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당원교육
  • 당비납부
  • 당비영수증
    출력
  • 당비납부내역
    확인

브리핑

  • HOME
  • 뉴스
  • 브리핑
  • [논평] 한 번 운행에 나서면 5시간 동안 화장실도 못 간다 서울시는 버스 운행 노동자의 노동여건을 개선하라


한 번 운행에 나서면 5시간 동안 화장실도 못 간다

서울시는 버스 운행 노동자의 노동여건을 개선하라

 

구간 정체가 심각한 노선 및 장거리 운행 버스 노동자들의 건강권 침해가 심각하다. 1월부터 운행 노선 연장으로 서울 은평~동작~서초를 잇게 된 742(변경 전 751) 버스 기사들은 5~6시간 장거리 운행에 내몰렸다. 서울시는 20194월 개통한 서리풀터널을 직통하는 버스 노선을 마련하기 위해 751번 버스의 노선 연장을 결정했다. 이에 올해부터 751번 버스는 742번으로 번호를 바꿔 은평구와 동작구를 거쳐 서초구 교대역까지 노선이 연장됐다. 문제는 742번 버스의 노선을 10㎞가량 더 늘리는 과정에서 서울시가 기사들의 여건을 고려하지 않은 채 연장을 결정했다는 점이다. 742번 버스의 기존 노선 길이는 50㎞로 장거리 노선에 속했지만 서울시의 연장 조치로 58.2㎞까지 늘어났다. 60㎞에 근접한 수치로 기사들의 건강권을 해치고 있다. 더욱이 742번 버스 종점인 교대역 인근은 상습 정체 구간으로 초장거리 노선이 됐다.

 

한번 운행에 나서면 5~6시간 동안 꼼짝없이 운전대를 잡아야 해 화장실도 갈 수 없다. 기사들의 휴게시간과 노동환경은 승객들의 생명과 안전에 직결되는 일이다. 그럼에도 서울시는 대책 없이 노선을 연장한 것이다.

 

버스 준공영제를 시행하는 서울시는 노선 결정 권한을 갖고 있고, 버스 운행 및 차량·노무 관리는 버스 회사가 맡고 있다. 서울시 측은 시민들의 편의와 요구를 고려한 불가피한 선택이었다고 해명했다. 서울시 관계자는 서리풀터널을 연결하는 노선의 대안은 742번 버스뿐이었다면서 노선 개통을 원하는 시민들의 요구가 커 서둘러 연장할 수밖에 없었다고 했다.

 

하지만 종점에서 출발해 다시 종점으로 돌아오는 데 5시간이 소요된다. 도로 정체도 빈번한 점을 감안한다면 이는 버스 운전기사의 치명적인 건강권 침해이다. 아무런 대안과 사전 협의 없이 서울시가 강행한 행정명령은 위험한 결정이다.

 

서울시는 201632개였던 장거리 노선을 점차 줄이겠다고 했지만, 5년간 5개 노선만 짧아지고 10개 노선은 오히려 운행시간이 길어졌다. 주민 편의에 무게를 두는 사이, 버스기사의 노동환경은 점점 열악해진 것이다. 그간 열악한 노동조건을 알리고 개선대책을 요구해온 것도, 노동자들이 투쟁에 기반한 일이었다. 작금의 사태처럼 기사들이 불편을 감수할 수밖에 없다고 또다시 이 문제를 미뤄온다면 운전노동자 및 시민의 안전까지 위협하는 일이다.

 

서울시는 노선 중간에 기사들이 이용할 수 있는 화장실을 마련하고 증차를 통해 노동여건을 개선할 대안 마련에 조속히 나서야 한다. 742번 버스운전 노동자가 호소한 사람답게 일하고 싶다라는 요구 최소한의 권리를 지켜주고 세부적인 대안이 현장에 녹아들 수 있는 실질적 노동환경 개선이 시급하다.

 

202158

정의당 서울시당 (공동대변인 여미애)

 
참여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