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당원교육
  • 당비납부
  • 당비영수증
    출력
  • 당비납부내역
    확인

브리핑

  • HOME
  • 뉴스
  • 브리핑
  • [보도자료] 김윤기 위원장, "대전시 긴급하게 기후위기 대응 체제 마련해야"


- 기후위기 현실 외면한 대전시 그린뉴딜, 전면 재수립하라 (주최 : 기후위기대전시민행동)
- 2020년 7월 27일 (월), 오전 10시30분


기후위기를 생각해보면 이렇게 말씀드리기 잔인하고 참혹하지만, 코로나는 우리 인류에게 보내는 강력한 경고입니다. 마지막 기회를 주는 것도 같습니다. 성장만 하면 모두가 행복해질 것 같고, 사람이 모든 것을 지배할 수 있고 자연현상도 통제할 수 있을 것 같은 망상에서 깨어나라는 것입니다. 기후위기는 지구의 지속가능성, 인류의 존재 위기에 관한 문제입니다.

말로만 하는 반성과 다짐으로는 기후위기를 극복할 수 없습니다. 정부는 60조, 대전시는 16조가 넘는 그린뉴딜 예산을 편성했다고 하지만, 탄소 중립 목표는 없습니다. 하고 있던 사업, 하고 싶은 사업들에 대해 그린과 스마트의 딱지를 붙여 놓았을 뿐입니다. 전 세계적인 오명인 기후위기악당국가, 민폐국가에서 벗어 날 생각이 없는 겁니다. OECD 국가 중 1인당 탄소배출량이 1위, 기후위기 대응 지수는 61위 중 58위 인데도 말입니다. 많은 유럽의 국가들은 2030년 탄소 중립을 선언하고, 이에 맞춰 법과 제도를 정비하고 있는데도 대한민국은 그렇습니다.

탄소배출량을 감축하는 것 쉽지 않습니다. IMF 경제 위기 상황에서도 14%만 줄었으니, 탄소중립으로 가려면 지금의 삶의 질과 방식을 바꿔야 할 수도 있습니다. 그러니, 정부가 나서야 합니다. 대전시는 더 미루지 말고 기후위기 상황임을 선포하고 시민, 시민단체, 정치세력들과 적극적으로 협력해야 합니다. 재생에너지 확대, 대중교통 중심, 녹지 확대 등을 강력하게 추진해 나가야 합니다. 이제 다르게 살아야 한다고 호소하고, 변화를 이끌어 가야 합니다. 기존의 낡은 논리 시장 만능주의, 토건주의에서 탈피하여 기후위기에 적극 대응해 나가야 합니다.
참여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