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당원교육
  • 당비납부
  • 당비영수증
    출력
  • 당비납부내역
    확인

브리핑

  • HOME
  • 뉴스
  • 브리핑
  • [논평]4·3희생자 추념식, 박 대통령 불참 유감

 “4·3희생자 추념식, 박 대통령 불참 유감“

 

오늘은 제주 4·3항쟁 66주년이면서, 어느 때보다 뜻 깊은 날이다. 4·3 유족들과 제주도민의 66년 기다림 끝에 4·3항쟁 추념일이 국가기념일로 지정됐다. 국가기념일 지정을 제주도민과 함께 박수 보내며, 환영한다.

 

66년 만에 첫 국가기념일로 치러지는 이번 추념식에 박근혜 대통령의 모습은 올해도 보이지 않았다. 제주의 아픔을 치유하겠다던 박 대통령의 불참은 매우 실망스럽고 유감스러운 일이다.

 

김대중 정부는 ‘4·3특별법’을 제정했고, 노무현 대통령은 4·3사건진상보고서를 채택하며 국가 공권력에 의해 피해를 입은 4·3 희생자와 제주도민께 공식 사과하고 위령제에 참석했다. 과거 정부 10년의 노력이 있었기에 4·3항쟁 추념일이 국가기념일 지정으로 이어질 수 있었다.

 

그러나 여전히 4·3 완전한 해결을 위한 과제들이 산적해 있다. 4.3은 우리 현대사에서 한국전쟁 다음으로 인명피해가 많았던 비극적인 사건이다. 4.3으로 희생당한 제주도민이 3만 명이 넘는데, 4.3공원 명패에 이름을 올린 이는 고작 1만 명에 불과하다.

 

또한 수많은 민간인들이 억울하게 숨진 사건이었음에도 불구하고 60년이 넘도록 이들에 대한 평가조차 제대로 이뤄지지 않고 있다. 이러한 문제가 해결되지 않는 한 4.3 항쟁의 완전한 해결이란 있을 수 없다.

 

이번 국가기념일 지정을 계기로 4.3 제주항쟁 진상규명 노력은 계속 이어져 나가야 할 것이다. 4·3 당시 안타깝게 희생되신 영령들의 영면을 기원하며, 그 동안 큰 슬픔을 안고 살아오신 유가족과 제주도민 여러분께도 깊은 위로의 말씀을 드린다.

 

2014년 4월 3일

정의당 대전시장 예비후보 한 창 민

참여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