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당원교육
  • 당비납부
  • 당비영수증
    출력
  • 당비납부내역
    확인

브리핑

  • HOME
  • 뉴스
  • 브리핑
  • [브리핑] 1차 집행위원회, 김윤기 위원장 모두 발언

- 1차 집행위원회 (2019년 7월 15일)

[고 노회찬 의원 1주기 추모제 관련]
문화인, 평화인, 자유인, 故 노회찬 의원의 1주기가 일주일 앞입니다. 우리 대전에서도 진보, 시민사회 여러분의 뜻을 모아, 오는 21일 추모문화제를 개최합니다. 그 어느 때보다 노회찬 의원이 그립습니다. 최근 최저임금 1만원 공약은 파기 되었고, 비정규직 정규직화는 지연되고 있으며, 탄력근로제 도입은 강행하고 있습니다. 이 분들이야 말로 노 의원께서 항상 곁에 있어야 한다고 말씀하셨던 우리 사회의 투명인간들입니다. 이 날 참여하는 시민들의 뜻을 모아 정의당은 이 분들을 우리 사회의 일원으로 호명하고 시민으로 세워내기 위해 아래로 더 아래로 내려갈 것을 다짐할 것입니다. 진지하지만 늘 웃음을 주었고, 이상을 향하지만 누구보다 현실적이었던 진보정치인 노회찬 의원을 추모하는 자리에 대전시민 여러분의 많은 참여와 관심을 바랍니다.

[박영순 정무부시장 퇴임 관련]
박영순 정무부시장이 총선 출마 준비를 위해 18일 퇴임한다고 합니다. 선임 당시부터 1년짜리 정무부시장이라는 예상이 있었고, 당연한 행보로 받아들여지는 분위기입니다. 그러나, 이 당연한 행보가 정무부시장 존재의 의미는 물론 정치에 대한 신뢰를 훼손하고 있습니다. 재임 기간 내 대덕구에서 주로 활동하며, 대전시와 언론, 의회, 시민사회의 거리를 좁히고, 갈등을 조정하는 등 본연의 역할은 부족했다는 평가가 적지 않습니다. 결국 정무부시장 자리를 총선을 위한 경력 쌓기로 이용했다는 비판을 스스로의 행보와 예상된 결과를 통해 증명한 셈입니다. 여기에 지난 지방선거에서 선출된 공직자들의 총선 출마 준비 소식들도 적잖이 들립니다. 공직자는 시민들로부터 부여 받은 책무를 다하여, 신뢰와 지지를 쌓아가는 기본입니다. 그 책무의 기본에는 임기 또한 포함되어 있습니다. 현재의 공직을 다음 공직을 위한 발판으로 삼기 위해 시민들과의 신뢰를 저버리는 일을 방치해서는 안됩니다. 더불어민주당은 이에 대해 더욱 적극적인 대책을 마련해야 합니다. 보궐선거 또는 재선거의 사유를 제공한 정당의 공천을 제한하거나, 해당 선거에서 보전 받은 선거비용을 환수하는 제도 등을 도입해야 합니다. 국민으로부터 신뢰받는 정치, 그것이 현재 어려운 조건에서도 선거법 개정을 추진하는 이유이기 때문입니다.

참여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