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당원교육
  • 당비납부
  • 당비영수증
    출력
  • 당비납부내역
    확인

브리핑

  • HOME
  • 뉴스
  • 브리핑
  • [논평]서울시 지하철 57곳에서 1급 발암물질 ‘라돈’기준치 이상 검출.서울시의 대책을 촉구한다.

서울시 지하철 57곳에서 1급 발암물질인 라돈 기준치 이상 검출.

서울시는 즉각 지하철 전수조사 실시하고 배기 대책 세워야.

 

2015년 9월 10일 국정감사에서 장하나의원이 폭로한 자료에 따르면 서울시 298개 지하철 역사 중 19%에 달하는 57곳에서 1급 발암물질인 ‘라돈’ 농도가 기준치 이상으로 검출되는 것으로 드러났다.

 

특히 길음역 배수펌프장에서는 ‘실내공기질 관리법상’ 라돈 기준치인 148베크렐(㏃/㎥)의 20배가 넘는 3029베크렐(㏃/㎥)이 검출된 것으로 나타났다.

 

라돈은 폐암을 유발하는 1급 발암물질로 지난 2008년 이후 라돈의 직·간접적 노출로 폐암에 걸린 지하철 노동자가 11명에 이르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지하철의 직접 관리 주체인 서울시는 역사에만 일부 배기 시설을 설치하고 있을 뿐 노동자들이 지속적으로 라돈 노출위험에 처해 있는 배수 펌프장등은 라돈 측정조차 하지 않고 있다.

 

물론 현재 라돈에 대한 현행법상 권고기준을 강제기준인 유지기준으로 바꿔야 하는 제도적 전환도 필요하지만 서울지하철의 시설관리주체인 서울시의 관리 부족을 비판하지 않을 수 없다.

 

WHO(세계보건기구)는 2009년 보고서를 통해 실내오염물질이 실외오염물질보다 인체의 폐에 전달될 확률이 1000배에 이른다고 밝히고 있다. 그만큼 다중이 이용하는 서울지하철의 실내공기질 관리는 지하철에서 일하는 노동자 뿐 아니라 서울시민들에게도 큰 영향을 끼칠 수 밖에 없다.

 

이런 상황임에도 불구하고 서울시 실내공기질 상시측정망은 298개 지하철 역사 중 단 10개 역에만 설치되어 있을 정도로 빈약하다. 그마저도 미세먼지, 이산화탄소, 일산화탄소, 이산화질소만 측정할 뿐 라돈은 측정항목에조차 포함되어 있지 않다.

 

서울시는 즉각 지하철 역사의 라돈 농도에 대해 전수 조사를 실시하고 배기대책을 세워야 한다. 또한 라돈 뿐 아니라 지하철 역사를 포함한 다중이용시설에 대한 실내공기질 상시측정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

 

 

 

2015년 09월 11일(금)

정의당 서울시당

 

참여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