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당원교육
  • 당비납부
  • 당비영수증
    출력
  • 당비납부내역
    확인
  • [보도자료] 이은주 의원, 68만여명 국가공무원 대상 ‘성폭력·성희롱 신고센터’엔 상담사 단 1명


 

 

성폭력’ 국가·지방공무원에
견책·감봉솜방망이 징계?

68만여명 국가공무원 대상 성폭력·성희롱 신고센터엔 상담사 단 1

성폭력·성희롱 신고센터 확대 개편 필요

국가·지방직 공무원자치단체장지방의회 성비위까지 총괄 관리방안 마련해야

 

최근 5년간(2015~2019성폭력·성희롱·성매매로 징계받은 국가공무원과 지방공무원이 각각 149, 461명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징계자 수는 해마다 증가했다. 특히 지방공무원의 성비위는 이 기간 약 2.5배 증가했지만중앙정부 차원에서 이를 관리하거나 견제하는 장치는 부실한 것으로 드러났다.
 

공직사회 성비위가 발생할 때마다 정부에선 원스트라이크 아웃’, ‘무관용 원칙’ 등 각종 성희롱·성폭력 대책을 내놓고 있지만현장에선 공무원들의 각종 일탈 행위를 막기에는 역부족인 셈이다국가직·지방직 불문 공직사회 성비위 근절을 위한 실질적인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국회 행정안전위원회 소속 이은주 정의당 의원이 인사혁신처와 행정안전부로부터 각각 받은 최근 5년간(2015~2019국가공무원·지방공무원 성비위 징계 현황<표 참조>을 보면성비위로 징계받은 국가공무원은 2015년 177, 2016년 190, 2017년 227, 2018년 213지난해 242명으로 증가세를 보이고 있다.

같은 기간 같은 혐의로 징계받은 지방공무원도 각각 52, 77, 94, 112, 126명으로, 5년간 꾸준히 증가했다..

 

2015~2019년 국가공무원 성비위 관련 징계 현황

 구분국가공무원

성폭력

성희롱

성매매

합계()

2015년

 89

72

16

177

2016년

78

82

30

190

2017년

85

99

43

227

2018년

91

97

25

213

2019년

124

106

12

242

합계

467

456

126

1049


2015~2019년 지방공무원 성비위 관련 징계 현황

구분지방공무원

성폭력

성희롱

성매매

합계()

2015년

23

20

9

52

2016년

28

23

26

77

2017년

38

38

18

94

2018년

47

45

20

112

2019년

58

51

17

126

합계

194

177

90

461

지방공무원 2020년 1~6성폭력 25성희롱 25성매매 3
 

성폭력 범죄 가장 많아 … 견책·감봉 등 솜방망이징계


비위행위 중 가장 많은 유형은 성폭력이다.

최근 5년간 국가공무원 467지방공무원 194명이 성폭력으로 징계처분 됐다성희롱 징계자 수도 엇비슷하다같은 기간 국가공무원 456명과 지방공무원 177명이 성희롱으로 징계 됐다성매매로 징계된 자는 국가공무원 126지방공무원 90명이다.

국가공무원의 경우 징계 시 해임·파면까지 가는 경우는 390(37.2%)에 그쳤다특히 성폭력을 저질렀음에도 견책·감봉 등 경징계에 머문 경우가 87명이나 됐다.

지방공무원의 성비위 징계 양형을 보면 견책이 150명으로 가장 많았고감봉이 106명으로 경징계가 55.5%나 되었다성비위로 해임·파면 처분을 받은 경우는 58(12.6%)에 그쳤고성폭력을 저질렀지만 경징계 처분된 자는 82(17.8%)이나 됐다죄질에 비해 징계는 솜방망이 수준이다. 

 

2015~2019년 국가공무원 성비위 징계 양형

 구분

경징계

중징계

견책

감봉

정직

강등

해임

파면

성폭력

49

38

63

18

210

89

성희롱

69

98

183

32

64

10

성매매

58

37

14

0

9

8

합계

176

173

260

50

283

107

명(%)

349(33.3%)

310(29.6%)

390(37.2%)


2015~2019년 지방공무원 성비위 징계 양형

 구분

경징계

중징계

견책

감봉

정직

강등

해임

파면

성폭력

46

36

55

16

28

13

성희롱

54

46

45

17

12

3

성매매

50

24

12

2

1

1

합계

150

106

112

35

41

17

명(%)

256(55.5%)

147(31.9%)

58(12.6%)

 

지방공무원 2020년 1~6월 성비위견책 13·감봉 6·직 16·강등 3·해임 11·파면 4

 

부처별 징계 현황<붙임 자료 참조> 보면 해당 기간 징계자는 교육부(교원 포함)가 510(48.6%)으로수년 째 성비위 징계 최다기관이라는 불명예를 놓지 않고 있다.

같은 기간 성비위로 징계받은 경찰공무원은 218(20.8%)으로경찰청이 교육부에 이어 두 번째로 성비위 징계자가 많은 부처다성범죄 사건을 수사하고 처리해야 하는 경찰관들에 대한 시민들의 신뢰 하락으로 이어질 수 있다는 점에서 문제가 심각하다.
 

공직사회 성비위 사건 때마다 숱한 대책들 쏟아졌지만


이 같은 현황은 지금까지 발표된 공직사회 성비위 문제 근절을 위한 정부의 각종 대책들이 제대로 작동하지 않는다는 사실을 보여 준다.

실제 안희정 전 충남도지사 성폭력 사건 같이 사회적으로 공분이 이는 사건이 터질 때마다 정부 부처와 지자체는 다양한 대책을 내놨다. 

정부는 2017년 11월 직장내 성희롱·성폭력 근절 대책과 공공부문 성희롱 방지 대책에 이어 2018년 2월에는 관계부처 합동으로 공공부문 성희롱 성폭력 근절 보완대책을 발표했다같은 해 6월 공공기관의 장 등에 의한 성희롱·성폭력 매뉴얼’, 12월에는 전국적으로 확산한 스쿨미투’ 해결을 위한 교육 분야 성희롱·성폭력 근절대책가 나왔다지난해 인사혁신처는 성비위 징계 시효를 기존 3년에서 10년으로 연장하고징계위원회 성별 고려 의무화 대책을 내놨다. ‘국가공무원 성희롱·성폭력 신고센터도 설치했다하지만 이 모든 대책에도 불구하고국가·지방공무원들의 성비위는 감소세가 아니라 증가세를 보이고 있다는 점에서보다 실효성 있는 대책 마련이 시급한 상황이다.

 

지방공무원 비위의 경우 지방자치단체에 오롯이 맡겨져 있는 구조도 문제다국가공무원은 그나마 인사혁신처가 부처별 징계 현황과 사후 조치 결과 등을 파악하고 있지만지방공무원들의 비위·징계 현황 등은 모두 징계처분을 한 각 기관에서 보유·관리하고 있다지방행정을 관할하고 있는 행정안전부도 관련 세부현황 자료를 보유하지 않고 있다고 의원실에 회신했다지방공무원의 비위 징계는 일반적으로 지방자치단체 인사위원회의 의결을 거쳐 각 임용권자가 혐의자에게 직접 처분하는 방식으로 진행되기 때문에지방자치단체 내 성비위 사건이 은폐·축소되기 쉬운 구조라는 지적이 나온다.


국가공무원 성비위 날로 늘어나는데
신고센터 상담 인력은 단 1 

 

정부 성폭력·성희롱 신고센터는 상담 인력이 턱없이 부족한 실정이다.

성폭력 피해 사실을 공개하는 미투(me, too) 운동 확산을 계기로 인사혁신처는 지난해 417일 국가공무원 성희롱·성폭력 신고센터를 개설했지만단 1명의 상담 인력이 상주하면서 전화·메일·홈페이지를 통한 신고 접수를 모두 처리하고 있다전체 국가공무직 68149명을 대상으로 한 신고센터라는 게 무색할 만큼 빈약하기 그지없다.

(※인사혁신처에 따르면 신고센터 개설 이후 총 101건의 신고 접수이 중 95건은 상담 종결, 6건은 조사·심의 후 관계부처에 행위자에 대한 징계 요구직위해제 등 인사 조치 요구성희롱 예방교육 실시 조치를 요구함.)

이은주 의원은 국가공무원은 물론 지방공무원최근 연이어 문제가 된 자치단체장지방의원들의 성비위 현황조치 현황까지 중앙에서 일괄적으로 관리할 방안이 필요해 보인다고 말했다.

이 의원은 또 이왕에 만든 국가공무원 성희롱·성폭력 신고센터는 설치 취지에 맞게 역할을 잘 할수록 인력보강 등 확대·개편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

 

<붙임 자료첨부파일-인사혁신처 제출 자료

참여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