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당원교육
  • 당비납부
  • 당비영수증
    출력
  • 당비납부내역
    확인
  • [여영국_보도자료] 여영국의원과 재료연구소, ‘기계산업 소재·부품·장비 국산화 토론회’ 개최

여영국의원과 재료연구소, ‘기계산업 소재·부품·장비 국산화 토론회개최

여영국 소재기술 국산화 위한 한국소재연구원 설립,

중소기업 기술개발 지원, 튼튼한 공정경제가 핵심

 

2018년 대일(對日) 무역적자 241억 중 소재?부품?장비 분야의 적자가 224억으로 92.9% 수준이다. 한국은 소재?부품?장비 교역에서 유독 일본에게만 장기간 무역적자 상태이다. 일본의 우리나라에 대한 수출규제가 기계 산업까지 확장되면 상당히 파급력이 큰 이유이다.
 

경남지역의 소재부품 대일(對日) 수입현황을 살펴보면 상황은 더 위험하다. 한국무역협회자료에 따르면 2020년 상반기 경삼남도의 대일(對日) 수입품목 상위 20개의 수입액은 695백만불로 동일품목 전체 수입액의 33%를 차지한다. 특히 공작기계에 사용되는 수치제어반은 100% 수입에 의존하고 있으며, 이중 일본산이 95%를 넘는다. 일본의 경제침략에 맞서 소재, 부품 기술의 국산화에 집중해야 하는 이유이다.
 

일본의 수출규제에 따른 정부대책 발표(85)에 이어 창원과 경남지역의 대응책을 논의하기 위한 토론회가 개최됐다. 여영국 국회의원(창원시 성산구)과 재료연구소(KIMS)826일 오후 2, 창원 재료연구소 연구 1동 세미나실에서 기계산업 소재, 부품, 장비 국산화 정책토론회를 개최했다.
 

여영국 의원은 일본의 수출 규제는 반도체뿐 아니라 자동차, 중공업, 조선, 기계 등 일본 의존도가 높은 국내 제조업 전반에 치명적일 수 있으며, 국내 최대 기계산업 밀집지역인 창원 국가산업단지와 마산자유무역지역 업체들 역시 큰 타격이 예상된다, “··연 및 지역 전문가들이 함께 참여하여 일본 수출규제에 따른 경남 기계산업의 현황을 점검하고 소재 국산화를 포함한 대응전략과 창원 경남의 제조업 혁신, 발전방안을 논의하기 위해 토론회를 개최한다고 토론회의 의의를 설명했다.
 

이날 토론회에서 일본 수출규제에 따른 경남 기계산업 현황이라는 내용으로 주제발표를 한 이은웅 경남테크노파크 기계소재부품센터장은 경남 기계산업의 현황 점검을 통해 일본의 수출규제에 대한 대응 전략으로 기계산업의 핵심부품인 NC 콘트롤러를 국산화하고, 산업기계 핵심수입 부품 국산화 기업을 지원하며, 초고온 소재부품 시험평가 및 인증센터를 구축하는 전략을 제안했다.
 

또 두 번째 소재 국산화 대응전략이라는 내용으로 주제발표를 한 이규환 재료연구소 부소장은 일본의 수출규제 상황에 맞서 경제적 가치가 높은 미래 첨단 소재 개발에 집중 투자해 우리나라 제조업 경쟁력을 높여야 한다,“재료연구소, 한국전기연구원 등 경남지역의 소재 관련 공공연구기관을 적극 활용하여 소재기술 국산화에 투자하고, 소재 중견기업을 육성하기 위한 구체적인 지원을 확대하며, 소재기술의 연구와 실용화, 품질 인증까지 원스탑으로 진행하는 소재실증단지조성을 제안했다.
 

여영국 의원은 인사말을 통해일본 수출규제에 대한 단기적인 대응을 넘어 제조업 혁신을 위한 핵심 기술 국산화에 나서야 한다, “재료연구소를 소재연구원으로 승격시켜 소재분야 연구역량을 집중하고, 중소기업의 연구개발을 장려하기 위해 대기업의 중소기업에 대한 기술편취’, ‘단가 후려치기등을 없애 튼튼한 공정경제 구조를 만드는 것이 핵심이라고 강조했다. 또 여영국 의원은 정답은 늘 현장에 있다. 오늘 같은 토론회 등 상시적인 소통의 가교역할을 하겠다며 정부정책과 산업현장 사이의 소통촉진자 역할을 자임했다.
 

이 날 토론회 지정토론은 송부용 경남연구원 선임연구위원 사회로 이종욱 두산중공업 상무, 조오영 세아창원특수강 상무, 김주형 센트랄 연구소장, 김석주 한국전기연구원 연구부원장, 천성봉 경남도 산업혁신국장, 류효종 창원시 스마트혁신산업국장이 참여했다. 또 이날 토론회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산업통상자원부, 경상남도, 창원시, 창원시상공회의소가 후원했다.

 

첨부 1> 기계산업 소재·부품·장비 국산화 정책토론회 웹포스터

첨부 2> 여영국의원 기계 산업 부품·소재·장비 국산화 정책 토론회 환영사

별첨 3> 기계산업 소재·부품·장비 국산화 정책토론회 자료집

참여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