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진보정의연구소 블로그기자단] '노동실태' 기획기사2 "제 청춘은 얼마짜리인가요?" 빈재욱 기자

<노동실태 기획기사2> 패션 어시스턴트의 열정페이

 

 

제 청춘은 얼마짜리인가요?

 

 

나는 작년에 다니던 대학교에 휴학서를 제출했다. 인턴 경험을 쌓고 싶었다. 그리고 올해 초 평상시 관심 많았던 패션잡지 어시스턴트를 시작했다. 패션잡지 어시턴트는 3가지 분야로 나뉘어진다. 패션, 뷰티(화장품 관련 기사 작성), 피처(주로 인물 인터뷰, 이슈에 대한 취재 및 기사 작성)인데 나는 패션분야에서 일을 시작했다. 패션 어시스턴트는 촬영준비, 촬영장 보조, 촬영물건정리가 대부분의 업무이다. 내 월급은 30만원이었다. 한달에 150여시간을 일하지만 차비, 식비가 전부다 포함된 금액이다. 기본적인 생활을 하기에 턱 없이 부족하지만 꿈을 쫓고 싶어 도전했다.

 

이상봉 사건 이후 … 열정페이 변화 없어

 

올해 1월 쯤 패션업계에서 한 사건이 화제가 됐다. 소위 ‘이상봉 열정페이’라고 불리우는 사건이었는데 이 문제가 불거지면서 나는 새삼 바라지 않던 기대를 하게 됐다. 그러나 같이 일하던 동료 어시스턴트는 나에게 희망을 접으라고 말하며 오히려 열정페이 사건을 문제제기한 ‘패션노조’를 불순분자로 여겼다.

어차피 그런 문제제기를 한 사람들이 없어도 패션업계는 문제없이 돌아가고 인력은 넘쳐난다는 것이 동료 어시스턴트의 주장이었다. 노동자가 철저히 사용자 입장을 대변하는 이상한 상황을 목격했지만 나도 그를 이해하게 됐다. 실제로 패션 어시스턴트를 구하는 공고는 하루가 멀다하고 올라온다. 패션잡지 어시스턴트에 관한 공고가 계속적으로 올라오는 이유는 다른 인력이 충원될 수 있기 때문이다.


패션잡지 1개당 패션어시스턴트는 대부분 2명에서 3명이 일을 한다. 거의 대부분의 월급이 30만원에서 50만원정도이다. 경우가 제일 좋은 경우는 시급제로 쳐줘 일한만큼 받을 수 있다. 10시간을 일하면 10시간치의 돈을 받는 것이 패션잡지 어시스턴트계에서 최고 대우(?)이다.

 

변화가 일어나지 않는 이유

 

10년전이나 지금이나 패션어시의 대우는 크게 달라지지 않았다. 그 이유는 간단하다. 패션 잡지에서 기자를 하려면 크게 경우는 3가지다. 첫 번째는 인력공고, 두 번째는 스카우트, 세 번째는 어시로 시작해 기자로 올라가는 경우다.


현직 기자들의 많은 경우가 어시로 시작해 기자로 올라간 사례다. 그렇다 보니 패션잡지계의 종사자들은 어시스턴트 생활을 ‘노동착취’가 아닌 ‘기자가 되기 위한 과정’으로 생각한다. 아까도 말했지만 내가 아니어도 할 사람은 많다. 용기가 있어도 결국은 훗날 기자가 되기위해 참고 견뎌야 한다. 결국 문제의식이 있음에도 일개 회사에 속한 노동자임으로 큰 틀을 바꿀 수 없는 것이다. 계약서 한 장 없이 기본적인 4대 보험도 적용되지 않는 노동착취는 이런이유로 지금까지 유지되는 것이다.

 

철저한 감시만이 유일한 해결책

 

노동법에 의하면 근로계약서없이 일을 시킨 사용자에게 500만원 이하의 벌금이 부과된다. 최저임금을 지급하지 않는다면 노동자들은 사용자를 노동청에 고발 할 수 있다. 그러나 대부분의 패션 어시스턴트를 종사했던 사람들은 이러한 식의 조치를 취하지 않는다.


그 이유 중 하나는 ‘좋은 경험했다는 식의 위안’을 삼는 경우가 있다. 실제로 내가 만나본 ‘가’ 잡지에서 근무했던 한 어시스턴트는 “어시스턴트 경험을 토대로 나의 미래를 더 세밀하게 계획할 수 있을 것이라 생각한다”며 “이만하면 우리 의 청춘은 괜찮은 게 아닐까 싶다”라고 말했다. 본인이 당했던 부당한 경우를 생각하기 보다는 좋은 경험했다고 생각하며 넘어가는 것이다. 또 대부분의 노동자들은 문제가 커지는 걸 원하지 않아서 노동청에 진정 넣을 생각까지는 하지 않는다. 괜히 문제가 붉어지면 본인도 피곤해지니 ‘그냥 안 받고 말지’식인 경우다.


방법은 하나다. 노동청같은 불법노동을 감시하는 단체가 더욱 더 이런 사례에 관심을 갖고 지켜봐야 한다. 실제로 ‘이상봉 열정페이’ 사건 이후 이상봉 디자이너가 운영하는 회사의 직원들은 근로계약서도 쓰며 예전보다 나은 대우로 일을 한다고 한다. 만약 패션잡지계에서도 이러한 문제가 불거졌다면 지금 패션잡지에서 일하는 인력들은 조금이라도 괜찮은 대우를 받았을 것이다.


‘아프니까 청춘이다’식의 젊은날의 고생을 당연시 받아들이는 태도는 노동에 대한 정당한 대가를 요구하는 이들을 사회 부적응자로 몰아가기도 한다. 젊어서 고생해 훗날 떵떵거리며 사는 이야기는 열정페이를 합리화시키며 많은 젊은이들의 노력을 가로챈다. 우리 사회가 더욱 더 발전하기위해서는 ‘너 아니어도 할 사람이 많아’식의 태도가 아니라 가능성 많은 인력들이 최소한의 생활을 영위할 수 있는 조건을 만들어줘 각각의 산업과 사회속에서 훌륭한 자원이 될 수 있는 밑바탕을 만들어야 한다.


답은 간단하다. 그냥 일한만큼만 주면 된다. 패션계에서도 10시간을 일하면 10시간을 받을 수 있는 노동에 대한 정당한 임금을 받는 날이 오길 바란다. 그것만 지켜줘도 훌륭한 자원들이 많이 유지될 것이다.   

 

 

 

 

 

sns신고


출처: http://www.justicei.or.kr/404?category=671202 [정의정책연구소]
참여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