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미래정치센터 블로그기자단 2기] "온라인을 뒤덮는 혐오, 이대로 괜찮은가?" 지건호 기자

온라인을 뒤덮는 혐오, 이대로 괜찮은가?

 

지난해 인터넷에서 가장 말이 많았던 것 중 하나는 바로 혐오문제일 것이다. 다음소프트의 2015 빅 데이터 키워드 조사 순위에서 ‘혐오’라는 단어가 173만 건으로 6위를 차지했다. 지난해에 유행했던 단어인 ‘수저론’이 29만회라는 것을 생각해볼 때 얼마나 큰 이슈였는지를 짐작할 수 있다. 많은 혐오문제가 있으나 본 기사에서는 여성혐오와 외국인혐오에 대해서 다뤄보고자 한다.

 

외국인을 잠재적 범죄자로 취급하는 제노포비아

 

현재 청년들 사이에서 외국인 혐오는 빠르게 퍼져나가고 있다. 현재 대학교를 다니고 있는 A씨는 국내 거주 외국인과 범죄와의 연관성에 대한 질문에 ‘우리나라 내에 현재 체류 외국인은 상당히 많은 상태이며 이들은 각종 범죄들과 밀접한 연관성을 가지고 있다고 생각한다’ 고 말했다. ‘이슬람과 중국인들이 문제’ 라고 덧붙이며 이들을 대상으로 조치가 취해져야 한다고 답했다. 외국인을 지칭하는 단어를 쓰는 것이 있냐는 질문에는 ‘짱깨, 쪽바리, 알라깔라’ 등의 단어를 자주 쓴다고 답했다.
인터뷰 사례에서 보듯이 외국인을 비하하는 단어로 그들을 지칭하고, 또 그들을 범죄와 관련이 있는 집단으로 보는 시각이 존재함을 알 수 있다. 이는 비단 한 개인의 생각이 아니라 하나의 현상이 되었다. 이런 상황을 극명하게 볼 수 있는 예는 지난 12월 이자스민 의원이 국회 본회의장 내에서 위법행위인 취식을 하며 모바일 게임을 했다는 사실이 보도되었을 때이다. 당시 댓글에는 행위에 대한 질타보다는 내용에 인신비방이 쏟아졌고, 인종차별적인 욕설들이 난무했다.

 

 

▲ JTBC 썰전 방송 중 이자스민 의원에 대한 인종차별적

댓글 모음. 더욱 심한 욕설들이 댓글창을 메우고 있다.

 

특히 이러한 외국인 혐오는 최근 IS가 자행한 파리 테러를 기점으로 확산되기 시작하였다. IS 관련 기사 댓글에서는 테러리스트인 무슬림들을 모두 추방하라는 내용이 지배적이었고, 최근 익산의 할랄 단지와 관련해서는 IS가 한국으로 들어와서 테러리스트의 거점이 되고, 100만 무슬림이 들어와서 나라가 위험해진다는 등의 괴소문이 SNS를 통해서 떠돌고 있다.

 

김치녀 등으로 대표되는 여성혐오

 

여성 혐오 역시 심각한 수준에 있다. 남성 혐오가 2015년 6월을 기점으로 시작한 것에 반해 여성 혐오는 상당히 오래 전부터 시작되었음이 확인되었다. 2000년대 중반에 명품백과 스타벅스로 대표되는 된장녀라는 단어가 2010년대에 들어오면서 한국 여자 전체를 비하하는 김치녀라는 단어로 바뀌게 되었다.

 

여성혐오/여성비하는 다양한 형태로 등장한다. 대표적인 형태가 운전 못하는 여성을 지칭하는 ‘김여사’ 란 단어나, 몇몇 육아 주부들을 대상으로 한 ‘맘충’과 같은 단어들이 그러하다. 이 단어들은 이미 널리 쓰이는 단어가 되었고, 그만큼 여성혐오까지는 아니더라도 은연중에 여성을 비하하는 인식이 퍼져있다고 할 수 있다.

 
이를 넘어서 삼일한(여자는 삼일에 한 대 씩 맞아야 한다)나 보슬아치(여성의 성기 비하 + 벼슬아치 – 여성인 것이 벼슬인 냥 행동한다는 뜻)등의 폭력적이고 원색적인 표현으로 혐오문제를 표출하기 시작하였고, 여성을 성적 대상으로 희화화하거나 성매매가 세계 1위라는 표현을 서슴없이 쓰며 혐오감을 드러내고 있는 것이 현재의 실태이다.

 

▲ 여성혐오글이 매일 베스트 추천에 올라가고 있다.

 

혐오의 원인과 극복

 

여성혐오나 외국인 혐오에는 한 가지 공통점을 가지고 있다. 바로 그 대상인 여성과 외국인이 사회적 약자라는 것이다. 사회가 혼란하거나 경제적으로 큰 위기가 왔을 때, 사람들은 분노를 느끼게 되고, 이에 대한 표출 대상으로 사회적 약자를 고른다는 것이다. 이나영 중앙대 사회학과 교수는 주간조선과 한 인터뷰에서 “불안하고 불확실한 사회에서는 사회적 약자들이 다른 약자를 공격하며 위안을 찾는 경우가 있다”고 말했다. 실제로 대공황이 있었던 1930년대에 외국인 혐오가 나타났던 것과, 2008년에 이어 2015년에 실업률이 25%에 달하며 일어났던 제노포비아가 나타났던 남아공이 그 예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현재 청년들은 사회로부터 끊임없이 압박을 받고 있다. 대학에 가고 스펙을 쌓을 것을 종용당하고, 삼포세대로 불릴 만큼 많은 것들을 포기하게 만든다. 이러한 사회적 압박 속에서 그들은 헬조선, 노오력이라는 단어를 만들어내며 자신들을 비하하였고, 나아가서 분노를 다른 사람들에게 돌리게 된 것이다.

 

위에서도 언급되었듯이 혐오문제는 단순한 개인의 문제가 아닌 사회적인 문제로 심화되었고, 이미 심각한 상태에 이르러있다. 이것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이 문제에 대해서 많은 논의를 하고, 사회적인 차원에서의 해결책을 강구해야 할 것이다.

 

 

 

 

 

sns신고
 


출처: http://www.justicei.or.kr/537?category=671202 [정의정책연구소]
참여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