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7. 민주노동당 개방형 국민경선 불발
: 진성당원에 의한 후보 선출이 민주노동당의 유일한 브랜드
2007년 대선을 앞두고 민주노동당에서도 열린우리당이 채택한 개방형 국민경선제도의 도입이 논의되기 시작했다. 민주노동당 대선기획단장인 김선동 사무총장은 2006년 9월 29일 국회 기자회견에서 “대선 후보 선출 방식에 대해 모든 가능성을 열어놓고 토론을 전개하기로 했다”며 완전 개방형 경선제도 포함된다고 밝혔다.
대선후보 선출방식에 관한 논의는 민주노동당 내에서 뿐만 아니라 민주노동당을 배타적으로 지지하고 있는 민주노총, 전농, 전빈련에서도 논의되었다. 민주노동당 이상현 기관지 위원장은 “이번 대선에서 민주노동당이 직면한 어려움을 타개하고 일거에 국민적 지지를 확대하기 위해서는, 당원 이외의 후원자, 지지자, 연고자를 광범위하게 조직하여 후보 선출 과정에 50만 이상의 일반 국민들을 참여시킴으로써, 경선 과정에 대한 국민들의 관심을 집중시키고 선거인단 모집을 통해 50만 이상의 지지자를 확보함으로써 대선 승리의 조직적 토대를 확보해 나가야 한다”고 주장했다. 민주노총의 신임 이석행 위원장은 조직된 대중 백만이 참여하는 개방형 경선으로 진보진영이 쾌거를 이룩하자는 선거 공약을 진작에 내걸었다. 이렇듯 논의의 핵심은 개방형 국민경선제를 채택할 것인가 여부였다. 2007년 3월 11일 당대회에서 진성당원에 의한 직접 선출이라는 당헌 개정 여부로 관심의 초점이 모아졌다.
개방형 국민경선제에 대한 반대론도 만만치 않았다. 정파간 대결과 일심회 사건 등으로 민주노동당에 대한 국민적 관심이 식어 있는 조건에서 50만을 참여시키겠다는 포부 자체가 실현 가능성이 낮다는 것과 국민 경선의 자발적 열기가 전혀 감지되지 못하고 있는 상황에서 모집되는 선거인단 또한 자발적 참여가 아니라 정파 조직에 의해 ‘조직’된 선거인단이라면 대선후보 선출과정은 민주노총이나 전농 등 대중 단체에 조직을 갖고 있는 이들 간 세 과시의 각축장이 되고 말 것이라는 점 등이 우려된다는 것이었다. 뿐만 아니라 정당이 자신의 정강 정책을 구현할 수 있는 공직 후보를 선출해 유권자에게 심판을 받는 것이 정당 조직 원리인데 공직 후보 선출을 비 정당원에게 개방한다는 것은 정당 정치의 부정에 다름 아니라는 논리 등에 의해 비판을 받았다.
이와 같은 토론을 거치며 당대회에 상정된 ‘개방형 후보 경선안’은 63.14%의 찬성에 그쳐 2/3를 넘기지 못함으로써 부결되었다. 그러나 당권을 쥐고 있던 측에서는 개방형 경선제에 대한 미련을 버리지 못하고 ‘민중경선제’라는 이름으로 다시 이를 관철시키려고 했으나 최종적으로 중앙위에서 승인을 얻지 못하고 폐기되고 말았다. 결국 민주노동당이 자랑하는 진성당원에 의한 후보 선출이 고수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