513

3,332

3,123

3,086

3,031

2,964

서울특별시

281

18.5

1,516

1,419

1,325

1,312

1,283

1,235

대구광역시

26

20.8

125

122

109

106

106

99

대전광역시

27

23.3

116

109

100

95

93

89

부산광역시

33

15.9

208

201

187

185

182

175

광주광역시

8

13.6

59

58

54

53

52

51

인천광역시

13

7.7

169

164

156

155

151

156

울산광역시

1

2.2

46

45

45

44

44

45

세종특별자치시

-2

-15.4

13

14

15

16

16

15

경기도

104

13.3

780

740

698

691

680

676

경상남도

12

12.9

93

91

84

83

83

81

경상북도

11

14.1

78

75

68

68

68

67

충청남도

11

13.6

81

78

74

73

69

70

충청북도

10

15.2

66

60

57

56

56

56

전라남도

1

2.2

45

45

45

44

44

44

전라북도

8

15.1

53

51

47

46

45

45

강원도

5

10.0

50

45

44

44

44

45

제주도

-

0.0

15

15

15

15

15

15

 

 

<3> 최근 5, 지점 통폐합으로 없어진 영업점 중 가장 오랜 기간 운영한 지점

 

은행명

영업점 명

개설 연월

폐점 연월

해당 영업점 주소

신한은행

종로3

1919.11.01

2020.03.3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 128

우리은행

삼천포지점

1936.10.

2016.07.

경상남도 사천시 서부시장길 33(동동)

하나은행

청계4

1960.04.21

2018.06.11

서울특별시 종로구 청계천로 185 (예지동)

KB국민은행

공주중동

1963.02.01

2020.07.10

충청남도 공주시 웅진로 168

 

 

<4> 최근 5, 4대 시중은행 현원 변화 (단위 : )

 

은행명/기준

2015

2016

2017

2018

2019

20208월말

66,865

65,012

60,475

60,439

60,029

59,295

국민

20,899

20,676

18,347

18,111

17,958

17,497

신한

14,694

14,601

14,226

13,974

14,167

14,136

우리

15,958

15,649

14,356

15,189

15,150

14,788

하나

15,314

14,086

13,546

13,165

12,754

12,874

*현원 : 고용형태는 정규직, 무기계약직, 기간제계약직으로 은행 직원으로 포함된 현황임

 
참여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