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당원교육
  • 당비납부
  • 당비영수증
    출력
  • 당비납부내역
    확인
  • [이은주 국감] 건설업 임금체불 인원 가장 많지만 노동부 근로감독은 가장 소극적

 

 

 [국정감사 보도자료]

5년간 임금체불피해자의 28.4%가 건설업서 발생했지만
고용노동부의 건설업 임금체불 감독은 전체 대비 5.3%에 불과

- 22년 23년은 건설업 임금체불 더 늘었는데, 전체 사업장 감독 중 3.9%, 3.3%만 차지
- 이은주 의원 “노조가 불법 온상이라는 정부, 정작 임금 체불 같은 진짜 불법은 손 놔”

 

 

지난 5년간 임금체불피해 노동자의 28.4%가 건설업에서 발생했지만, 고용노동부의 건설업 임금체불 근로감독은 전체 감독사업장의 5.3%에 불과했던 것으로 확인됐다.

 

10일 정의당 이은주(환경노동위원회) 국회의원이 고용노동부로부터 최근 5년간 임금체불 신고사건 현황 자료를 분석해 발표한 결과를 보면, 지난 5년간(2019~2023.8월 현재) 임금체불(진정, 고소, 고발 모두 포함)은 860,450건이 신고 접수됐으며 체불사업장은 499,068곳, 체불피해 노동자수는 1,304,517명 체불금액은 7조 1,434억 8천4백만원에 달했다. (관련 자료 하단 첨부)

 

산업별로 보면 전체 체불액의 33.6%(2조 4,017억 8천9백만원)가 제조업에서 발생했으며, 건설업이 20.0%, 도소매 및 음식숙박업이 14.2%로 뒤를 이었다. 체불인원의 경우 전체 체불 피해자의 28.4%(371,003명)가 건설업 종사자였으며, 이어 제조업이 23.1%, 도소매 및 음식숙박업이 18.7% 순이었다. 체불사업장 수로 보면 도소매 및 음식숙박업이 30.2%(150,698곳)로 가장 많았고, 이어 건설업이 20.2% 제조업이 19.3%를 차지했다.

 

 

지난 5년간(19~23.8) 임금체불 신고사건 현황

업종별 구 분 신 고 처 리 (연도말 기준)
비율 지도해결 사법처리
총 계 사업장수 499,068   394,756 132,437
접수건수 860,450   600,005 244,600
근로자수 1,304,517   829,093 446,800
체불금액 7,143,484   3,905,493 3,006,275
제조업 사업장수 96,555 19.3% 77,156 27,348
접수건수 185,529 21.6% 126,906 55,222
근로자수 301,581 23.1% 186,256 108,449
체불금액 2,401,789 33.6% 1,301,341 1,028,689
전기가스및수도업 사업장수 2,398 0.5% 1,882 611
접수건수 3,264 0.4% 2,381 847
근로자수 4,803 0.4% 3,215 1,542
체불금액 25,752 0.4% 15,029 10,295
건설업 사업장수 100,858 20.2% 70,720 37,666
접수건수 193,302 22.5% 121,426 67,881
근로자수 371,003 28.4% 214,746 147,144
체불금액 1,430,042 20.0% 810,165 576,146
도소매및음식숙박업 사업장수 150,698 30.2% 123,378 32,322
접수건수 213,502 24.8% 159,878 50,649
근로자수 243,754 18.7% 176,549 63,463
체불금액 1,012,580 14.2% 614,890 368,067
운수창고및통신업 사업장수 27,074 5.4% 21,593 7,391
접수건수 53,197 6.2% 36,499 15,516
근로자수 83,307 6.4% 51,090 30,204
체불금액 636,880 8.9% 307,791 302,217
금융보험부동산및사업서비스업 사업장수 53,180 10.7% 43,645 12,209
접수건수 96,887 11.3% 70,521 24,250
근로자수 138,673 10.6% 91,286 44,398
체불금액 736,286 10.3% 409,456 300,095
기타 사업장수 67,333 13.5% 55,170 14,910
접수건수 112,288 13.0% 80,390 29,776
근로자수 157,092 12.0% 103,147 50,181
체불금액 878,989 12.3% 434,807 412,861
미등록 사업장수 1,641 0.3% 1,468 208
접수건수 2,481 0.3% 2,004 459
근로자수 4,304 0.3% 2,804 1,419
1체불금액 21,163 0.3% 12,014 7,903

 

눈에 띄는 점은 올해와 지난해 건설업 체불인원의 비율이 상승하고 있다는 점이다. 신고사건 기준으로 지난 해 전체 체불피해자 237,501명 중 건설업 체불인원은 73,646명으로 전체의 31%를 차지했다. 체불피해자는 전년도인 2021년의 68,843명에 비해 7%p가 증가했다. 올해는 더 심각해져서, 2023년의 경우 8월 기준으로 보면 전체 임금체불피해자 180,722명 중 건설업이 61,946명으로 이미 전체의 34.3%에 수준에 이르렀다. 즉 작년 올해 건설업에서는 지난 5년 평균을 상회하여 체불피해가 급중하고 있는 중이었다.

 

 

2022년 임금체불 신고사건 현황

업종별 구 분 신 고 처 리 (연도말 기준)
비율 지도해결 사법처리
총 계 사업장수 88,870   72,331 21,494
접수건수 155,424   114,318 39,024
근로자수 237,501   161,193 72,265
체불금액 1,347,209   805,980 504,124
제조업 사업장수 17,476 19.7% 14,492 4,294
접수건수 33,437 21.5% 24,711 8,266
근로자수 53,961 22.7% 36,554 16,255
체불금액 455,425 33.8% 275,818 167,679
건설업 사업장수 18,645 21.0% 13,637 6,532
접수건수 37,585 24.2% 24,945 12,079
근로자수 73,646 31.0% 45,841 26,529
체불금액 292,489 21.7% 176,912 109,557
도소매및음식숙박업 사업장수 26,035 29.3% 21,872 4,996
접수건수 37,007 23.8% 28,925 7,719
근로자수 40,547 17.1% 31,103 8,998
체불금액 177,388 13.2% 116,275 57,027

 

 

2023년(1~8월) 임금체불 신고사건 현황

업종별 구 분 신 고 처 리 (연도말 기준)
비율 지도해결 사법처리
총 계 사업장수 65,626   53,236 15,714
접수건수 120,436   89,718 28,250
근로자수 180,722   125,631 50,268
체불금액 1,141,106   702,532 391,481
제조업 사업장수 12,369 18.8% 10,195 2,949
접수건수 24,110 20.0% 18,014 5,675
근로자수 37,448 20.7% 25,497 11,063
체불금액 349,397 30.6% 200,822 136,695
건설업 사업장수 13,766 21.0% 10,032 4,798
접수건수 30,536 25.4% 20,977 8,896
근로자수 61,946 34.3% 41,211 19,274
체불금액 281,337 24.7% 188,564 84,694
도소매및음식숙박업 사업장수 19,306 29.4% 16,159 3,675
접수건수 27,202 15.1% 21,535 5,300
근로자수 31,164 17.2% 23,883 6,847
체불금액 147,014 12.9% 94,324 47,152

 

이렇게 건설업 체불 피해가 심각함에도 불구하고 고용노동부의 근로감독은 이를 전혀 쫓아가고 있지 못했다. 고용노동부가 마찬가지로 이은주 의원실에 제출한 지난 5년간(19~23.8월 현재) 근로감독을 통해 적발한 임금체불 및 처리 현황을 보면, 정부는 지난 5년간 전체 감독사업장 30,441곳 중 건설업은 1,615곳만을 감독해 체 감독 사업장 대비 건설업 사업장 비중은 5.3%에 불과했다. 감독사업장이 적음으로 인해, 감독을 통해 확인된 체불피해 인원 또한 전체 529,506명 중 건설업은 23,601명 4.5%에 그쳤다. 반면 체불사업장이 가장 많은 산업인 도소매 및 음식숙박업의 경우, 도소매업이 사업장 감독의 9.1%, 숙박업과 음식업이 13.6%를 차지해 전체 감독사업장의 22.7%였고, 체불피해액이 가장 많은 제조업의 경우 전체 감독 중 33.2%를 차지했다. 건설업이 임금체불피해자가 가장 많은 사업임에도 불구하고, 다른 산업 대비 근로감독이 매우 소극적으로 이뤄지고 있었음을 확인할 수 있는 대목이다.

 

 

지난 5년간(19~23.8) 임금체불 근로감독 현황

구분 체불
사업장수
사업장
감독비율
체불
근로자수
근로자
감독비율
체불액(원) 형사
입건
시정지시
합계 30,441   529,506   406,952,192,462 668 46,925
건설업 1,615 5.3% 23,601 4.5% 33,306,888,828 42 2,395
공공 행정, 국방 및 64 0.2% 3,736 0.7% 5,206,887,940 1 119
사회보장 행정
광업 27 0.1% 123 0.0% 452,437,387 0 39
교육 서비스업 602 2.0% 9,357 1.8% 15,318,521,636 15 914
금융 및 보험업 670 2.2% 25,184 4.8% 24,866,723,281 6 1,297
농업, 임업 및 어업 288 0.9% 1,408 0.3% 1,159,881,436 2 352
도매 및 소매업 2,758 9.1% 38,493 7.3% 23,405,842,304 42 4,099
보건업 및 사회복지 4,014 13.2% 81,076 15.3% 36,374,804,390 76 6,282
서비스업
부동산업 236 0.8% 2,876 0.5% 1,060,940,072 3 372
사업시설 관리, 사업지원 1,400 4.6% 29,448 5.6% 13,529,964,540 22 2,254
및 임대 서비스업
수도, 하수 및 폐기물 154 0.5% 2,685 0.5% 10,138,009,094 1 235
처리, 원료 재생업
숙박 및 음식점업 4,130 13.6% 20,713 3.9% 9,407,829,873 33 5,632
예술, 스포츠 및 290 1.0% 10,273 1.9% 5,533,512,999 7 499
여가관련 서비스업
운수 및 창고업 630 2.1% 38,025 7.2% 15,778,335,651 27 983
전기, 가스, 증기 및 22 0.1% 380 0.1% 1,434,745,812 1 29
공기 조절 공급업
전문, 과학 및 기술 1,042 3.4% 23,632 4.5% 19,154,337,560 18 1,685
서비스업
정보통신업 1,305 4.3% 29,265 5.5% 24,996,725,993 47 2,172
제조업 10,120 33.2% 142,695 26.9% 139,890,914,656 309 15,765
협회 및 단체, 수리 및 390 1.3% 6,558 1.2% 4,869,605,500 8 642
기타 개인 서비스업
미확인 684 2.2% 39,978 7.6% 21,065,283,510 8 1,160

 

더 큰 문제는 지난 해와 올해의 감독이다. 지난 해 건설업 감독 사업장의 비중은 전체 감독 사업장 대비 3.9%였고, 올해는 이것보다 더 적어 8월까지 209개 사업장, 전체 감독 대비 3.3% 수준으로 감독이 이뤄졌다. 지난 해와 올해 건설업 체불인원은 평균을 상회하여 급중하는 중이지만, 건설업 사업장 감독은 지난 5년 평균을 하회하는 수준인 것이다. 하지만 고용노동부는 신고사건 처리를 통해 업종별, 산업별 체불현황을 사실상 월간 단위로 실시간에 가깝게 확인하고 있다. 또 이미 지난해 건설업 체불이 늘어난 것도 확인된 마당에, 건설업 임금체불 감독을 이렇게 소홀히 한 것을 정부가 임금체불을 방치했다는 비판을 피할 수 없는 부분이다.

 

 

2022년 임금체불 근로감독 결과

구분 체불 사업장수 체불 근로자수 체불액 형사
입건
시정
지시
2022 7,208 감독
비율
95,297 감독
비율
65,880,906,108 73 10,348
건설업 279 3.9% 3,268 3.4% 4,784,251,350 1 364
도매 및 소매업 936 13.0% 7,784 8.2% 6,356,829,983 6 1,242
보건업 및 사회복지 898 12.5% 14,311 15.0%  6,653,317,782 9 1,323
서비스업
숙박 및 음식점업 613 8.5% 4,614 4.8% 1,703,713,918 5 853
정보통신업 307 4.3% 4,057 4.3% 3,733,728,369 2 449
제조업 2,905 40.3% 39,072 41.0% 25,172,681,393 42 4,213

 

 

2023년 8월 현재 임금체불 근로감독 현황

구분 체불 사업장수 체불 근로자수 체불액 형사
입건
시정
지시
2023 6,296 감독
비율
105,386 감독
비율
78,719,303,239 71 10,663
건설업 209 3.3% 3,717 3.5% 4,919,405,967 -  322
도매 및 소매업 556 8.8% 6,208 5.9% 3,943,633,081 -  929
보건업 및 사회복지 605 9.6% 18,486 17.5%  5,524,608,059 13 1,048
서비스업
숙박 및 음식점업 1,458 23.2% 6,792 6.4% 3,323,079,990 6 2,047
정보통신업 369 5.9% 11,959 11.3% 8,452,088,587  - 707
제조업 2,009 31.9% 23,521 22.3% 26,795,598,616 31 3,565

 

이은주 의원은 “건설업은 임금 대비 고용인원이 많고, 다단계 불법하도급이 만연해 임금체불이 가장 심각한 산업”이라면서, “그럼에도 그간 정부가 건설업 임금체불 근로감독을 소홀히 한 것은 건설업 임금체불을 키워온 원인”이라고 지적했다. 또 작년과 올해 건설업 임금체불 급증에도 정부가 건설업 사업장 감독을 소홀히 한 문제에 대해서도 “정부는 그간 건설노조를 건폭이라는 용어까지 동원해 건설 현장 불법의 주범이라고 몰아세웠지만 정작 임금체불 같은 대표적 불법행위를 감독하는 데에는 손을 놓고 행정력을 제대로 쓰지ㄸ도 않았다”고 비판하며, “건설 일용직 노동자 같은 노동시장의 약자보호를 위해 정부가 해야 할 일이 노조 탄압이 아니라 임금체불 감독”이라면서, 건설업 임금체불에 대한 고용노동부의 철저한 대처를 주문했다. (끝)

 

첨부 : 지난 5년간 임금체불 신고사건 현황 및 근로감독 현황

참여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