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당원교육
  • 당비납부
  • 당비영수증
    출력
  • 당비납부내역
    확인
  • [윤소하_국감보도] 건강검진 수검률 분석 "장애인이 비장애인에 비해 건강검진 수검률 낮아"

[2019년 국정감사-보건복지부]

 

<건강검진 수검률 분석 - 장애인 격차>

장애유형별 수검률 분석

- 비장애인 대비 일반건강검진11.3%, 암검진8.8%, 구강검진7.7% 수검률 낮아

- 모든 검진에서 뇌병변장애, 정신장애, 신장장애인이 낮은 수검률 기록

- 장애 유형별 전문 수검기관 확대해야

 

윤소하의원(국회보건복지위원회, 정의당)이 국민건강보험공단으로부터 제출받은 2018년 장애인 건강검진 수검률 자료를 살펴보면, 우리나라 장애인이 비장애인에 비해 건강검진 수검률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1. 비장애인과 장애인의 건강검진 수검률 격차 (단위 : , %)

 

비장애인

 

격차

 

장애인

대상자

수검자

수검률

 

 

 

수검률

대상자

수검자

일반건강검진

18,810,805

14,487,802

77.0

 

11.3

 

65.7

1,100,963

723,371

암검진

21,057,502

11,427,257

54.3

 

8.8

 

45.5

1,784,985

811,267

구강검진

18,810,793

5,924,672

31.5

 

7.7

 

23.8

602,651

143,261

 

장애인이 비장애인에 비해 건강검진 수검률이 낮은 이유는 주로 장애인이 이동에 장애가 있고, 건물이나 시설이 장애에 친화적이지 않은 점, 건강검진기관에 장애인의 특성을 고려한 장비가 없는 경우, 의료진들이 장애에 대한 이해가 부족해 장애인에게 건강관리를 제공하는데 있어서의 한계가 있는 점 등의 이유이다. 비장애인에게는 크게 문제가 없는 검진항목이 장애인에게는 큰 어려움으로 작용할 수 있기 때문이다.

 

장애유형별로 건강검진 수검률을 살펴보면 뇌병변장애, 정신장애, 신장장애인이 전체적으로 수검률이 낮았다. 일반건강검진의 경우 뇌병변장애인은 45.7%, 정신장애인과 신장장애인은 44.7%로 평균 수검률보다 20%p낮게 나타났다. 암검진의 경우 정신장애인과 신장장애인이 각각 35.3%33.9%를 나타났고 뇌병변장애인은 30.2%였다. 자폐성장애의 경우 암검진 수검률이 8.7%밖에 되지 않았다. 장애인 평균에 비해 10~15%p 낮은 수치였다. 구강검진의 경우 신장장애인이 15.5%, 정신장애인이 14.0%, 뇌병변장애인이 13.9%의 수검률을 보였다.

 

2. 장애유형별 건강검진 수검률 현황 (단위 : , %)

 

일반건강검진

 

암검진

 

구강검진

장애유형별

대상자

수검자

수검률

 

대상자

수검자

수검률

 

대상자

수검자

수검률

합계

1,100,963

723,371

65.7

 

1,784,985

811,267

45.4

 

602,651

143,261

23.8

지체장애

602,651

433,796

72.0

 

955,764

485,521

50.8

 

602,651

143,261

23.8

뇌병변장애

89,999

41,174

45.7

 

168,815

51,099

30.2

 

89,999

12,492

13.9

시각장애

114,309

78,530

68.7

 

183,242

86,511

47.2

 

114,309

25,311

22.1

청각장애

128,859

83,513

64.8

 

229,549

100,406

43.7

 

128,859

25,860

20.1

언어장애

7,512

4,428

58.9

 

12,039

4,589

38.1

 

7,512

1,610

21.4

지적장애

58,368

33,918

58.1

 

69,868

22,492

32.1

 

58,368

12,045

20.6

자폐성장애

2,124

1,548

72.9

 

719

63

8.7

 

2,124

722

34.0

정신장애

42,093

18,823

44.7

 

72,082

25,755

35.3

 

42,093

5,885

14.0

신장장애

33,160

14,806

44.7

 

55,889

18,963

33.9

 

33,160

5,134

15.5

심장장애

1,985

1,234

62.2

 

3,388

1,486

43.8

 

1,985

445

22.4

호흡기장애

4,471

2,491

55.7

 

8,601

3,543

41.1

 

4,471

788

17.6

간장애

5,347

3,319

62.1

 

8,784

4,277

48.6

 

5,347

1,226

22.9

안면장애

1,317

967

73.4

 

1,724

922

53.4

 

1,317

383

29.1

장루요루장애

5,945

3,156

53.1

 

10,238

3,636

35.5

 

5,945

951

16.0

간질장애

2,823

1,668

59.1

 

4,283

2,004

46.7

 

2,823

634

22.5

 

암 종류별 수검률을 보면, 모든암검진에서 자폐성장애인, 뇌병변장애, 정신장애인이 낮은 수검률을 보이는 가운데, 대장암의 경우 지적장애인이 26.4%로 낮은 수검률을 보였고 간암의 경우 간장애인이 42.4%로 가장 낮은 수검률을 보였다. 유방암의 경우 장루요루장애인이 37.8%로 낮은 수검률을 보였고, 자궁경부암의 경우 지적장애인이 18.8%로 가장 낮은 수검률을 나타났다.

 

3. 장애인의 암검진별 수검률 현황 (단위 : , %)

 

위암

대장암

간암

 

대상자

수검자

수검률

대상자

수검자

수검률

대상자

수검자

수검률

합계

991,290

528,409

53.3

1,578,198

567,852

36.0

74,360

44,862

60.3

지체장애

537,873

323,906

60.2

857,523

343,648

40.1

37,859

25,291

66.8

뇌병변장애

89,902

30,012

33.4

156,077

38,030

24.4

4,575

2,225

48.6

시각장애

102,464

57,494

56.1

162,224

59,622

36.8

6,701

4,320

64.5

청각장애

124,199

64,182

51.7

213,817

74,045

34.6

7,101

4,280

60.3

언어장애

6,617

2,834

42.8

10,518

3,170

30.1

407

234

57.5

지적장애

36,636

13,878

37.9

40,298

10,619

26.4

2,961

1,535

51.8

자폐성장애

120

37

30.8

36

12

33.3

7

5

71.4

정신장애

42,382

15,869

37.4

57,323

15,894

27.7

3,172

1,563

49.3

신장장애

30,875

10,752

34.8

48,065

11,949

24.9

5,076

2,491

49.1

심장장애

1,791

867

48.4

3,023

1,113

36.8

147

88

59.9

호흡기장애

4,600

2,070

45.0

8,056

2,726

33.8

375

207

55.2

간장애

4,550

2,262

49.7

7,555

2,782

36.8

5,356

2,270

42.4

안면장애

970

578

59.6

1,347

573

42.5

82

56

68.3

장루요루장애

5,728

2,298

40.1

9,141

2,500

27.3

337

177

52.5

간질장애

2,583

1,370

53.0

3,195

1,169

36.6

204

120

58.8

 

 

유방암

자궁경부암

 

대상자

수검자

수검률

대상자

수검자

수검률

합계

426,121

212,017

49.8

445,515

178,150

40.0

지체장애

230,859

131,383

56.9

229,739

108,482

47.2

뇌병변장애

37,901

10,124

26.7

39,822

9,007

22.6

시각장애

42,285

22,160

52.4

43,620

19,278

44.2

청각장애

56,533

25,163

44.5

56,951

20,508

36.0

언어장애

1,854

820

44.2

2,014

755

37.5

지적장애

16,055

6,002

37.4

29,261

5,505

18.8

자폐성장애

32

7

21.9

609

21

3.4

정신장애

20,720

8,378

40.4

22,391

6,942

31.0

신장장애

12,942

4,671

36.1

13,772

4,716

34.2

심장장애

624

291

46.6

726

292

40.2

호흡기장애

1,204

545

45.3

1,228

524

42.7

간장애

1,242

698

56.2

1,328

691

52.0

안면장애

419

254

60.6

485

252

52.0

장루요루장애

2,233

845

37.8

2,176

549

25.2

간질장애

1,218

676

55.5

1,393

628

45.1

 

보건복지부는 2018년부터 서울, 대전, 경기 등 전국 8개 지역에 장애인건강검진기관을 지정하였으며 지난 4월에는 국립재활원에 장애인 맞춤형 건강검진을 위한 전용 검진센터 기공식을 하였다.(2020년 완공예정) 이는 장애인 건강권 및 의료접근성 보장에 관한 법률에 근거하여 지정·건립되는 시설들이다. 특히 장애인건강검진기관은 제5차 장애인정책종합계획에 따라 2021년까지 100개소 지정을 목표로 하고 있다. 이에 2019년에는 20개소 확대를 계획하였는데 올해 상반기 8개소를 지정하였고, 하반기 공모를 진행 중이나 목표 달성이 원활치 않은 상황이다. 9월말 현재 광역시도 기준으로 광주광역시, 대구광역시, 울산광역시, 전라남도, 충청남도는 단 한곳에 장애인건강검진기관을 갖추지 못하고 있다. 장애인 수가 많은 서울시와 남부권과 북부권을 면적이 넓은 경기도 지역도 단 한 개소만 운영중이어서 장애인건강검진기관 확대가 시급한 상황이다.

4. 장애인건강검진기관 운영 현황

연도별

운영기관

소재지

검진내용

종별

(허가병상수)

2018

기 운영

서울의료원

서울 중랑구

일반건강검진, 암검진,

구강건강검진

종합병원 (689)

대청병원

대전 서구

일반건강검진, 암검진,

구강건강검진

종합병원

(281)

경기도의료원 수원병원

경기 수원시

일반건강검진, 암검진,

구강건강검진

종합병원

(201)

강원도원주 의료원

강원 원주시

일반건강검진, 암검진,

구강건강검진

종합병원

(270)

경상북도 안동의료원

경북 안동시

일반건강검진, 암검진,

구강건강검진

종합병원

(269)

마산의료원

경남 마산시

일반건강검진, 암검진

종합병원

(337)

양산부산 대학교병원

경남 양산시

일반건강검진, 암검진

상급종합병원

(1,325)

의료법인중앙 의료재단 중앙병원

제주도 제주시

일반건강검진, 암검진,

구강건강검진

종합병원

(366)

2019

신규선정

부산의료원

부산시 연제구

일반건강검진, 암검진,

구강건강검진

종합병원

(555)

부산성모병원

부산시 남구

일반건강검진, 암검진,

구강건강검진

종합병원

(449)

인천의료원

인천시 동구

일반건강검진, 암검진,

구강건강검진

종합병원

(332)

청주푸른병원

충북 청주시

일반건강검진, 암검진,

구강건강검진

병원

(160)

대자인병원

전북 전주시

일반건강검진, 암검진,

구강건강검진

종합병원

(589)

진주고려병원

경남 진주시

일반건강검진, 암검진,

구강건강검진

종합병원

(264)

조은금강병원

경남 김해시

일반건강검진, 암검진,

구강건강검진

종합병원

(333)

서귀포의료원

제주 서귀포시

일반건강검진, 암검진

종합병원

(330)

 

이는 장애인건강검진기관이 갖춰야 할 조건에 비하여 지원이 충분치 않기 때문이다.

장애인건강검진기관은 한국수어 통역사 포함 장애인의 의사소통과 이동편의를 위한 인력 1명 이상 장애인전용주차구역, 주출입구, 안내표지, 승강기, 통로, 출입구, 장애인용 화장실 등의 편의시설 건강검진 예약 또는 현장 접수 시 건강검진 전 과정을 안내 보조하는 동행서비스 제공 청각장애인 또는 발달장애인 등을 위하여 검진내용, 절차 등을 소개하는 서면 안내문 비치 대기 중 검진순서를 알 수 있도록 청각장애인을 위한 영상모니터 등 시각정보시스템, 시각장애인을 위한 청각안내시스템을 설치·운영 건강검진 안내, 예약 등을 위한 웹사이트 운영 등 인력, 시설, 운영기준을 준수해야 한다.

 

이와 같은 시설·장비를 갖추는데 소요되는 비용은 2018년 지정 기관의 경우 평균 11천 만 원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정부의 지원은 시설·장비비 74백만 원(1회에 한함), 건강보험수가 추가 지급(중증장애인 검진 건당 26,980)에 머물고 있다. 이윤이 발생하기 어려운 구조이니 만큼 시설·장비비 지원을 최소 1억 원 이상으로 현실화할 필요가 있다.

 

윤소하 의원은 장애인 건강검진 수검률이 낮은 것은 검진기관의 접근성과 장애유형에 맞는 시설·장비가 마련되어 있지 않은 것이 가장 크게 영향을 미친다. 애초 목표한 대로 2021년까지 100개소가 지역별로 원활히 지정되어 장애인건강검진 수검률이 향상되고, 장애인 건강권이 보장될 수 있도록 예산 지원을 현실화할 필요가 있다. , 장애 유형별로 낮은 수검률을 보이는 건강검진을 분석하여 장애인에게 필요한 서비스가 제대로 제공될 수 있도록 해야 하며 향후 장애유형에 맞는 건강검진 항목도 개발할 필요가 있다고 하였다. <>

 

문의 : 공석환 비서관

 

2019101

국회의원 윤소하

참여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