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당원교육
  • 당비납부
  • 당비영수증
    출력
  • 당비납부내역
    확인

당원게시판

  • HOME
  • 커뮤니티
  • 당원게시판
  • 광주일일브리핑 “광주바닥” 5월 28일

광주일일브리핑 광주바닥” 529일자

 

1. 서지현 검사 "강자가 약자의 삶 파괴하는 시대로 돌아가면 안돼"

 

검찰 발 '미투(#Me too·나도 피해자다) '운동을 촉발시킨 서지현 창원지검 통영지청 검사는 26일 광주를 찾아 "강자가 약자의 삶을 파괴하는 시대로 돌아가서는 안된다"고 밝혔습니다. 서 검사는 이날 오전 광주 북구 운정동 국립5·18민주묘지 '역사의 문'에서 열린 '들불열사 추모식 및 13회 들불상 시상식'에 참석했는데요, 들불상 수상자로 선정된 서 검사는 소감을 통해 "805월 광주에 있었다. 8살 어린 나이에도 그날의 함성과 분노는 여전히 기억 속에 새겨져 있다"고 밝혔습니다. 이어 "당시 5월에 대한 기억은 모든 생명과 평화는 귀하며 강자가 위력과 공포로 약자의 삶을 짓밟고 입을 틀어막아서는 안 된다는 것을 알게 했다"고 말했는데요, "강자의 삶이 소중하듯 여성의 삶, 우리 모두의 삶도 소중하고 존중받아야 한다"고 덧붙였습니다. 그러면서 "다시는 강자가 약자의 삶을 함부로 파괴하는 시대로 돌아가지 않았으면 한다. 이곳에서 시작된 민주, 인권, 평등, 평화의 정신이 들불처럼 번져나가길 소망한다"고 수상 소감을 마쳤습니다. 들불상은 5·18 민주화운동 전후로 민주주의 발전을 위해 헌신하다 숨진 들불야학 열사 7명의 정신을 기리고, 한국 사회의 민주주의 발전에 기여하기 위해 만든 상인데요, 들불열사기념사업회는 매년 민주·인권·평등·평화 발전을 위해 공로가 큰 개인이나 단체를 수상자로 선정하고 있습니다.

 

2. 광주시교육감 후보들 '학생 산업체 파견 현장실습' 모두 반대

 

광주시교육감 후보들은 학생들의 산업체 파견 현장실습을 중단하고 이를 개선하겠다는 입장을 밝혔습니다. 학교별 취업률 공표를 중지하고 취업률 중심 학교평가도 폐지하겠다는 뜻을 내놓았는데요, 28일 광주청소년노동인권네트워크가 이정선·장휘국·최영태 광주시교육감 후보들로부터 제출받은 공동정책 답변서에 따르면 '교육청 차원의 산업체 파견 현장실습을 중단할 생각이 있느냐'는 질문에 모두 현장실습 반대의견을 표명했습니다. 취업률 공표와 취업률 중심 학교평가에 대해서는 세 후보 모두 '폐지하겠다'는 뜻을 밝혔습니다. 이정선 후보는 "취업률 공표를 거부하고 취업률 중심 학교평가도 폐지하겠다""취업하지 않은 학생을 대상으로 만족도 조사를 해 반영하겠다"고 강조했는데요, 장휘국 후보와 최영태 후보도 같은 취지로 답했습니다. '특성화고의 취업률 현황 공개 및 취업 현수막 게시를 금지할 의사가 있느냐'는 질문에 최영태 후보는 긍정적으로 검토하기로 했는데요, 이정선 후보와 장휘국 후보도 현수막 게시 금지 의사를 밝혔으나 취업률 현황 공개에 대해 이정선 후보는 학교장 자율에 맡기겠다고 밝혔습니다.

 

3. 광주·전남 지방선거 후보 2명 중 1'민주당'독주 일색

 

6·13 지방선거 광주·전남 후보 가운데 43.6%는 더불어민주당 후보인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출사표를 던진 2명 중 1명은 특정 정당 출신으로 쏠림 현상이 심화하는 것을 방증하는데요, 자유한국당은 광주·전남 통틀어 단 4명밖에 후보를 내지 못했습니다. 27일 광주와 전남 선거관리위원회에 따르면 제7회 전국 동시 지방선거, 교육감 선거, 국회의원 재선거에 광주 229, 전남 741명이 후보로 등록했는데요, 전체 970명 가운데 정당 구분이 없는 광주와 전남 교육감 후보 3명씩을 뺀 964명 중 420(43.6%)은 더불어민주당 후보였습니다. 광주 94, 전남 326명으로 점유율은 각각 41.6%, 44.2%였습니다. 민주평화당 후보는 광주 44, 전남 164명 등 모두 208명으로 전체의 21.6%를 차지했는데요, 바른미래당 후보는 광주 26, 전남 16명 등 42명에 그쳤습니다. 오히려 민중당 후보가 56(광주 30·전남 26)으로 더 많았으며 정의당 후보는 36(광주 15·전남 21)이었습니다. 1야당인 자유한국당은 광주 2, 전남 2명 등 모두 4명의 후보를 내는 데 그쳤습니다.

 

4. 광주·전남어린이집연합회 '보육교사 휴식' 대책마련 촉구

 

광주·전남어린이집연합회는 28일 성명서를 내고 보육교사 휴게시간 보장을 위한 대책 마련을 정부에 촉구했습니다. 어린이집연합회는 "근로기준법 개정에 따라 오는 71일부터 어린이집 보육교사들은 8시간 근무시간 중 1시간의 휴게시간 사용이 의무화된 것은 환영하지만, 인력과 재정 지원이 뒷받침되지 않으면 시행하기 어렵다"고 하소연했는데요, 이어 연합회는 "보육교사들은 휴게시간이 돼야 할 점심시간에 영유아 급식지도와 양치지도에 이어 낮잠 준비 등 활동을 한다""특단의 조치가 마련되지 않으면 어린이집 원장을 범법자로 만들고 질 낮은 보육서비스의 악순환을 초래한다"고 우려했습니다.

 

 

참여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