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당원교육
  • 당비납부
  • 당비영수증
    출력
  • 당비납부내역
    확인
  • [추혜선 보도자료] 공정언론 위한 공영방송 지배구조 개정안 조속히 통과돼야
추혜선, 공정언론 위한 공영방송 지배구조 개정안 조속히 통과돼야
- 언론 보도외압 및 편파왜곡보도 증언대회 열려 -


 
29일(월) 국회의원 연구단체인 언론공정성실현모임과 전국언론노동조합의 주최로 열린 ‘언론 보도외압 및 편파왜곡보도에 대한 증언대회’에서 편파왜곡보도 피해자들의 증언과 보도 외압에 시달리는 언론인들의 증언이 쏟아졌다.
 
13일째 단식을 하며 세월호특조위 활동기간 연장을 촉구하고 있는 4·16가족협의회 장훈 진상규명분과장(준영이 아버지)은 1차 청문회를 취재하러 온 기자들이 청문회장 밖에서 고엽제전우회와 어버이연합이 특조위를 비난하는 집회만 찍어가는 등의 사례들을 제시하며 2014년 4월 16일 팽목항에서부터 현재 광화문에 이르기까지 세월호 문제를 왜곡시킨 언론을 비판했다. 또한 “일부 국민들이 세월호 유가족들에게 ‘그만두라’고 하지만 애초에 그 말을 만들어낸 것은 결국 언론”이라고 지적했다.
 
이재동 사드반대 성주군 농민회장은 “사드 촛불이 시작되자마자 언론은 외부세력, 전문 시위꾼을 거론하기 시작했다”며 “사드 반대 상징물로 만든 파란 리본조차 군민과 외부인을 구분 짓는 표식으로 둔갑”시키는 등 언론이 왜곡보도로 성주 군민과 국민들을 어떻게 분열시켰는지 증언했다.
 
최석환 백남기농민대책위 사무국장은 “백남기 농민이 쓰러진 지 290일째가 되는 오늘까지 언론은 ‘정부 발표 받아쓰기와 반만 말하기 → 침묵하기 → 자극적인 소재만 찾아다니기’의 전형적인 태도를 보여 왔다”면서 “백남기 농민이 위독하다는 소식에만 관심을 보이는 상황”이라고 울분을 터뜨렸다.
 
오랜 시간동안 사학비리 문제를 앓고 있는 정성훈 상지대 총학생회장은 “한 기자가 ‘상지대 문제는 너무 오래된 일이기 때문에 (기사화하려면) 더 자극적인 얘기가 필요하다’고 하더라”면서 자극기사만을 원하는 언론의 비상식적인 행태를 꼬집었다.
 
손지승 민주노총 교육선전부장은 “언론은 노동조합의 집회에 대해 ‘왜 파업을 하는지’보다 ‘불법이냐 아니냐, 폭력집회냐 아니냐, 도로교통을 막느냐 안 막느냐’를 더 부각시킨다.”면서 귀족노조·불법·종북 프레임으로 노동조합의 정당한 투쟁을 왜곡하는 언론을 비판했다.
 
정수영 언로노조 KBS본부 공정언론추진위원회 간사는 사드 배치와 관련된 KBS 고대영 사장의 ‘新보도지침’에 이어, 성주에서 외부세력이나 전문 시위꾼은 포착되지 않는다는 현장 취재진의 목소리를 묵살하고 ‘외부세력’ 리포트를 국장이 직접 작성한 사례와 ‘이정현 녹취록’ 보도 누락 등을 지적했다.
정 간사는 “이러한 언론탄압과 왜곡보도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궁극적으로 공영방송 경영진의 인적 쇄신이 필요하다”면서 “정부와 여당이 낙점한 인사를 사장에 앉혀서는 안 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언론공정성실현모임의 책임의원인 정의당 추혜선 의원은 “이번 증언대회를 준비하면서 가장 두려웠던 것은 언론이 망가졌으니 어쩔 수 없다는 무감각”이라면서 “20대 국회에서 가장 많은 의원들이 공영방송 지배구조 개선안을 발의한 만큼 방송법 개정을 위해 노력해야 할 것”이라고 밝혔다.  /끝
 
 
참여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