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당원교육
  • 당비납부
  • 당비영수증
    출력
  • 당비납부내역
    확인

브리핑

  • HOME
  • 뉴스
  • 브리핑
  • [정책논평] 국공립유치원 취원율, 부산 전국 최저

부산 국공립유치원 비율, 취원율에서 전국 최저

부산지역 국공립유치원확대에 비상한 관심 필요

 

부산지역 국공립 유치원 취원율이 전국 최저인 것으로 밝혀졌다. 정의당 부산시당에 따르면, 부산지역 국공립유치원 취원율은 15.8%로 전국 최저이며, 전국 25.5%에 한참 미달하는 수치이다. 기초단위별로도 전국 취원율 최하위 지역 10군데 중 6군데가 부산이었고, 부산지역의 취원율은 대부분 평균 이하에 머물렀다.

 

부산지역 국공립 유치원 취원율이 낮은 원인으로는 우선은 국공립 유치원의 숫자가 99(전체 유치원 중 국공립유치원 비율 24%)로 절대적으로 부족하다는데 우선 원인이 있다. 대도시의 경우 대체로 낮은 경향을 보이기는 하나, 영남지역이 하위권에 머물고 있고, 특히 부산이 최저라는 점에 관심을 가져야 한다. 최근 유치원 개수나 취원율이 증가추세에 있다는 점도 고려해야 한다.

 

최근 일부 사립유치원의 비리로 떠들썩한 가운데, 국공립유치원을 확대하겠다는 정부정책은 환영하지만, 가장 취약한 지역을 우선적으로 고려해 사업을 추진해야 할 것이다. 특히 부산지역에서는 보육의 정상화를 위한 다각도의 노력이 필요하다.

 

 

 

 

1. 국공립유치원 취원율 부산이 최저

 

- 국공립취원율은 세종이 96.2%로 가장 높고, 전남(52.2%)과 제주(49.2%)가 다음.

 

- 취원율 낮은 곳은 부산(15.8%) 대구(17.5%) 서울(18.0%) , 영남 5개 시도의 취원율은 20.9%로 낮은 편이며, 부산이 전국 최저

 

- (국공립유치원) 국공립유치원의 비율은 취원율과 비슷한 양상. 세종 제주 전남이 높고, 부산 서울 대구가 낮음.

 

- 국공립 취원율은 농산어촌 높고 대도시 낮은 것이 특징. 땅값과 사립유치원 등의 사유로 농산어촌에 국공립유치원을 많이 세웠기 때문.

 

<전국 시도 유치원 취원율 현황>

 

 

유치원

취원율

유치원

비율

단설유치원

비율, 개수

 

유치원

취원율

유치원

비율

단설유치원

비율, 개수

서울

18.0%

25.8%

2.7%

24

강원

37.9%

70.5%

6.4%

24

부산

15.8%

24.0%

4.8%

20

충북

46.9%

72.1%

7.0%

24

대구

17.5%

28.5%

5.1%

19

충남

35.3%

73.2%

4.5%

23

인천

23.6%

39.5%

3.1%

13

전북

32.5%

68.7%

3.8%

20

광주

18.3%

41.1%

3.5%

11

전남

52.2%

78.8%

4.4%

24

대전

18.8%

36.4%

3.3%

9

경북

28.1%

65.6%

2.4%

17

울산

21.0%

40.6%

3.6%

7

경남

22.6%

60.5%

3.6%

25

세종

96.2%

94.9%

62.7%

37

제주

49.2%

81.5%

0.0%

0

경기

24.4%

51.8%

3.8%

87

전국

25.5%

53.2%

4.3%

384

* 단설 : 왼편은 단설유치원 비율, 오른편은 단설유치원 수 ** 비율은 전체유치원 대비

 

< 2018년 국공립유치원 현황 >

 

 

취원율

유치원 수

단설 수

2018

25.5%

4,801개원(53.2%)

384개원

전년 대비 증감

0.7%p

54개원(0.6%p)

30개원

* 매년 41일 기준 ** 출처 : 한국교육개발원 교육통계서비스 *** 취원율 : 원아수

 

- 2018년 국공립유치원의 취원율은 전체 25.5%, 원아는 172370. 국공립유치원은 4801개원(53.2%)이고, 단설유치원은 384개원

* 국공립이 유치원 비율 53.2%인데, 취원율 25.5%인 이유는 규모 때문. 병설이 많음.

 

- 전년보다 취원율, 유치원수, 단설유치원수 모두 증가추세에 있으며, 바람직한 방향으로 가고 있으나, 부산은 최 하위.

 

 

2. 취원율 10% 미만인 시군구 중 부산이 4군데

- 부산지역 취원율은 대부분 평균 이하

- 최하위 10군데중 6곳이 부산, 평균

 

- 취원율 10% 미만부산 사상구(5.6%), 부산 동래구(6.8%), 부산 사하구(7.6%), 서울 도봉구(7.7%), 부산 해운대구(8.9%) 5, 이중 4군데가 부산.

 

- 기장군 (36.5%), 동구 (35.6%), 강서구(35.3%)제외하면 부산지역 취원율은 평균(25.5%)이하

 

- 전국 최하위 10군데 시군구 중, 6군데가 부산. 사상구, 동래구, 사하구, 해운대구, 금정구, 남구. 최하위 20군데 중에서는 8군데가 부산.

 

<전국 취원율 최하위 시군구>

 

1

부산

사상구

171

5.60%

5

16.10%

0

2

부산

동래구

248

6.80%

4

12.50%

0

3

부산

사하구

304

7.60%

8

18.20%

0

4

서울

도봉구

207

7.70%

4

13.80%

0

5

부산

해운대구

431

8.90%

6

15.00%

1

6

서울

노원구

681

10.30%

11

16.20%

1

7

부산

금정구

305

10.50%

5

17.90%

1

8

대구

수성구

639

10.50%

9

16.70%

2

9

부산

남구

320

11.00%

5

19.20%

0

10

인천

남구

558

11.60%

12

25.50%

0

11

대구

달서구

1,159

12.30%

18

22.20%

2

12

서울

광진구

389

12.80%

6

16.70%

0

13

부산

부산진구

645

12.80%

8

17.80%

2

14

대구

남구

215

13.20%

1

6.30%

1

15

경기

안산시

1,097

13.20%

40

40.80%

2

16

서울

용산구

212

13.50%

4

23.50%

0

17

서울

강동구

603

14.00%

9

25.70%

1

18

부산

북구

622

14.00%

9

24.30%

1

19

대구

북구

1,088

14.10%

20

26.30%

1

20

울산

북구

698

14.20%

10

25.60%

2

 

 

<취원율 100% 시군구>

화천군, 양구군(이상 강원), 단양군(충북), 서천군(충남), 진안군, 무주군, 장수군, 임실군, 순창군(전북), 곡성군, 강진군, 신안군(전남), 군위군, 청송군, 울진군(경북), 의령군, 고성군, 남해군, 하동군, 산청군(경남)

- (유치원) 지역내 유치원이 모두 국공립인 곳은 전국 18개 시군구 : * 위 취원율 100% 시군구에서 강원 화천군과 충남 서천군을 제외한 18

 

- 전국 21, 국공립 취원율 평균 미만이면서 단설유치원 없음 : 부산은 서구, 동래구, 남구, 사하구, 사상구가 해당

 

<단설 없고 취원율 평균 미만 시군구>

종로구, 용산구, 광진구, 강북구, 도봉구, 마포구, 영등포구(이상 서울), 서구, 동래구, 남구, 사하구, 사상구(부산), 중구(대구), 동구, 남구(인천), 대덕구(대전), 군포시, 의왕시, 광주시, 이천시(경기), 계룡시(충남)

* 단설 없는 시군구, 전국 60. 하지만 단설 없어도 병설 충분하면 국공립 취원율 좋을 수 있음

 

 

3. 정의당의 제언

- 취원율 낮은 곳, 단설 없는 곳부터 국공립유치원 확대해야,

- 최저수준에 머물고 있는 부산지역에 대한 비상한 관심이 필요함.

 

대한민국 취원율은 OECD 하위권. OECD 평균 66.9%과 상당한 차이. 여기에 일부 사립유치원의 문제가 드러나고 있음. 따라서 국공립 확대할 필요가 있음.

 

정부는 <유치원 공공성 강화 방안>으로 국공립유치원 40% 조기 달성 천명. 의미있는 정책. 전국적으로 확충하는 가운데, 특히 취원율 낮은 대도시, 수도권, 단설유치원 없는 지역에 더욱 초점을 맞춰야 할 것. 어디에 살아도 고르게 국공립유치원의 혜택을 받아야 할 것이며, 특히 부산지역에 대한 비상한 관심이 필요함.

 

내년은 당초 500학급 확충에서 1천 학급으로 확대. 전통적인 단설과 병설 뿐만 아니라 병설형 단설, 매입형, 부모협동형, 공공시설 임대, 아파트 공동시설 임대 등 다양한 방식을 활용할 계획을 가지고 있음. 공립 확충을 다각도로 모색해왔던 보육분야의 경험을 벤치마킹할 필요가 있음

참고자료 1. 시도 유치원 현황(취원율 및 유치원 수)

 

시도

국공립 취원율

국공립유치원

단설유치원

원아수

취원율

유치원수

비율

유치원수

비율

서울

15,366

18.0%

226

25.8%

24

2.7%

부산

6,990

15.8%

99

24.0%

20

4.8%

대구

6,720

17.5%

105

28.5%

19

5.1%

인천

9,980

23.6%

167

39.5%

13

3.1%

광주

4,495

18.3%

129

41.1%

11

3.5%

대전

4,519

18.8%

98

36.4%

9

3.3%

울산

3,886

21.0%

80

40.6%

7

3.6%

세종

6,147

96.2%

56

94.9%

37

62.7%

경기

46,182

24.4%

1,179

51.8%

87

3.8%

강원

6,282

37.9%

263

70.5%

24

6.4%

충북

8,235

46.9%

246

72.1%

24

7.0%

충남

9,877

35.3%

374

73.2%

23

4.5%

전북

7,887

32.5%

365

68.7%

20

3.8%

전남

10,277

52.2%

434

78.8%

24

4.4%

경북

10,940

28.1%

465

65.6%

17

2.4%

경남

11,589

22.6%

418

60.5%

25

3.6%

제주

2,998

49.2%

97

81.5%

0

0.0%

전국

172,370

25.5%

4,801

53.2%

384

4.3%

* 201841일 기준 ** 비율은 전체 대비 *** 한국교육개발원 교육통계서비스 활용

 

 

시도

시군구

국공립 취원율

국공립유치원

원아수

취원율

유치원수

비율

단설유치원수

서울

종로구

216

16.6%

5

29.4%

0

 

중구

259

23.1%

4

28.6%

1

 

용산구

212

13.5%

4

23.5%

0

 

성동구

726

27.8%

13

41.9%

1

 

광진구

389

12.8%

6

16.7%

0

 

동대문구

599

18.9%

8

24.2%

2

 

중랑구

603

18.9%

9

27.3%

1

 

성북구

988

20.4%

13

26.0%

1

 

강북구

307

18.1%

5

21.7%

0

 

도봉구

207

7.7%

4

13.8%

0

 

노원구

681

10.3%

11

16.2%

1

 

은평구

735

18.7%

12

27.9%

2

 

서대문구

449

17.2%

5

18.5%

1

 

마포구

617

22.2%

9

34.6%

0

 

양천구

932

19.4%

12

25.5%

1

 

강서구

921

15.3%

13

23.2%

1

 

구로구

855

27.5%

11

32.4%

1

 

금천구

431

25.1%

6

33.3%

1

 

영등포구

542

14.6%

9

21.4%

0

 

동작구

534

15.3%

9

24.3%

1

 

관악구

817

21.3%

11

30.6%

1

 

서초구

738

25.3%

9

32.1%

2

 

강남구

1,010

25.1%

15

37.5%

3

 

송파구

995

16.4%

14

25.0%

2

 

강동구

603

14.0%

9

25.7%

1

부산

중구

59

31.2%

1

25.0%

0

 

서구

155

15.4%

3

30.0%

0

 

동구

269

35.6%

5

55.6%

1

 

영도구

214

23.1%

3

23.1%

1

 

부산진구

645

12.8%

8

17.8%

2

 

동래구

248

6.8%

4

12.5%

0

 

남구

320

11.0%

5

19.2%

0

 

북구

622

14.0%

9

24.3%

1

 

해운대구

431

8.9%

6

15.0%

1

 

사하구

304

7.6%

8

18.2%

0

 

금정구

305

10.5%

5

17.9%

1

 

강서구

1,193

35.3%

10

50.0%

6

 

연제구

369

22.0%

5

29.4%

1

 

수영구

407

20.0%

5

22.7%

2

 

사상구

171

5.6%

5

16.1%

0

 

기장군

1,278

36.5%

17

48.6%

4

대구

중구

156

20.0%

5

41.7%

0

 

동구

1,157

21.3%

21

34.4%

4

 

서구

340

25.9%

13

54.2%

0

 

남구

215

13.2%

1

6.3%

1

 

북구

1,088

14.1%

20

26.3%

1

 

수성구

639

10.5%

9

16.7%

2

 

달서구

1,159

12.3%

18

22.2%

2

 

달성군

1,966

32.5%

18

40.0%

9

인천

중구

800

40.9%

8

50.0%

3

 

동구

249

24.9%

6

46.2%

0

 

남구

558

11.6%

12

25.5%

0

 

연수구

1,289

23.5%

13

31.0%

1

 

남동구

1,845

19.0%

26

30.6%

3

 

부평구

1,189

19.2%

25

37.3%

1

 

계양구

676

20.6%

13

34.2%

1

 

서구

2,948

31.9%

39

45.9%

3

 

강화군

349

64.3%

17

85.0%

1

 

옹진군

77

53.1%

8

80.0%

0

광주

동구

297

32.4%

10

55.6%

1

 

서구

689

14.5%

23

41.1%

2

 

남구

909

23.0%

16

36.4%

3

 

북구

1,275

19.4%

41

38.7%

3

 

광산구

1,325

15.7%

39

43.3%

2

대전

동구

539

22.4%

14

37.8%

3

 

중구

595

16.0%

14

32.6%

2

 

서구

1,407

17.9%

25

30.9%

1

 

유성구

1,588

21.5%

34

44.7%

3

 

대덕구

390

14.8%

11

34.4%

0

울산

중구

944

29.3%

18

47.4%

1

 

남구

901

20.3%

18

40.0%

1

 

동구

504

18.5%

10

38.5%

1

 

북구

698

14.2%

10

25.6%

2

 

울주군

839

26.0%

24

49.0%

2

경기

수원시

4,104

20.3%

91

46.7%

8

 

성남시

2,619

24.1%

52

39.1%

8

 

부천시

2,155

19.7%

49

38.9%

3

 

안양시

1,386

21.4%

31

37.8%

2

 

과천시

107

30.3%

4

57.1%

0

 

안산시

1,097

13.2%

40

40.8%

2

 

용인시

3,011

17.2%

96

55.5%

1

 

군포시

780

21.4%

22

44.9%

0

 

의왕시

318

19.7%

11

45.8%

0

 

시흥시

1,915

32.9%

42

58.3%

4

 

평택시

1,495

19.2%

59

53.6%

1

 

화성시

5,158

29.7%

98

59.4%

10

 

오산시

1,228

19.7%

25

50.0%

2

 

광명시

1,458

38.4%

25

50.0%

3

 

광주시

674

22.8%

26

63.4%

0

 

하남시

1,716

58.8%

25

75.8%

5

 

김포시

2,721

26.5%

44

47.3%

6

 

이천시

598

21.7%

31

58.5%

0

 

안성시

716

28.9%

34

66.7%

1

 

여주시

381

32.0%

24

70.6%

0

 

양평군

454

73.5%

22

88.0%

1

 

고양시

3,355

23.6%

66

37.7%

8

 

남양주시

2,630

25.0%

62

56.4%

4

 

구리시

884

35.5%

17

53.1%

2

 

의정부시

1,299

25.4%

34

53.1%

4

 

파주시

2,030

26.7%

57

57.6%

5

 

동두천시

241

32.9%

11

57.9%

1

 

양주시

927

32.2%

32

65.3%

2

 

포천시

280

24.1%

25

71.4%

2

 

가평군

220

68.3%

13

86.7%

1

 

연천군

225

50.3%

11

84.6%

1

강원

춘천시

672

19.8%

23

51.1%

3

 

원주시

1,350

27.3%

37

51.4%

4

 

강릉시

671

36.2%

25

65.8%

3

 

동해시

270

22.0%

8

47.1%

2

 

태백시

245

64.6%

9

75.0%

2

 

속초시

370

62.1%

6

66.7%

2

 

삼척시

309

39.2%

12

70.6%

2

 

홍천군

342

56.3%

22

84.6%

1

 

횡성군

121

45.0%

11

84.6%

0

 

영월군

208

67.5%

12

80.0%

0

 

평창군

281

85.9%

14

82.4%

1

 

정선군

255

75.0%

14

93.3%

1

 

철원군

238

71.3%

10

76.9%

1

 

화천군

291

100.0%

13

92.9%

1

 

양구군

139

100.0%

9

100.0%

0

 

인제군

293

80.3%

14

93.3%

1

 

고성군

136

75.1%

10

90.9%

0

 

양양군

91

43.1%

14

93.3%

0

충북

청주시

3,903

38.8%

84

60.0%

11

 

충주시

1,119

50.4%

34

73.9%

3

 

제천시

809

46.2%

23

65.7%

2

 

보은군

182

75.8%

15

93.8%

0

 

옥천군

268

49.4%

13

76.5%

1

 

영동군

280

79.8%

12

85.7%

1

 

진천군

591

78.8%

14

87.5%

2

 

괴산군

159

75.0%

14

93.3%

0

 

음성군

635

61.4%

21

84.0%

3

 

단양군

133

100.0%

12

100.0%

1

 

증평군

156

57.8%

4

80.0%

0

충남

천안시

2,239

20.2%

58

50.9%

5

 

공주시

693

55.5%

28

80.0%

2

 

보령시

545

50.4%

30

90.9%

2

 

아산시

1,592

27.7%

36

60.0%

3

 

서산시

908

44.0%

29

69.0%

1

 

논산시

372

63.3%

28

87.5%

1

 

계룡시

169

22.5%

3

37.5%

0

 

금산군

228

72.6%

15

93.8%

1

 

부여군

296

56.5%

23

85.2%

1

 

서천군

245

100.0%

18

94.7%

0

 

청양군

173

65.8%

11

84.6%

1

 

홍성군

790

54.2%

21

77.8%

3

 

예산군

403

62.0%

22

84.6%

1

 

태안군

281

75.5%

22

95.7%

0

 

당진시

943

59.6%

30

83.3%

2

전북

전주시

2,172

21.0%

45

36.3%

4

 

군산시

1,157

29.7%

44

62.9%

3

 

익산시

1,040

25.0%

52

61.2%

1

 

정읍시

472

40.9%

34

82.9%

1

 

남원시

435

82.7%

26

92.9%

1

 

김제시

410

48.6%

35

87.5%

1

 

완주군

687

43.1%

29

76.3%

2

 

진안군

189

100.0%

12

100.0%

1

 

무주군

202

100.0%

9

100.0%

1

 

장수군

183

100.0%

8

100.0%

1

 

임실군

185

100.0%

14

100.0%

1

 

순창군

206

100.0%

15

100.0%

1

 

고창군

242

67.0%

20

90.9%

1

 

부안군

307

65.2%

22

88.0%

1

전남

목포시

1,295

35.1%

33

56.9%

3

 

여수시

1,516

46.6%

54

72.0%

2

 

순천시

1,685

44.4%

40

63.5%

4

 

나주시

1,052

71.6%

23

79.3%

5

 

광양시

649

42.4%

26

68.4%

1

 

담양군

278

85.3%

14

93.3%

0

 

곡성군

149

100.0%

8

100.0%

1

 

구례군

110

64.0%

11

91.7%

0

 

고흥군

219

76.8%

19

90.5%

1

 

보성군

138

73.0%

17

89.5%

0

 

화순군

246

52.9%

16

84.2%

0

 

장흥군

214

65.4%

14

87.5%

0

 

강진군

128

100.0%

14

100.0%

0

 

해남군

318

59.6%

19

86.4%

1

 

영암군

297

62.8%

15

83.3%

1

 

무안군

521

63.3%

18

85.7%

2

 

함평군

117

89.3%

11

91.7%

0

 

영광군

241

60.0%

14

87.5%

1

 

장성군

259

51.2%

13

81.3%

1

 

완도군

517

87.9%

22

91.7%

1

 

진도군

127

54.5%

11

84.6%

0

 

신안군

201

100.0%

22

100.0%

0

경북

포항시

1,294

15.4%

57

49.6%

1

 

경주시

1,202

37.9%

44

71.0%

1

 

김천시

874

39.6%

27

71.1%

4

 

안동시

1,030

45.2%

32

78.0%

2

 

구미시

1,538

14.8%

39

37.9%

2

 

영주시

443

43.1%

19

70.4%

0

 

영천시

434

59.7%

20

87.0%

1

 

상주시

578

44.4%

30

85.7%

1

 

문경시

331

41.4%

19

73.1%

1

 

경산시

887

20.1%

28

43.8%

2

 

군위군

90

100.0%

8

100.0%

0

 

의성군

96

56.5%

15

93.8%

0

 

청송군

216

100.0%

8

100.0%

0

 

영양군

81

74.3%

7

87.5%

0

 

영덕군

84

62.2%

10

90.9%

0

 

청도군

123

40.3%

11

78.6%

0

 

고령군

84

49.4%

7

77.8%

0

 

성주군

119

63.0%

14

93.3%

0

 

칠곡군

622

33.9%

21

63.6%

1

 

예천군

362

83.8%

12

85.7%

1

 

봉화군

125

72.7%

16

94.1%

0

 

울진군

255

100.0%

16

100.0%

0

 

울릉군

72

61.0%

5

83.3%

0

경남

창원시

3,049

17.4%

94

47.5%

5

 

진주시

969

23.0%

30

58.8%

2

 

통영시

754

42.2%

19

63.3%

2

 

사천시

371

40.8%

12

60.0%

2

 

김해시

1,691

17.6%

48

52.7%

2

 

밀양시

360

35.9%

19

76.0%

1

 

거제시

990

19.3%

29

50.9%

1

 

양산시

1,247

16.3%

29

43.9%

1

 

의령군

160

100.0%

10

100.0%

1

 

함안군

241

27.7%

14

66.7%

1

 

창녕군

278

51.1%

17

81.0%

1

 

고성군

272

100.0%

18

100.0%

1

 

남해군

159

100.0%

10

100.0%

1

 

하동군

142

100.0%

15

100.0%

1

 

산청군

163

100.0%

13

100.0%

0

 

함양군

261

79.6%

11

91.7%

1

 

거창군

303

55.8%

14

87.5%

1

 

합천군

179

66.5%

16

94.1%

1

제주

제주시

2,191

44.8%

58

77.3%

0

 

서귀포시

807

66.9%

39

88.6%

0

참고자료 2. 시군구 유치원 현황(취원율 및 유치원 수)

 

 

참고자료 3. 권역별 비교

 

 

국공립 취원율

국공립유치원

단설유치원

원아수

취원율

유치원수

비율

유치원수

비율

수도권

71,528

22.6%

1,572

44.0%

124

3.5%

강원?제주권

9,280

41.0%

360

73.2%

24

4.9%

충청권

28,778

37.9%

774

65.6%

93

7.9%

호남권

22,659

33.0%

928

66.5%

55

3.9%

영남권

40,125

20.9%

1,167

49.1%

88

3.7%

 

 

614-855 부산시 부산진구 양정동 연수로 18-1 서기빌딩 4 Tel 051-851-1219 Fax051-864-1217

홈페이지 www.justice21.org/go/bs 공식메일bsjustice21@hanmail.net

문서번호 : 정의당 부산시당 제181126-1

수 신 : 각 언론사

참 조 : 담당 기자

문 의 : 정의당 부산시당 051-851-1219

 

 

부산 국공립유치원 비율, 취원율에서 전국 최저

부산지역 국공립유치원확대에 비상한 관심 필요

 

 

부산지역 국공립 유치원 취원율이 전국 최저인 것으로 밝혀졌다. 정의당 부산시당에 따르면, 부산지역 국공립유치원 취원율은 15.8%로 전국 최저이며, 전국 25.5%에 한참 미달하는 수치이다. 기초단위별로도 전국 취원율 최하위 지역 10군데 중 6군데가 부산이었고, 부산지역의 취원율은 대부분 평균 이하에 머물렀다.

 

부산지역 국공립 유치원 취원율이 낮은 원인으로는 우선은 국공립 유치원의 숫자가 99(전체 유치원 중 국공립유치원 비율 24%)로 절대적으로 부족하다는데 우선 원인이 있다. 대도시의 경우 대체로 낮은 경향을 보이기는 하나, 영남지역이 하위권에 머물고 있고, 특히 부산이 최저라는 점에 관심을 가져야 한다. 최근 유치원 개수나 취원율이 증가추세에 있다는 점도 고려해야 한다.

 

최근 일부 사립유치원의 비리로 떠들썩한 가운데, 국공립유치원을 확대하겠다는 정부정책은 환영하지만, 가장 취약한 지역을 우선적으로 고려해 사업을 추진해야 할 것이다. 특히 부산지역에서는 보육의 정상화를 위한 다각도의 노력이 필요하다.

 

 

 

 

1. 국공립유치원 취원율 부산이 최저

 

- 국공립취원율은 세종이 96.2%로 가장 높고, 전남(52.2%)과 제주(49.2%)가 다음.

 

- 취원율 낮은 곳은 부산(15.8%) 대구(17.5%) 서울(18.0%) , 영남 5개 시도의 취원율은 20.9%로 낮은 편이며, 부산이 전국 최저

 

- (국공립유치원) 국공립유치원의 비율은 취원율과 비슷한 양상. 세종 제주 전남이 높고, 부산 서울 대구가 낮음.

 

- 국공립 취원율은 농산어촌 높고 대도시 낮은 것이 특징. 땅값과 사립유치원 등의 사유로 농산어촌에 국공립유치원을 많이 세웠기 때문.

 

<전국 시도 유치원 취원율 현황>

 

 

유치원

취원율

유치원

비율

단설유치원

비율, 개수

 

유치원

취원율

유치원

비율

단설유치원

비율, 개수

서울

18.0%

25.8%

2.7%

24

강원

37.9%

70.5%

6.4%

24

부산

15.8%

24.0%

4.8%

20

충북

46.9%

72.1%

7.0%

24

대구

17.5%

28.5%

5.1%

19

충남

35.3%

73.2%

4.5%

23

인천

23.6%

39.5%

3.1%

13

전북

32.5%

68.7%

3.8%

20

광주

18.3%

41.1%

3.5%

11

전남

52.2%

78.8%

4.4%

24

대전

18.8%

36.4%

3.3%

9

경북

28.1%

65.6%

2.4%

17

울산

21.0%

40.6%

3.6%

7

경남

22.6%

60.5%

3.6%

25

세종

96.2%

94.9%

62.7%

37

제주

49.2%

81.5%

0.0%

0

경기

24.4%

51.8%

3.8%

87

전국

25.5%

53.2%

4.3%

384

* 단설 : 왼편은 단설유치원 비율, 오른편은 단설유치원 수 ** 비율은 전체유치원 대비

 

< 2018년 국공립유치원 현황 >

 

 

취원율

유치원 수

단설 수

2018

25.5%

4,801개원(53.2%)

384개원

전년 대비 증감

0.7%p

54개원(0.6%p)

30개원

* 매년 41일 기준 ** 출처 : 한국교육개발원 교육통계서비스 *** 취원율 : 원아수

 

- 2018년 국공립유치원의 취원율은 전체 25.5%, 원아는 172370. 국공립유치원은 4801개원(53.2%)이고, 단설유치원은 384개원

* 국공립이 유치원 비율 53.2%인데, 취원율 25.5%인 이유는 규모 때문. 병설이 많음.

 

- 전년보다 취원율, 유치원수, 단설유치원수 모두 증가추세에 있으며, 바람직한 방향으로 가고 있으나, 부산은 최 하위.

 

 

2. 취원율 10% 미만인 시군구 중 부산이 4군데

- 부산지역 취원율은 대부분 평균 이하

- 최하위 10군데중 6곳이 부산, 평균

 

- 취원율 10% 미만부산 사상구(5.6%), 부산 동래구(6.8%), 부산 사하구(7.6%), 서울 도봉구(7.7%), 부산 해운대구(8.9%) 5, 이중 4군데가 부산.

 

- 기장군 (36.5%), 동구 (35.6%), 강서구(35.3%)제외하면 부산지역 취원율은 평균(25.5%)이하

 

- 전국 최하위 10군데 시군구 중, 6군데가 부산. 사상구, 동래구, 사하구, 해운대구, 금정구, 남구. 최하위 20군데 중에서는 8군데가 부산.

 

<전국 취원율 최하위 시군구>

 

1

부산

사상구

171

5.60%

5

16.10%

0

2

부산

동래구

248

6.80%

4

12.50%

0

3

부산

사하구

304

7.60%

8

18.20%

0

4

서울

도봉구

207

7.70%

4

13.80%

0

5

부산

해운대구

431

8.90%

6

15.00%

1

6

서울

노원구

681

10.30%

11

16.20%

1

7

부산

금정구

305

10.50%

5

17.90%

1

8

대구

수성구

639

10.50%

9

16.70%

2

9

부산

남구

320

11.00%

5

19.20%

0

10

인천

남구

558

11.60%

12

25.50%

0

11

대구

달서구

1,159

12.30%

18

22.20%

2

12

서울

광진구

389

12.80%

6

16.70%

0

13

부산

부산진구

645

12.80%

8

17.80%

2

14

대구

남구

215

13.20%

1

6.30%

1

15

경기

안산시

1,097

13.20%

40

40.80%

2

16

서울

용산구

212

13.50%

4

23.50%

0

17

서울

강동구

603

14.00%

9

25.70%

1

18

부산

북구

622

14.00%

9

24.30%

1

19

대구

북구

1,088

14.10%

20

26.30%

1

20

울산

북구

698

14.20%

10

25.60%

2

 

 

<취원율 100% 시군구>

화천군, 양구군(이상 강원), 단양군(충북), 서천군(충남), 진안군, 무주군, 장수군, 임실군, 순창군(전북), 곡성군, 강진군, 신안군(전남), 군위군, 청송군, 울진군(경북), 의령군, 고성군, 남해군, 하동군, 산청군(경남)

- (유치원) 지역내 유치원이 모두 국공립인 곳은 전국 18개 시군구 : * 위 취원율 100% 시군구에서 강원 화천군과 충남 서천군을 제외한 18

 

- 전국 21, 국공립 취원율 평균 미만이면서 단설유치원 없음 : 부산은 서구, 동래구, 남구, 사하구, 사상구가 해당

 

<단설 없고 취원율 평균 미만 시군구>

종로구, 용산구, 광진구, 강북구, 도봉구, 마포구, 영등포구(이상 서울), 서구, 동래구, 남구, 사하구, 사상구(부산), 중구(대구), 동구, 남구(인천), 대덕구(대전), 군포시, 의왕시, 광주시, 이천시(경기), 계룡시(충남)

* 단설 없는 시군구, 전국 60. 하지만 단설 없어도 병설 충분하면 국공립 취원율 좋을 수 있음

 

 

3. 정의당의 제언

- 취원율 낮은 곳, 단설 없는 곳부터 국공립유치원 확대해야,

- 최저수준에 머물고 있는 부산지역에 대한 비상한 관심이 필요함.

 

대한민국 취원율은 OECD 하위권. OECD 평균 66.9%과 상당한 차이. 여기에 일부 사립유치원의 문제가 드러나고 있음. 따라서 국공립 확대할 필요가 있음.

 

정부는 <유치원 공공성 강화 방안>으로 국공립유치원 40% 조기 달성 천명. 의미있는 정책. 전국적으로 확충하는 가운데, 특히 취원율 낮은 대도시, 수도권, 단설유치원 없는 지역에 더욱 초점을 맞춰야 할 것. 어디에 살아도 고르게 국공립유치원의 혜택을 받아야 할 것이며, 특히 부산지역에 대한 비상한 관심이 필요함.

 

내년은 당초 500학급 확충에서 1천 학급으로 확대. 전통적인 단설과 병설 뿐만 아니라 병설형 단설, 매입형, 부모협동형, 공공시설 임대, 아파트 공동시설 임대 등 다양한 방식을 활용할 계획을 가지고 있음. 공립 확충을 다각도로 모색해왔던 보육분야의 경험을 벤치마킹할 필요가 있음

참고자료 1. 시도 유치원 현황(취원율 및 유치원 수)

 

시도

국공립 취원율

국공립유치원

단설유치원

원아수

취원율

유치원수

비율

유치원수

비율

서울

15,366

18.0%

226

25.8%

24

2.7%

부산

6,990

15.8%

99

24.0%

20

4.8%

대구

6,720

17.5%

105

28.5%

19

5.1%

인천

9,980

23.6%

167

39.5%

13

3.1%

광주

4,495

18.3%

129

41.1%

11

3.5%

대전

4,519

18.8%

98

36.4%

9

3.3%

울산

3,886

21.0%

80

40.6%

7

3.6%

세종

6,147

96.2%

56

94.9%

37

62.7%

경기

46,182

24.4%

1,179

51.8%

87

3.8%

강원

6,282

37.9%

263

70.5%

24

6.4%

충북

8,235

46.9%

246

72.1%

24

7.0%

충남

9,877

35.3%

374

73.2%

23

4.5%

전북

7,887

32.5%

365

68.7%

20

3.8%

전남

10,277

52.2%

434

78.8%

24

4.4%

경북

10,940

28.1%

465

65.6%

17

2.4%

경남

11,589

22.6%

418

60.5%

25

3.6%

제주

2,998

49.2%

97

81.5%

0

0.0%

전국

172,370

25.5%

4,801

53.2%

384

4.3%

* 201841일 기준 ** 비율은 전체 대비 *** 한국교육개발원 교육통계서비스 활용

 

 

시도

시군구

국공립 취원율

국공립유치원

원아수

취원율

유치원수

비율

단설유치원수

서울

종로구

216

16.6%

5

29.4%

0

 

중구

259

23.1%

4

28.6%

1

 

용산구

212

13.5%

4

23.5%

0

 

성동구

726

27.8%

13

41.9%

1

 

광진구

389

12.8%

6

16.7%

0

 

동대문구

599

18.9%

8

24.2%

2

 

중랑구

603

18.9%

9

27.3%

1

 

성북구

988

20.4%

13

26.0%

1

 

강북구

307

18.1%

5

21.7%

0

 

도봉구

207

7.7%

4

13.8%

0

 

노원구

681

10.3%

11

16.2%

1

 

은평구

735

18.7%

12

27.9%

2

 

서대문구

449

17.2%

5

18.5%

1

 

마포구

617

22.2%

9

34.6%

0

 

양천구

932

19.4%

12

25.5%

1

 

강서구

921

15.3%

13

23.2%

1

 

구로구

855

27.5%

11

32.4%

1

 

금천구

431

25.1%

6

33.3%

1

 

영등포구

542

14.6%

9

21.4%

0

 

동작구

534

15.3%

9

24.3%

1

 

관악구

817

21.3%

11

30.6%

1

 

서초구

738

25.3%

9

32.1%

2

 

강남구

1,010

25.1%

15

37.5%

3

 

송파구

995

16.4%

14

25.0%

2

 

강동구

603

14.0%

9

25.7%

1

부산

중구

59

31.2%

1

25.0%

0

 

서구

155

15.4%

3

30.0%

0

 

동구

269

35.6%

5

55.6%

1

 

영도구

214

23.1%

3

23.1%

1

 

부산진구

645

12.8%

8

17.8%

2

 

동래구

248

6.8%

4

12.5%

0

 

남구

320

11.0%

5

19.2%

0

 

북구

622

14.0%

9

24.3%

1

 

해운대구

431

8.9%

6

15.0%

1

 

사하구

304

7.6%

8

18.2%

0

 

금정구

305

10.5%

5

17.9%

1

 

강서구

1,193

35.3%

10

50.0%

6

 

연제구

369

22.0%

5

29.4%

1

 

수영구

407

20.0%

5

22.7%

2

 

사상구

171

5.6%

5

16.1%

0

 

기장군

1,278

36.5%

17

48.6%

4

대구

중구

156

20.0%

5

41.7%

0

 

동구

1,157

21.3%

21

34.4%

4

 

서구

340

25.9%

13

54.2%

0

 

남구

215

13.2%

1

6.3%

1

 

북구

1,088

14.1%

20

26.3%

1

 

수성구

639

10.5%

9

16.7%

2

 

달서구

1,159

12.3%

18

22.2%

2

 

달성군

1,966

32.5%

18

40.0%

9

인천

중구

800

40.9%

8

50.0%

3

 

동구

249

24.9%

6

46.2%

0

 

남구

558

11.6%

12

25.5%

0

 

연수구

1,289

23.5%

13

31.0%

1

 

남동구

1,845

19.0%

26

30.6%

3

 

부평구

1,189

19.2%

25

37.3%

1

 

계양구

676

20.6%

13

34.2%

1

 

서구

2,948

31.9%

39

45.9%

3

 

강화군

349

64.3%

17

85.0%

1

 

옹진군

77

53.1%

8

80.0%

0

광주

동구

297

32.4%

10

55.6%

1

 

서구

689

14.5%

23

41.1%

2

 

남구

909

23.0%

16

36.4%

3

 

북구

1,275

19.4%

41

38.7%

3

 

광산구

1,325

15.7%

39

43.3%

2

대전

동구

539

22.4%

14

37.8%

3

 

중구

595

16.0%

14

32.6%

2

 

서구

1,407

17.9%

25

30.9%

1

 

유성구

1,588

21.5%

34

44.7%

3

 

대덕구

390

14.8%

11

34.4%

0

울산

중구

944

29.3%

18

47.4%

1

 

남구

901

20.3%

18

40.0%

1

 

동구

504

18.5%

10

38.5%

1

 

북구

698

14.2%

10

25.6%

2

 

울주군

839

26.0%

24

49.0%

2

경기

수원시

4,104

20.3%

91

46.7%

8

 

성남시

2,619

24.1%

52

39.1%

8

 

부천시

2,155

19.7%

49

38.9%

3

 

안양시

1,386

21.4%

31

37.8%

2

 

과천시

107

30.3%

4

57.1%

0

 

안산시

1,097

13.2%

40

40.8%

2

 

용인시

3,011

17.2%

96

55.5%

1

 

군포시

780

21.4%

22

44.9%

0

 

의왕시

318

19.7%

11

45.8%

0

 

시흥시

1,915

32.9%

42

58.3%

4

 

평택시

1,495

19.2%

59

53.6%

1

 

화성시

5,158

29.7%

98

59.4%

10

 

오산시

1,228

19.7%

25

50.0%

2

 

광명시

1,458

38.4%

25

50.0%

3

 

광주시

674

22.8%

26

63.4%

0

 

하남시

1,716

58.8%

25

75.8%

5

 

김포시

2,721

26.5%

44

47.3%

6

 

이천시

598

21.7%

31

58.5%

0

 

안성시

716

28.9%

34

66.7%

1

 

여주시

381

32.0%

24

70.6%

0

 

양평군

454

73.5%

22

88.0%

1

 

고양시

3,355

23.6%

66

37.7%

8

 

남양주시

2,630

25.0%

62

56.4%

4

 

구리시

884

35.5%

17

53.1%

2

 

의정부시

1,299

25.4%

34

53.1%

4

 

파주시

2,030

26.7%

57

57.6%

5

 

동두천시

241

32.9%

11

57.9%

1

 

양주시

927

32.2%

32

65.3%

2

 

포천시

280

24.1%

25

71.4%

2

 

가평군

220

68.3%

13

86.7%

1

 

연천군

225

50.3%

11

84.6%

1

강원

춘천시

672

19.8%

23

51.1%

3

 

원주시

1,350

27.3%

37

51.4%

4

 

강릉시

671

36.2%

25

65.8%

3

 

동해시

270

22.0%

8

47.1%

2

 

태백시

245

64.6%

9

75.0%

2

 

속초시

370

62.1%

6

66.7%

2

 

삼척시

309

39.2%

12

70.6%

2

 

홍천군

342

56.3%

22

84.6%

1

 

횡성군

121

45.0%

11

84.6%

0

 

영월군

208

67.5%

12

80.0%

0

 

평창군

281

85.9%

14

82.4%

1

 

정선군

255

75.0%

14

93.3%

1

 

철원군

238

71.3%

10

76.9%

1

 

화천군

291

100.0%

13

92.9%

1

 

양구군

139

100.0%

9

100.0%

0

 

인제군

293

80.3%

14

93.3%

1

 

고성군

136

75.1%

10

90.9%

0

 

양양군

91

43.1%

14

93.3%

0

충북

청주시

3,903

38.8%

84

60.0%

11

 

충주시

1,119

50.4%

34

73.9%

3

 

제천시

809

46.2%

23

65.7%

2

 

보은군

182

75.8%

15

93.8%

0

 

옥천군

268

49.4%

13

76.5%

1

 

영동군

280

79.8%

12

85.7%

1

 

진천군

591

78.8%

14

87.5%

2

 

괴산군

159

75.0%

14

93.3%

0

 

음성군

635

61.4%

21

84.0%

3

 

단양군

133

100.0%

12

100.0%

1

 

증평군

156

57.8%

4

80.0%

0

충남

천안시

2,239

20.2%

58

50.9%

5

 

공주시

693

55.5%

28

80.0%

2

 

보령시

545

50.4%

30

90.9%

2

 

아산시

1,592

27.7%

36

60.0%

3

 

서산시

908

44.0%

29

69.0%

1

 

논산시

372

63.3%

28

87.5%

1

 

계룡시

169

22.5%

3

37.5%

0

 

금산군

228

72.6%

15

93.8%

1

 

부여군

296

56.5%

23

85.2%

1

 

서천군

245

100.0%

18

94.7%

0

 

청양군

173

65.8%

11

84.6%

1

 

홍성군

790

54.2%

21

77.8%

3

 

예산군

403

62.0%

22

84.6%

1

 

태안군

281

75.5%

22

95.7%

0

 

당진시

943

59.6%

30

83.3%

2

전북

전주시

2,172

21.0%

45

36.3%

4

 

군산시

1,157

29.7%

44

62.9%

3

 

익산시

1,040

25.0%

52

61.2%

1

 

정읍시

472

40.9%

34

82.9%

1

 

남원시

435

82.7%

26

92.9%

1

 

김제시

410

48.6%

35

87.5%

1

 

완주군

687

43.1%

29

76.3%

2

 

진안군

189

100.0%

12

100.0%

1

 

무주군

202

100.0%

9

100.0%

1

 

장수군

183

100.0%

8

100.0%

1

 

임실군

185

100.0%

14

100.0%

1

 

순창군

206

100.0%

15

100.0%

1

 

고창군

242

67.0%

20

90.9%

1

 

부안군

307

65.2%

22

88.0%

1

전남

목포시

1,295

35.1%

33

56.9%

3

 

여수시

1,516

46.6%

54

72.0%

2

 

순천시

1,685

44.4%

40

63.5%

4

 

나주시

1,052

71.6%

23

79.3%

5

 

광양시

649

42.4%

26

68.4%

1

 

담양군

278

85.3%

14

93.3%

0

 

곡성군

149

100.0%

8

100.0%

1

 

구례군

110

64.0%

11

91.7%

0

 

고흥군

219

76.8%

19

90.5%

1

 

보성군

138

73.0%

17

89.5%

0

 

화순군

246

52.9%

16

84.2%

0

 

장흥군

214

65.4%

14

87.5%

0

 

강진군

128

100.0%

14

100.0%

0

 

해남군

318

59.6%

19

86.4%

1

 

영암군

297

62.8%

15

83.3%

1

 

무안군

521

63.3%

18

85.7%

2

 

함평군

117

89.3%

11

91.7%

0

 

영광군

241

60.0%

14

87.5%

1

 

장성군

259

51.2%

13

81.3%

1

 

완도군

517

87.9%

22

91.7%

1

 

진도군

127

54.5%

11

84.6%

0

 

신안군

201

100.0%

22

100.0%

0

경북

포항시

1,294

15.4%

57

49.6%

1

 

경주시

1,202

37.9%

44

71.0%

1

 

김천시

874

39.6%

27

71.1%

4

 

안동시

1,030

45.2%

32

78.0%

2

 

구미시

1,538

14.8%

39

37.9%

2

 

영주시

443

43.1%

19

70.4%

0

 

영천시

434

59.7%

20

87.0%

1

 

상주시

578

44.4%

30

85.7%

1

 

문경시

331

41.4%

19

73.1%

1

 

경산시

887

20.1%

28

43.8%

2

 

군위군

90

100.0%

8

100.0%

0

 

의성군

96

56.5%

15

93.8%

0

 

청송군

216

100.0%

8

100.0%

0

 

영양군

81

74.3%

7

87.5%

0

 

영덕군

84

62.2%

10

90.9%

0

 

청도군

123

40.3%

11

78.6%

0

 

고령군

84

49.4%

7

77.8%

0

 

성주군

119

63.0%

14

93.3%

0

 

칠곡군

622

33.9%

21

63.6%

1

 

예천군

362

83.8%

12

85.7%

1

 

봉화군

125

72.7%

16

94.1%

0

 

울진군

255

100.0%

16

100.0%

0

 

울릉군

72

61.0%

5

83.3%

0

경남

창원시

3,049

17.4%

94

47.5%

5

 

진주시

969

23.0%

30

58.8%

2

 

통영시

754

42.2%

19

63.3%

2

 

사천시

371

40.8%

12

60.0%

2

 

김해시

1,691

17.6%

48

52.7%

2

 

밀양시

360

35.9%

19

76.0%

1

 

거제시

990

19.3%

29

50.9%

1

 

양산시

1,247

16.3%

29

43.9%

1

 

의령군

160

100.0%

10

100.0%

1

 

함안군

241

27.7%

14

66.7%

1

 

창녕군

278

51.1%

17

81.0%

1

 

고성군

272

100.0%

18

100.0%

1

 

남해군

159

100.0%

10

100.0%

1

 

하동군

142

100.0%

15

100.0%

1

 

산청군

163

100.0%

13

100.0%

0

 

함양군

261

79.6%

11

91.7%

1

 

거창군

303

55.8%

14

87.5%

1

 

합천군

179

66.5%

16

94.1%

1

제주

제주시

2,191

44.8%

58

77.3%

0

 

서귀포시

807

66.9%

39

88.6%

0

참고자료 2. 시군구 유치원 현황(취원율 및 유치원 수)

 

 

참고자료 3. 권역별 비교

 

 

국공립 취원율

국공립유치원

단설유치원

원아수

취원율

유치원수

비율

유치원수

비율

수도권

71,528

22.6%

1,572

44.0%

124

3.5%

강원?제주권

9,280

41.0%

360

73.2%

24

4.9%

충청권

28,778

37.9%

774

65.6%

93

7.9%

호남권

22,659

33.0%

928

66.5%

55

3.9%

영남권

40,125

20.9%

1,167

49.1%

88

3.7%

 

참여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