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당원교육
  • 당비납부
  • 당비영수증
    출력
  • 당비납부내역
    확인

브리핑

  • HOME
  • 뉴스
  • 브리핑
  • [성명] “긴급주거지원은 주택과에, 긴급생계지원은 복지정책과에, 단전단수는 한전과 상수도본부에 알아보라”는 것이 ‘적극 대응’인가.

[성명] “긴급주거지원은 주택과에, 긴급생계지원은 복지정책과에, 단전단수는 한전과 상수도본부에 알아보라는 것이 적극 대응인가.

- 사람이 죽어가고, 피해자들이 울부짖는데 면피만 생각하는 대구시는 자격 없다.

 
 

<대구시 ‘전세사기피해자 구제 적극 대응’ 보도자료(2024. 5. 10)에 대한 입장>

첫째, 피해자 지원이 ‘대구 전세사기 피해지원 센터’를 통해 원스톱으로 지원되어야 한다.

- 대구시는 보도자료에서 “센터 여부와 관계없이 전세사기 피해자에게 동일한 수준의 지원을 하고 있다”고 밝혔다.
- 대구시가 밝힌 피해지원 내용이 시행되고 있는 것은 사실이다. 이는 특별법에 근거해 시행되고 있는 지원 내용이다.

- 하지만 이 지원이 원스톱으로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피해자 인정을 받은 후 특정항목에 대한 지원을 받기 위해서는 모두 대구시의 개별 담당부서와 담당자에게 전화를 해야 가능하다.
  행정기관의 일상적인 소통 부재로 혼선이 일어나기도 한다. 또한 행정시스템을 잘 모르는 경우에 이곳저곳 전화를 하다가 포기하고 싶은 마음을 갖게 만들고 있다.

- 센터 내에 변호사, 담당 공무원, 상담사 등이 배치되고, 전세사기 피해에 대한 내용을 숙지한 전문가들이 한 곳에서 피해자들을 지원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 찾아가는 피해지원 현장 상담소 운영 또한 일회성으로 변호사, 상담사가 지원하면서 피해자보다 내용을 더 모르는 가운데 상담이 이루어지는 경우도 다반사였으며, 피해자들에게 “왜 잘 알아보지 않고 계약을 했냐?”며 상처를 주는 일도 많았다.

- 또한 센터 설치는 대구시가 자체적으로 전세사기 피해자들을 위해 지원할 수 있는 내용을 찾고, 추진할 수 있도록 하는 기구가 되어야 한다.
- 피해자 인정 신청 접수, 피해자가 요구하는 사항에 대한 단순 안내를 넘어서야 한다. 대구시의 피해자 전수조사 실시, 전수조사에 기반한 대구시의 긴급지원 내용 마련 등 적극적인 자세를 보여줄 수 있는 기구가 되어야 한다.

둘째, 전세사기 피해자들을 위한 지원이 최우선이어야 한다.

- 보도자료에 따르면 “대구광역시는 전세사기 피해자가 발생하지 않는 것이 최우선 목표인 만큼, 시민들을 대상으로 전세계약 유의사항 홍보물을 제작 배부하는 등 전세사기 피해 예방활동에 중점을 두고 있으며, 찾아가는 전세피해지원 현장상담소 운영을 통해 법률금융주거 분야의 상담을 실시할 예정”이라고 한다.
- 예방활동이 우선이 아니라 피해자 지원이 우선이 되어야 한다. 예방도 중요하지만 지금은 “살고 싶다”며 좌절하고 있는 피해자들에게 행정이 곁에서 도와주고 지원하고 있다는 것을 보여주는 것이 중요하다.

 

2024년 5월 14일
정의당 대구시당

 
참여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