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당원교육
  • 당비납부
  • 당비영수증
    출력
  • 당비납부내역
    확인
  • [보도자료] 류호정 의원, 에너지 공공성 확보로 그린뉴딜의 토대 쌓아야

 

류호정 의원, 에너지 공공성 확보로 그린뉴딜의 토대 쌓아야

에너지 공공성을 위한 간담회 자리에서, 발전노조 등 각 단위 노조 현안 청취하고, 정부 식 그린뉴딜 정책의 위험성 환기해

 
  • 에너지노동사회네트워크 가입 단위 (발전노조, 공공운수노조 한국가스공사지부, 한국가스기술공사 노동조합, 한수원노동조합) 대표자들의 현장 목소리 들어
  • 꾸준히 제기되어 온 기후위기의 심각성 인지하고, 담대하게 재생에너지 비율 높여야
  • 에너지 민영화 담론으로 전선을 구축하는 문재인 정부식 그린뉴딜 정책의 위험성 인지하고, 공공성에 대한 공감대 형성해야
 

715일 국회의원회관에서 에너지 공공성을 위한 간담회가 진행되었다. 정의당 류호정 국회의원 주최로 진행된 간담회 자리에는 정의당 이헌석 생태에너지본부장, 권영국 노동본부장, 에너지노동사회네트워크 신현규 공동대표, 구준모 기획실장, 발전노조 유승현 서부발전본부장, 박정규 남동발전본부장, 남윤철 사무처장, 가스공사지부 송규석 지부장, 김태국 정책국장, 가스기술공사지부 서홍석 지부장, 소연섭 사무처장, 한수원 노조 노희철 위원장, 한순탁 기획처장 그리고 공공운수노조 이태경 연대사업실 부실장이 함께했다.

이날 간담회는 에너지노동사회네트워크의 발제로 시작되었다. 구준모 에너지노동사회네트워크 기획실장은 발제를 통해 에너지 전환과 연관된 주요 쟁점을 공유하고, 현 정부의 그린뉴딜 정책이 보이는 맹점을 지적했다. 구 기획실장은 사적 투자자 소유 모델의 재생에너지 산업 구조의 한계를 뛰어넘는, 가격 설정, 시장 보완, 이윤에 따른 참여를 넘어서는 재생에너지 사업 모델의 필요성을 제시했다. 이를 통해 계획적이고 정의로운 전환을

보장하는 재생에너지 투자가 필요함을 추가로 덧붙였다.

2018년 유엔 기후총회의 그레타 툰베리 연설을 인용하며, ‘에너지 민주주의운동을 통해 에너지 공공성을 확보하고, 궁극적으로 국가의 그린뉴딜 정책을 통한 탈탄소 사회로의 전환이 이루어져야 함을 강조하며 발제를 마쳤다.

구 기획실장의 발제에 류호정 의원은 문재인 정부식 그린 뉴딜 정책의 한계를 지적하며, 미래 세대와 지구를 위해 제대로 된 그린 뉴딜 정책 수립이 필요하다는 의견을 남겼다. 추가적으로 에너지노동사회네트워크 측은 발전시설 추가 건설 중단, 발전량 상한제 도입, 가스와 재생의 기저화, 발전공기업의 재편, 에너지 민영화, 에너지 자유화 중단, 민주적 전환기구 설치 등의 내용을 담은 공공 주도 에너지 전환을 위한 6대 정책과제를 제시했다.

이어 발전노조, 민주노총 전국공공운수노동조합 한국가스공사지부, 한국가스기술공사 노동조합, 한국수력원자력 노동조합의 현안에 대해 듣고, 이후 대응방안을 모색하기로 했다. .

 
참여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