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보도자료] 동덕여대는 고소 폭격 멈추고 사학비리 실체 밝혀라 [신민기 부대변인]
[성명] 동덕여대는 고소 폭격 멈추고 사학비리 실체 밝혀라

동덕여대가 반민주적 운영에 이어 무차별적으로 고소와 징계, 위헌적 가처분 신청을 남발하고 있습니다. 심지어 정당인들을 고소해 ‘입틀막’을 시도하고 있습니다. 이런 대학본부 탓에 학생들이 겪었을 심적 고통을 헤아리기 어렵습니다. 민주주의의 최전선에서 싸우는 민주동덕 학생들에게 연대합니다.

지난 11월부터 동덕여대측은 무차별적 고소 폭격을 이어왔습니다. 시위에 참여하지 않은 학생을 오인해 징계하는가 하면, 점거, 현수막, 노래, 구호 등을 진행하면 애꿎은 총학생회에 100만원을 부과하겠다는 가처분 신청을 냈다가 기각당하기도 했습니다. 학생들의 대자보도 무단훼손하였습니다.

거기다 교지편집위원회가 이사장과 불통 공학전환을 비판하자 지원비를 끊어 교내언론을 탄압했고, 심지어 지난 4일에는 여성의당 비대위원장 등을 명예훼손 등으로 고소했다는 소식이 알려졌습니다. 비판에 대한 ‘입틀막’이 목적이라고 생각할 수밖에 없습니다. 그야말로 리틀 윤석열입니다.

공학전환이라는 중대한 문제는 학교 공동체가 민주적이고 자율적으로 해결할 일입니다. 그럼에도 동덕여대의 행정독재와 비리 심각성을 무시한 언론과 유튜버, 위정자들이 섣불리 대학본부 편에 붙어 학생들에 대한 폭력에 가담했습니다. 그 선택적 분노 속에 학생들이 외친 민주적 운영 요구는 틀어막혔습니다.

특히 이준석 후보는 시위를 민주주의에서 용납 못할 폭력으로 규정했습니다. 구태적입니다. 그 ‘민주주의’를 위해 국회 담은 왜 안 넘었나 묻고 싶습니다. 그것도 담한테 ‘폭력’이어서, 복구에 ‘54억’ 들까 걱정돼서 못 하셨습니까? 맥락을 지우고 매번 잣대를 들이밀 대상만 찾는 정치의 ‘모순’입니다.

정치는 학생들을 외면해선 안 됩니다. 탄핵 이후의 민주주의는 모두가 자기 자리에서 누릴 수 있는 것이어야 합니다. 국회 교육위는 사태 해결을 위한 청원 심사를 임기 끝까지 연기했습니다. 지난 법사위가 차별금지법을 폐기했을 때와 똑같은 수법입니다. 지금이라도 해결책을 마련하길 바랍니다.

계엄 이전 사회가 기득권 경쟁에 몰두하는 동안, 학생사회는 기성정치에 외면당하고 이용당해 왔습니다. 그 속에서도 민주동덕 학생들은 생명마저 짓밟은 사학비리와 싸우고 학내 민주주의를 위해 싸웠습니다. 탄핵 이후는 달라야 합니다. 논란을 일으켜야만 외면당하지 않는 외침은 없어야 합니다.

민주주의 최전선을 지키는 건 잘난 정치인의 토론이 아닌 광장시민의 정의로운 목소리입니다. 동덕여대의 민주화를, 성평등을, 농민 생존을, 장애인 권리를, 차별금지를 위한 외침입니다. 그 소수의 외침 같던 우리가 연대를 통해 다수가 되면, 그 선이 밀리고 새 민주주의가 솜솜이 피어날 것입니다.

2025년 5월 8일
민주노동당 대통령 후보 권영국 캠프 부대변인 신민기
참여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