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당원교육
  • 당비납부
  • 당비영수증
    출력
  • 당비납부내역
    확인

정책논평

  • [보도자료] 로스쿨 등록금, 최고 1천 950만원

로스쿨 등록금, 최고 1950만 원

  •  
  • - 등록금 해방의 날 살펴보니 임시일용직은 다음 해로 넘어가
  • - 최고 고려대, 최저 충남대. 4년째 동결은 다행이나
  • - 이은주 등록금 조치는 계속, 형평성 조치는 확대되어야



법학전문대학원 등록금최고 1950원이. 고려대

교육부가 국회로 제출한 2021년도 예산안 및 기금운용계획안 자료 등에 따르면, 법학전문대학원(이하 법전원)의 올해 2020등록금은 고려대가 최고 금액으로 1950원이. 가장 적은 금액은 충남대 964원으, 최고와 최저는 2. 한 해 1천만 원 넘는 법전원은 25교 중에서 22(88.0%)이다.

 

                                                                                                   (단위 : 천원)

고 려 대

19,500

영 남 대

16,078

전 남 대

10,376

연 세 대

19,452

원 광 대

16,000

경 북 대

10,344

성균관대

18,608

동 아 대

15,902

강 원 대

10,050

한 양 대

17,114

서 강 대

15,598

서울시립대

10,040

경 희 대

16,982

한국외대

15,394

부 산 대

 9,908

아 주 대

16,958

건 국 대

15,224

충 북 대

 9,824

중 앙 대

16,450

서 울 대

13,298

충 남 대

 9,648

이화여대

16,309

제 주 대

10,440

 

 

인 하 대

16,276

전 북 대

10,406

전체평균

14,247

 

법전원 등록금 규모를 가늠하기 위해 이른바 해방의 날을 산출했다. 벌어들인 임금을 다른 곳에 한 푼도 쓰지 않고 등록금으로만 낼 경우, 11일부터 언제까지 모아야 하는지 살펴보았다. 임금 수치는 고용노동부 사업체 노동력조사에서 월별 금액들을 활용했다.

 

 

전체

상용직

임시일용직

비고

최고(고려대)

618

68

내년 125

169/ 159/ 390

최저(충남대)

319

314

      714

78/ 73/ 195

전체평균

430

423

     1015

120/ 113/ 288

 


가장 비싼 고려대 법전원의 등록금을 마련하려면, 노동자는 201911일부터 618일까지 169일을 모아야 한다. 임시일용직은 한 해로 부족해서 다음 125일까지 390 걸린다. 최저 등록금 9648 전체 노동자는 78 동안, 상용직은 73 동안, 임시일용직은 714일까지 195일간 다른 곳에 쓰지 않고 임금을 묻어둬야 가능하다

법전원 등록금은 현재 동결 상태. 교육부는 지난 2016, 국립대 5년간 동결 및 사립대 인하 조치를 취했다. 그 결과 국립대는 2016년 등록금이 현재까지 이어지고 있으며, 사립대는 2016년과 2017년에 각각 인하한 후 지금까지 유지되고 있다(2018년 건국대 예외). 다만, 2016년의 국립대 동결은 2020년까지

기간 동안 정부는 형평성 제고하는 방안을 시행했다. 취약계층 학생들에게 법조인 진출의 기회를 부여하기 위해 입학생의 7% 이상을 특별전형으로 의무 선발하도록 시행령을 개정했고, 국고로 전액 장학금을 지원했으며, 법전원이 소득구간 연계 장학제도를 운영하도록 했다. 그리고 블라인드 면접을 의무화했고, 지역인재 선발을 확대하도록 유도했다. 등록금 동결과 지역인재 선발은 국고 장학금 지원과 연계하여 이루어졌다

이은주 의원법학전문대학원 등록금은 몇 년째 오르지 않아 다행이지만, 그래도 몇 달이나 1년 넘게 모아야 하는 돈으로 서민과 많은 국민에게 상당한 부담이라며, 2020년까지 동결 조치는 앞으로도 계속되어야 하고, 형평성 조치는 확대되어야 한다고 힘주었다. 이어서 노동자와 서민의 마음을 헤아리는 좋은 법조인이 많이 나와야 할 것이라며, 교육부는 등록금 동결 지속, 취약계층 특별전형 확대, 국고 장학금 증액, 지역인재 선발 의무화와 편법 방지책 등을 긍정적으로 검토하기 바란다고 말했다.

 
참여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