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당원교육
  • 당비납부
  • 당비영수증
    출력
  • 당비납부내역
    확인

활동소식

  • HOME
  • 커뮤니티
  • 활동소식
  • [인천일보] 청년 탈인천 문제 해법 고민하는 조선희 인천시의원 인터뷰
기사바로가기 :  [인천일보] 청년 탈인천 문제 해법 고민하는 조선희 인천시의원 인터뷰


[인천형 베이비부머 연구록 6. 일자리 찾아 나선 비수도권 청년들의 '인천'] 청년 탈인천 문제 해법 고민하는 조선희 인천시의원 인터뷰

“지역 청년 어려움, 도시 간 구조 탓…발언권 늘리면 아이디어 쏟아낼 것”

“청년정책과 출범했지만 인력·예산 부족
청년정책위 활동 기간 짧고 연속성 떨어져
당사자 발언 반영 정책 결정 구조 만들어야”


인천시의회 문화복지위원회는 지난 3일 인천지역 청년 활동가들과 인천시 청년정책과 관계자들을 한자리에 불러 토론회를 열었다. “청년이 주도하는 청년 정책을 세워야 현장과 행정 간 미스매치를 줄일 수 있다”는 접근이었다.

이날 좌장을 맡았던 조선희(정의당·비례) 시의원과 지난 17일, 그의 집무실에서 얘기를 나눴다. 시민사회운동가 출신으로 이처럼 청년과 여성, 교육 분야에 관심은 조 의원이라면 “인천에서 살고 싶어 하는 청년들이 버틸 수 있으려면 어떤 해법이 필요하겠느냐”는 질문에 무슨 말이라도 해줄 거 같았다.

▲ 지난 3일 인천시의회 문화복지위원회가 주최한 ‘청년이 주도하는 청년 정책 수립 토론회’에서 좌장을 맡은 조선희 인천시의원(정의당·비례)은 평소 여성과 교육, 청년 정책 등에 관심이 높은 인물로 평가받고 있다. /김원진 기자 kwj7991@incheonilbo.com
▲ 지난 3일 인천시의회 문화복지위원회가 주최한 ‘청년이 주도하는 청년 정책 수립 토론회’에서 좌장을 맡은 조선희 인천시의원(정의당·비례)은 평소 여성과 교육, 청년 정책 등에 관심이 높은 인물로 평가받고 있다. /김원진 기자 kwj7991@incheonilbo.com

Q. 인천에 청년은 과거에도 있었고, 그 시절부터 일자리를 찾아 서울과 경기로 떠났다. 현재 진행형인 이 문제를 어떻게 진단하나

A. 사실 인천시가 2018년이 돼서야 청년복지와 실업, 고용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일자리경제본부에 청년정책과를 신설하면서 청년이 인천 정책 대상으로 정식 호명됐다고 본다. 그동안은 생애주기에 따라 일정 연령에 해당하면 청년 정책으로 구분하는 식이었다. 인천 청년들 삶을 지역 상황에 맞춰 입체적으로 바라보거나 그들 편에 서서 바라보는 접근은 찾기 힘든 상황이다.

고용률이나 실업률처럼 정부 통계에 기초한 수치들로 청년 상황을 진단하고 이에 따른 정책들을 이어갔으나 실효성이 약했다. 관련 인력도 부족하고 예산도 터무니없이 적어 따로 조사·연구기관을 꾸리기 힘드니 중앙 사고를 그대로 청년 정책에 대입한 셈이다.

청년 정책 의지가 낮았다고 평가할 수밖에 없다. 다행히 인천시에서 청년정책과가 출범해 영역을 넓혀가고 있으나 주변에선 여전히 인력, 예산 부족을 토로하고 있다. 그러니 인천 청년 전반을 아우를 수 있는 연구 조사나 맞춤형 사업들이 여전히 미진하다.

 

Q. 노동 공급 시장과 산업 구조 괴리에서 오는 간극을 줄이는 게 급선무일 텐데

A. 시의회 문화복지위원회가 지난 3일 청년들을 모아 놓고 토론회를 연 것도 이 때문이다. 청년과 지역 산업 미스매치가 정확히 어떤 모습인지 아는 게 이 사안에선 우선인데, 그러려면 당사자인 청년들에게 직접 고충을 들어야 했다.

물론 인천시는 최근 청년정책위원회와 청년네트워크 등을 통해 청년 목소리를 듣기 위해 시도했다고 보지만 위원회 규모나 활동 기간 등 적극성 면에서 아쉬웠다고 평가한다. 청년들이나 행정가, 여기에 더해 산업 쪽 인사들도 함께하는 자리에선 서로 시각 차이 좁히는 데에만 1년이 넘게 걸리는데, 현재 인천시 청년정책위원회는 활동 기간도 짧고 1기와 2기 멤버 교체로 연속성도 떨어지는 실정이다(실제로 3일 토론회에 참석했던 문화기획 단체인 '청년인력소' 관계자는 “2기 네트워크 위원 구성 시 1기 위원이 거의 연결되지 않아 2기를 진행하는 데 어려움이 있다”고 지적했다).

이런 문제를 인식하고 아예 시 정책 깊숙하게 관여하는 '청년참여단'을 구성해 3년 단위로 구성하는 방식도 어떨까 한다.

 

Q. 청년 목소리가 반영되는 정책 결정 구조라면 청년들 이탈이 줄 수 있다고 보나

A. 인천지역 청년 이탈을 포함해서 청년 문제가 전반적으로 해결되려면 청년 당사자가 발언할 수 있는 통로와 이 목소리가 반영되는 정책 결정 구조를 만드는 일이 가장 우선적이고 중요한 작업이라고 본다.

인천에서 청년 의제가 뒤에 놓여 있는 건, 절대적으로 20대·30대 인구수가 적기도 한 데다 비교적 정치나 행정에 참여도도 낮기 때문이다.

인천일보 인천형 청년베이비부머 기획에서 짚은 거처럼 서울과 경기로 이주나, 왕복 3시간 출퇴근을 둘러싼 인천 청년들 어려움은 개인 잘못이 아니라 도시 간 구조에서 온 거다. 일단 정치권에서 청년들에게 발언권을 늘려준다면 그들은 자신들 권익을 위해 다양한 아이디어를 쏟아낼 거다.

/이주영·김원진·이창욱 기자 kwj7991@incheonilbo.com

참여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