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19년 국정감사]
이산가족 생존자 53,887명, 사망자 79,466명
지난 한 해 사망자 4,914명
생존자 10명 중 6명이 80세 이상 고령자
이산가족 문제 해결을 위한 국제사회 호소 및 제3국가 교류 활성화 등 적극적 노력 필요
윤소하 의원(보건복지위원회, 정의당)이 대한적십자사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1988년부터 2019년 8월 말까지 등록된 이산가족 상봉 희망자는 총 133,353명으로, 이 중 생존자는 53,887명이며, 사망자는 79,466명으로 사망자수가 생존자 수를 넘어섰다. 이에 윤소하 의원은 “생존자의 85.7%가 70세 이상 고령자”라며, “이산가족 문제 해결이 시급”하다고 지적했다.
대한적십자사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2012년~2019.6월 이산가족 상봉 신청 대기자 중 사망자는 총 29,127명이다. 이 중 사망자의 나이가 집계되기 시작한 2017년부터 2019.6월까지는 10,391명으로 90세 이상이 5,062명, 89~80세 이상이 4,356명, 79~70세 이상이 766명, 69~60세 이상이 119명, 59세 이하는 88명이다.
[표-1] 이산가족 상봉 신청 대기자 중 사망자 통계(2012~2019.6 연도별)
(단위 : 명)
|
구 분 |
계 |
90세 이상 |
89-80세 |
79-70세 |
69-60세 |
59세 이하 |
|
2012년 |
4,167 |
- |
- |
- |
- |
- |
|
2013년 |
3,841 |
- |
- |
- |
- |
- |
|
2014년 |
3,568 |
- |
- |
- |
- |
- |
|
2015년 |
3,782 |
- |
- |
- |
- |
- |
|
2016년 |
3,378 |
- |
- |
- |
- |
- |
|
2017년 |
3,795 |
1,666 |
1,747 |
301 |
36 |
45 |
|
2018년 |
4,914 |
2,495 |
1,939 |
367 |
75 |
38 |
|
2019. 6월 |
1,682 |
901 |
670 |
98 |
8 |
5 |
|
합계 |
29,127 |
5,062 |
4,356 |
766 |
119 |
88 |
※ 통일부 이산가족정보통합시스템 통계자료에서 연령별 사망자수는 2016년 5월부터 확인 가능
[2019 국정감사, 대한적십자사 제출자료, 윤소하의원실]
이어서, 생존자 현황을 보면 2019년 8월 31일 기준 53,887명이다. 이를 연령별로 살펴보면, 90세 이상이 12,577명으로 23.3%, 89~80세는 21,825명으로 40.5%, 79~70세는 11,790명으로 21.9%, 69~60세는 4,307명으로 8.0%, 59세 이하가 3,388명으로 6.3%이다. 생존자 53,887명 중 70세 이상은 46,192명으로 85.7%이다. 생존자 10명 중 8명이 고령임을 알 수 있다.
[표-2] 이산가족 생존자 나이통계
(단위 : 명, % / 기준 : 2019. 8.31. 현재)
|
구 분 |
90세이상 |
89-80세 |
79-70세 |
69-60세 |
59세이하 |
계 |
|
인원수 |
12,577 |
21,825 |
11,790 |
4,307 |
3,388 |
53,887 |
|
비율 |
23.3 |
40.5 |
21.9 |
8.0 |
6.3 |
100 |
[2019 국정감사, 대한적십자사 제출자료, 윤소하의원실]
지난 10년간 연도별 남북이산가족 상봉 행사 현황을 보면, 2009년, 2010년, 2014년, 2015년, 2018년 해마다 1회씩 단 5회 열렸으며, 총 452가족이 상봉행사에 참여했다. 이는 그 해 상봉신청인원 대비 평균 0.16%~0.11%이다.
[표-3] 연도별 남북이산가족 상봉 행사 현황(2008년 ~ 2019.7월)
|
구 분 |
횟수(횟수별 각각) |
상봉신청인원(생존자) |
상봉인원(가족) |
비율 |
|
2009년 |
1) 2009.09.26. ~ 10.01. |
86,526명 |
97가족 |
0.11 |
|
2010년 |
1) 2010.10.30. ~ 11.05. |
83,685명 |
94가족 |
0.11 |
|
2014년 |
1) 2014.02.20. ~ 02.25. |
72,372명 |
82가족 |
0.11 |
|
2015년 |
1) 2015.10.20. ~ 10.26. |
66,354명 |
90가족 |
0.14 |
|
2018년 |
1) 2018.08.20. ~ 08.26. |
56,990명 |
89가족 |
0.16 |
[2019 국정감사, 대한적십자사 제출자료, 윤소하의원실]
한편, 정부는 당국 차원의 교류와 병행하여 민간차원의 교류에 대한 재정적 지원을 해오고 있다. 이산가족이 교류주선단체를 통해 북측의 가족과 교류 후, 교류 결과 및 증빙서류를 제출하면 교류경비지원심사위원회의 심사를 통해 경비를 지급한다. 1998년부터 2019년 9월 말까지 제3국을 통한 이산가족 민간교류 추진 건수는 총 1,191건이며 이에 따른 지원금은 총 2천1백9십9억1천2백만원이다.
[표-4] 제3국 이산가족 민간교류 추진 현황(상봉)
(기준 : 1998년~2019.9. / 단위 : 백만원)
|
상봉 |
연도 |
98 |
99 |
00 |
01 |
02 |
03 |
04 |
05 |
06 |
07 |
08 |
누계 |
|
건수 |
55 |
142 |
91 |
120 |
152 |
242 |
125 |
84 |
70 |
50 |
32 |
1,191 |
|
|
지원금 |
5,024 |
12,240 |
15,740 |
24,000 |
33,440 |
52,741 |
23,922 |
12,487 |
14,142 |
9,980 |
6,066 |
||
|
연도 |
0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19,912 |
|
|
건수 |
18 |
1 |
2 |
0 |
3 |
1 |
1 |
0 |
1 |
0 |
1 |
||
|
지원금 |
4,830 |
300 |
600 |
0 |
2,300 |
500 |
500 |
0 |
500 |
0 |
600 |
윤소하 의원은 “민간교류 추진 현황이 갈수록 감소하고 있다. 이는 이산1세대의 고령화와 무관하지 않은 문제. 이미 사망자수가 생존자 수를 넘어서고 있고 생존자의 60%가 80세 이상 고령이다. 이산가족 문제를 시급히 해결해야한다”라고 말했다. 아울러, “대한적십자사는 국제적십자연맹, 국제적십자사위원회 등 국제기구 회원국으로서 적십자 정신에 따라 남북이산가족 문제를 인도적 차원에서 접근해야 함을 국제사회에 호소하도록 요청해야 할 것” 이라고 말했다. <끝>
2019년 10월 15일(화)
국회의원 윤 소 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