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미래정치센터 블로그기자단] 타향살이 대학생의 주거문제 기획기사1 "지방 대학생 주거생활 VS 서울 대학생 주거생활" 강성수 기자

<타향살이 대학생의 주거문제 기획기사1>

 

지방 대학생 주거생활 VS 서울 대학생 주거생활

 

대학생 주거 문제는 어제 오늘 일이 아니다. 하지만 지방에서 대학을 다니는 학생들의 주거 문제가 사회적 문제로 언급된 적은 없었다. 대학생 주거문제의 대부분은 서울에서 존재한다. 그렇다면 지방에서 대학생활을 하는 학생들과 서울에서 대학생활을 하는 학생들의 주거생활 차이점은 무엇일까? 두 집단 사이 차이점을 살펴보면, 서울에서 생활하는 대학생들이 지방에서 대학생활을 하는 학생들보다 심각한 불편함과 어려움을 가지고 있다는 것을 보여줄 수 있을 것이다. 다음은 지방에서 생활하는 대학생들과 서울에서 생활하는 대학생들의 인터뷰 내용이다.

 

고향은 지방이지만, 서울에서 대학생활을 하고 있는 학생들 인터뷰.

 

인터뷰 대상은 2명이다. 한 명은 남학생으로 고향은 강릉이고 현재는 서울에서 대학생활을 하고 있다. 다른 한 명은 여학생으로 고향은 강릉이고 현재는 서울에서 대학생활을 하고 있다. 두 명의 학생 모두 신원 보호를 위해서 익명으로 처리했다. 남자는 C군 여자는 K양으로 대체하였다.

 

1. 현재 어떤 형태의 주거생활을 하고 있습니까?

 

 C군 : 현재 학교 옆에 있는 자취방에서 생활하고 있습니다.

 K양 : 현재 학교와 걸어서 30분 정도 떨어진 고시원에 살고 있습니다.

 

2. 학교 기숙사는 신청했습니까?

 

C군 : 제가 입학할 때는 학교에 기숙사가 없었어요. 2014년 2학기, 제가 3학년 2학기일 때 일반학생을 위한 기숙사가 마련되었어요. 그래서 기숙사를 신청했었는데, 탈락했어요. 기숙사가 수용할 수 있는 인원은 적지만 기숙사에 살고 싶어 하는 인원은 많아서 경쟁이 치열한 것 같아요. 

 

기숙사 수용인원을 정확하게는 모르겠는데, 기숙사 건물이 여자, 남자 한 개씩, 총 2개 있어요. 여자건물 같은 경우 5층까지 있고 한 층에 방이 10개 있어요. 6인실 방이 2개, 4인실 방이 4개, 2인실 방이 4개 있어요. 한 층에 대략 36명이 살고 있고 5층까지 모두 합하면 대략 180명이 살고 있어요. 남자 기숙사도 마찬가지고요. 결과적으로 대략 남녀 합해서 360명의 학생만 기숙사에 살 수 있어요.

 

지금은 4학년인데, 4학년은 기숙사에 살지 못한다고 해서 신청을 못 했고요. 결과적으로 1학년 때부터 졸업할 때까지 계속 자취방에서 살아야 해요.

 

 K양 : 저희 학교는 기숙사 시설이 없는 것으로 알고 있어요.

 

3. 자취를 하면서 불편 한 점은 무엇입니까?

 

C군 : 가장 부담이 되는 건 비용이에요. 보증금 500만 원에 월세 50만 원인 방에서 살고 있고 공과금은 따로 내고 있어요. 현재 부모님이 방값을 부담해주시고 계시는데, 부모님 소득에서 1/4 정도를 차지하는 금액이라서 생활비는 아르바이트하면서 충당하고 있어요. 학교수업과 아르바이트를 하다 보면 개인적인 시간이 거의 없어요. 보고 싶은 책이나 영화도 볼 시간이 부족하고 전공 공부할 시간도 넉넉하지 않아요.


지방보다 상대적으로 자취방 비용이 비싼데도 시설은 그렇게 좋지 않아요. 위치 자체가 높은 곳에 있어서 수압이 낮고 방 여기저기 곰팡이도 피어 있고요. 위치도 학교랑은 가까운데, 역세권이랑은 멀어요. 버스를 타고 20분 정도를 가야지 지하철역이 나와요.

 

K양 : 현재 저는 보증금이랑 공과금 없이 월세 29만 원 고시원에서 거주하고 있는데, 비용이 일반적인 자취방보다 저렴하다 보니 불편한 점이 많이 있어요. 첫 번째로 방음이 너무 안 돼요. 어느 정도 방음이 안 되느냐면, 옆집에서 봉지에서 물건을 꺼내는 소리까지 모두 들려요. 


두 번째로 안전문제가 있어요. 고시원 계약할 때, 학생만 거주하니까 안전문제는 걱정 없다고 들었어요. 얼마 전에 있었던 일인데, 고시원에 로비가 있어요. 그곳에 고시원을 관리하시는 분이 빵이랑 잼을 놔둬요. 방이 답답해서 그쪽에서 과제를 하고 있었어요. 그런데 고시원에서 처음 보는 어떤 중년 남성분이 로비에서 서성거리고 있었어요. 고시원에 몇 개월 살면 같은 층에 있는 사람들과 교류는 없지만 누가 몇 호에 살는지 정도는 알아요. 그런데 처음 본 아저씨가 로비에 서성거리는 게 무서워서 방으로 들어왔어요. 나중에 관리하시는 분에게 말해서 CCTV를 확인해 보니까, 빵이랑 잼을 훔쳐갔어요. 


이런 불편한 점 외에도, 학교랑 거리도 멀어요. 학교까지 걸어서 30분 거리예요. 학교랑 거리가 가까운 고시원은 가격이 지금보다 10만 원 이상 비싸요. 저렴하게 살려고 하다 보니 어쩔 수 없이 이런 불편한 점들은 감수하면서 살고 있어요.

 

 

고향은 서울이지만, 지방에서 대학생활을 하고 있는 학생들 인터뷰.

 

인터뷰 대상은 2명이다. 한명은 남학생으로 고향은 서울 왕십리이고 현재는 공주에서 대학생활을 하고 있다. 다른 한명은 여학생으로 고향은 서울 목동이고 현재는 대전에서 대학생활을 하고 있다. 학생들의 신원 보호를 위하여 익명으로 처리했다. 공주에서 생활하는 남학생은 P군, 대전에서 생활하고 있는 여학생은 J양으로 대체했다.

 

1. 현재 어떤 형태의 주거생활을 하고 있습니까?

 

 P군 : 현재 학교와 걸어서 15분 정도 소요되는 곳에서 자취를 하고 있어요.

 J양 : 현재 학교와 걸어서 5분정도 소요되는 곳에서 자취하고 있어요.

 

2. 학교 기숙사는 신청했습니까?

 

P군 : 2015년 2학기 기숙사 신청을 해서 합격했어요. 신입생이던 2009년에 기숙사에 살아본 경험이 있어요. 그 이후 군대를 제대하고 2학년 1학기부터 현재(4학년 1학기)까지 지금 사는 방에서 자취했어요. 마지막 학기에 도서관이랑 가까운 기숙사로 거취를 옮겨서 취업에 집중하고 싶어서 기숙사를 신청했어요.

 

J양 : 신청하지 않았어요. 3학년 때까지는 기숙사에서 생활했었는데요. 4학년이 되고 나서는 혼자 살고 싶어서 자취하게 되었어요. 학교 주변 자취방이랑 기숙사 비용이 비슷해요. 식사를 포함한 기숙사 비용이 대략 120만 원 이고 자취방은 보증금 100만 원에 공과금 포함해서 32만 원이에요. 인문대 학생이라서 보통 수업을 거의 인문대학교 건물에서 듣는데, 기숙사에 인문대학교 건물까지 이동 시간보다 자취방에서 인문대까지 이동 시간이 가까워요.

 

3. 자취를 하면서 불편 한 점은 무엇입니까?

 

 P군 : 자취하면서 가장 불편한 점은 음식을 대부분 사 먹어야 돼서, 비용도 많이 들고 인스턴트 위주로 사 먹다 보니 설사도 자주 하고 건강도 해치는 것 같아요. 그래서 매일 규칙적으로 밥을 제공해주기 때문에 기숙사를 신청하게 되었어요.

 

 J양 : 학교 주변 번화가에 살다 보니까, 안전하고 편의시설이 많은 것은 좋은데, 가끔 밖에서 들려오는 소음 때문에 잠을 설친 적이 몇 번 있어요. 그리고 모든 자취생의 공통적인 문제는 아마 밥을 어떻게 해결할까? 하는 문제일 것 같아요. 저도 P군과 마찬가지로 인스턴트 제품 위주로 사 먹다 보니까 비용이 만만치 않아요.

 

서울에 거주하고 있는 대학생들과 지방에 거주하고 있는 대학생들의 인터뷰를 한 결과, 가장 큰 차이는 비용 부분이다. 서울에서 보증금 500만 원, 월세 50만 원의 방은 교통편도 불편하고 시설도 낙후되어 있었다. 하지만 지방에서 이 정도 가격이면, 방 2개가 있는 넓은 집에서 생활할 수 있다. 서울에서 대학생활을 하는 학생들은 값비싼 월세를 내기 위해서 아르바이트를 하고 있으며 여가생활은 물론 공부를 할 시간도 빼앗기고 있다. 또한 비싼 방값에서 벗어나기 위해서 선택한 고시원 생활은 안전문제, 낙후된 시설에서 살고 있다. 이에 반해 지방에서 대학생활을 하는 학생들은 월세에 대한 부담은 언급이 없었으며, 식비에 대한 문제를 불편함으로 호소했다.


두 번째 차이는 학교 기숙사 문제이다. 서울에 있는 대학교는 기숙사가 없는 경우도 있었으며 기숙사가 존재하는 경우에는 기숙사 충원율이 대학 평가지표에 반영되기 때문에 급하게 소수의 인원을 채우고 있는 형태로 존재하고 있다. 이에 반해 지방에 있는 대학들은 기숙사 시설이 좋으며 수용할 수 있는 인원도 많다. 자취방에서 기숙사로, 기숙사에서 자취방으로 주거를 옮기는 것도 어려워 보이지 않는다. 서울에서 대학생활을 하는 취재원들에게 지방 국립대학의 기숙사 규모와 시설에 관해서 설명하자 놀라움과 감탄하는 모습까지 볼 수 있었다. 

최근 정부는 서울의 사회초년생, 신혼부부, 대학생들을 위한 행복주택 1만 가구를 추가로 지정했다. 하지만 행복주택의 많은 부분은 사회초년생이나 신혼부부에게 돌아가고 대학생 소수만이 행복주택의 혜택을 볼 것이다. 서울 대학생 주거 문제의 근본적 해결책은 기숙사를 신축하는 방법이다. 고려대, 이화여대 등에서 신축계획을 발표했지만, 주민들의 반대로 인하여 무산되었다. 대학교 기숙사 신축을 반대하는 주민들이 자기의 기득권만을 챙기지 말고 대학생들도 같은 주민이라는 관점에서 서울 대학생 주거문제를 공동체의 문제로 받아들이길 희망한다.

 

 

 

sns신고
 


출처: http://www.justicei.or.kr/463?category=671202 [정의정책연구소]
참여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