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당원교육
  • 당비납부
  • 당비영수증
    출력
  • 당비납부내역
    확인

[정책] 정책제안/토론

  • KS 품질 관리
인터넷에서 용어사전을 찾아보면 KS는 한국 공업 규격의 약호. 공업 표준화를 위해 제정된 공업 규격을 보급ㆍ활용하여 제품의 품질 개선과 생산능률의 향상, 거래의 단순화와 공정화의 도모 및 소비자 보호를 위해 만들어진 제도라고 되어있습니다.
공업규격은 한국기술표준원에서 제정하고 있으며, KS 심사는 표준협회에서 몇 몇 시험원에 위탁하여 하고 있습니다.
사후 관리는 기술표준원에서 하고 있습니다.

공업규격을 만든 이유가
제품의 품질 개선과 생산능률의 향상, 거래의 단순화와 공정화의 도모 및 소비자 보호를 위해 만들어진 제도라고 되어 있는데 대한민국은 사후 관리가 되지 못하고 있습니다.

제품에 대한 공업규격 사후 관리가 우리 보다 못하는 동남아 국가들 보다 더 못합니다.
사후 관리가 되지 못함으로 인하여 KS를 취득한 많은 제품들이 KS 심사를 받을때의 제품과 시중에 판매되고 있는 제품과의 품질 차이가 나고 있습니다.
이로 인하여 제품의 품질이 떨어지고 저급제품들이 시중에 유통되고 있는 실정입니다.
또한 정상적으로 KS 규격에 맞게 제조한 회사들은 가격 경쟁에서 밀리면서 회사 경영이 악화되는 일이 발생합니다.
즉, 좋은 품질을 갖고 있으면서도 사용하는 업체들이 가격만을 따지면서 자연스럽게 좋은 품질을 갖는 제품들이 대한민국 시장에서 사라지고 있습니다.
이러한 현상들은 첨단산업에도 동일하게 적용되고 있습니다.
자동차 회사들은 부정하겠지만 자동차 생산 업체들이 납품 단가 후려치기를 하기 때문에 많은 협력업체들은 살아남기 위해 재생플라스틱 사용량을 늘리고 있습니다.
자동차 생산업체들도 영업이익을 높이기 위해 품질보다는 가격을 따지기 때문에 재생플라스틱 사용량을 늘리고 있는 현실입니다. 즉, 품질보다는 가격으로 부품들을 결정하고 있습니다.

특히난 건축(아파드) 현장에서 사용하고 있는 제품들을 건설 현장에서 수거하여 검증하면 KS 규격을 통과하는 제품들이 얼마나 될지 의문입니다.
이러한 문제로 인하여 산업현장이 외곡되고 있습니다.

사후 관리를 통하여 제품의 품질과 생산능률이 발전해야 함에도 불구하고 후퇴하고 있습니다.
업체들은 제품 개발과 생산능률등을 위해 투자하기 보다 단가만을 생각하고 접근하기 때문에 사용되는 원료들의 품질은 매년 떨어지고 있습니다.

이러한 문제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KS 규격 사후 관리를 철저히 해야 합니다.
현장에서 수거하여 KS 규격에 미치지 못하는 제품을 납품하거나 판매, 사용할 경우 3진 아웃제도를 만들어 원천적으로 불량 제품을 만드는 업체와 사용하는 업체를 규제해야 합니다.
이러한 제도가 정착되어야만 소비자는 좋은 제품을 구매하여 사용함으로 만족도를 높일 수 있으며, 산업 현장에서도 좋은 제품을 개발한 업체들이 서로 경쟁함으로 인하여 더 품질이 좋은 제품들이 대한민국에 판매될 뿐만 아니라 해외에서도 인정받는 제품이 될 것입니다.
이에 대한 법을 제정해 주셨으면 합니다.
 

 

참여댓글 (1)
  • 참다운 대한민국

    2017.07.05 10:15:02
    일반인들이 비싼 대기업 브랜드를 선호하는 이유죠.
    괜찮은 중소기업제품도 많으니 인터넷 블로그 같은데를
    참고하시길 바랍니다. 사회적 헛점이 많은 나라인데
    정의당이 많이 노력하고 있는것 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