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정의타임스] 헬조선에서 청년들은 정치를 말할 수 있을까, 임은재 기자 [미래정치센터 청년기자단]
헬조선에서 청년들은 정치를 말할 수 있을까

 
                                               ⓒ 18대는 선관위, 19대는 방송 3사 출구조사 자료             ⓒ 한국방송(KBS) 출구조사 자료
 
학생과 청년이 70·80년대 민주화의 주역이라고 일컬어지는데 반해 오늘날 청년세대는 그간 정치적 무관심을 대표하는 세대다. 취업난으로 먹고 살기 바빠 그런 것이든 딱히 정책의 효과가 피부로 느껴지지 않아서 그런 것이든 기성세대에 설자리를 잃어 그런 것이든 20·30대 청년들의 정치참여도가 낮은 것은 자명한 사실이다. 20·30대의 투표율은 항상 다른 세대에 비해 낮은 수치를 기록했다. 18대 총선 투표율을 보면 20~30% 안팎으로 대부분의 청년들이 투표에 참여하지 않았음을 알 수 있다.

이후 19대 총선을 거쳐 2016년 4월 실시한 20대 총선결과를 보면 20·30대의 투표율은 거의 50%까지 상승한다. 물론 그럼에도 세대별 투표율은 제일 저조하다. 그러나 최근 탄핵정국을 기점으로 청년들은 목소리를 내기 시작했다. 촛불집회의 주역은 다름 아닌 학생들이었다. 교복을 입은 그들은 공부나 하지 뭘 시위를 하냐는 어른들의 간섭을 뒤로 하고 집회에 오기 위한 모금활동을 하고 마이크를 잡고 목소리를 냈다. 교복을 벗은 자들은 취업준비나 하라는 어른들의 조언을 흘리며 시국선언을 하고 깃발을 흔들었다. 우선순위에 밀려있던 ‘정치’는 점점 청년들에게 가까워지고 있다.

리서치뷰가 조사하고 14일 발표한 ‘제 19대 대선 투표의향’에 따르면 세대별 ‘적극투표 의향층’은 19/20대(77.1%) > 30대(68.4%) > 40대(63.5%) > 50대(57.3%) > 60대(46.5%)순으로, 2030세대에서 적극투표 의향이 비교적 높게 나타났다. 투표결과를 아직 알 수는 없지만 투표의향은 5060세대에 훨씬 앞서있는 것이다. 이후 투표율을 확인해보아야 하겠지만 청년층이 투표의 중요성을 인식했고 유권자로서 의사표현을 할 준비가 되어있다는 것만은 분명해 보인다.
과거에 비해 청년들의 정치 관심도는 얼마나 변화했으며 이는 우리나라 정치사회에 변화를 줄 수 있을 것인가. 2월 21일부터 3일간 구글독스로 만19세~38세 청년들의 ‘정치관심도’에 관한 설문조사를 진행했다. 응답자는 총 40명으로 그 중 87.5%가 20대, 12.5%가 30대였다. 응답자의 52.5%는 여성이었고 47.5%가 남성이었다. 설문지는 정치관심도, 정치신뢰도, 정치효능감을 평가할 수 있게 구성되었다.

 
 ⓒ 임은재 기자
 
참여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