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당원교육
  • 당비납부
  • 당비영수증
    출력
  • 당비납부내역
    확인

서울동작구위원회

  • [논평] 수협의 한심한 거짓말, 노량진수산시장 파행 부추긴다

[논평] 수협의 한심한 거짓말, 노량진수산시장 파행 부추긴다

 

-일부 입주 희망 상인이 '다수'로 둔갑

-이미 수 차례 흘린 상인 입주설, 약발 다한지 오래

-수협은 '박근혜-최순실 게이트' 현대화 개입 의혹부터 밝혀야

 

수협의 거짓말이 한심하다.

 

수협중앙회는 2월 6일 보도자료를 통해 노량진수산시장 정상화가 급물살을 탔다고 밝혔다. 다수의 상인이 현대화 건물 입주에 동의해, 마치 시장 현대화를 둘러싼 모든 문제가 거의 해결된 것처럼 이야기하고 있다. 입주를 거부하는 노량진수산시장 현대화 비상대책 총연합회(총연합회)가 외부세력과 정당 등을 끌어들여와 허무맹랑한 주장을 하고 있다고 매도하기까지 했다. 사실과는 차이가 큰 일방적 주장이다.

 

총연합회는 수협이 앞세우는 ‘입주를 희망하는 상인’이 잔류상인을 대표할 수 없고 다수가 되기도 어렵다고 단언한다. 현대화 시장에 섣불리 입주했다가 고전하는 상인들의 이야기가 심심치 않게 들려오는 마당에, 느닷없이 100여명 이상의 상인이 신건물 입주를 서두를 이유가 없다는 것이다. 오히려 현대화 시장에 입주했던 상인들이 거꾸로 전통시장으로 되돌아오고 싶어한다는 말이 들려온다는 게 총연합회 측 설명이다.

 

수협의 사실 왜곡은 이번이 처음이 아니다. 수협은 지난해 3월과 9월 마치 대부분의 전통시장 사수 상인들이 신건물로 입주해 갈등이 곧 끝날 것처럼 거짓 보도자료를 냈다. 그러나 해가 지난 2017년 2월 현재도 시장은 파행 운영 중이다. 앵무새처럼 반복되는 수협의 왜곡된 주장은 그들의 희망사항일 뿐이다. 이쯤되면 상인들을 흔들고 시민을 호도하는 주체가 수협인지, 외부세력인지 분명히 알 수 있다.

 

서울시가 수협의 허위 주장에 보조를 맞추다 혼쭐이 난 적도 있다. 서울시는 수협의 입장대로 ‘입주를 희망하는 상인 대표’라는 지위를 멋대로 부여하는 보도자료를 냈다가 공공기관과 공무원의 월권이라는 호된 비판을 받았다. 해당 보도자료를 냈던 주무관은 다른 부서로 자리를 옮기기까지 했다. 이때 총연합회는 서울시와 수협의 유착관계를 제기하면서 행정소송을 검토하기도 했다.

 

노량진수산시장 현대화 사업은 지난해 말 ‘박근혜-최순실 게이트’ 개입 의혹이 드러나면서 새로운 국면을 맞이했다. 비선실세 최순실과 관계된 차은택, 이성한 등이 개입된 사실이 밝혀져 검찰에서 수사를 진행 중이다. 박영수 특검도 인지하고 있을 정도로 사안이 가볍지 않다. 서울시의회는 서울시의 관리 책임을 묻기 시작했고, 시장 정상화를 위한 특별위원회 구성을 앞두고 있다. 일부 국회의원들도 이 사안을 눈여겨 보고 있다.

 

현대화 사업에 책정된 국비 1,540억원은 시민과 상인에게 고루 이익이 되는 방향의 시장을 꾸리는데 썼어야 했다. 하지만 막대한 혈세를 투입한 현대화 시장은 비싼 수산물 가격과 고비용 저효율 구조, 부실 공사 등으로 시민과 상인 모두에게 외면당하고 있다.

 

수협은 누구의 잘못을 탓하기 전에 자신들의 오만과 성급함이 빚은 혼란에 대해 깊이 반성해야 한다. 아울러 스스로의 신뢰만 떨어뜨리는 양치기 소년 놀이를 멈추고, 보다 진지하고 겸허한 자세로 문제 해결에 나서야 할 것이다.

 

2017년 2월 7일

정의당 동작구위원회(위원장 : 이호영)

참여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