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의당 혁신안 초안을 읽고 (4)
- 2020-08-08 20:47:44
- 조회 1445
---------------------------------------
정의당 혁신안 초안을 읽고 (1)
http://www.justice21.org/133523
정의당 혁신안 초안을 읽고 (2)
http://www.justice21.org/133497
정의당 혁신안 초안을 읽고 (3)
http://www.justice21.org/133537
---------------------------------------
전 PC함을 뽐내려 여기저기 시비 걸고 다니고, 사사건건 가르치려 들며 사방에 적만 늘리고 있는 정의당에 꼭 필요하지만 당이 꾸준히 놓치고 있고, 심지어 혁신위도 캐치하지 못하고 있는 개념이 '사용자 경험'이라고 생각합니다.
물론 이건 정의당만의 문제는 아닙니다. 이건 정치 영역에선 거의 다뤄지지 않고 주로 기업이 시장 경쟁에서 살아남기 위해 신경쓰는 개념이라 자한당도 민주당도 이 부분을 크게 신경 쓰지 않고 있기는 매한가지니까요. 전 그래서 정의당이 이에 집중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기업들은 시장에서 살아남기 위해 사용자 경험을 개선하는데 사활을 걸고 있고, 그래서 우리 모두는 개선된 사용자 경험을 누리는 데 익숙해져 있는데 한국 정치가 유권자에게 선사하고 있는 사용자 경험은 최악이기 때문입니다.
전 한국 정치가 정치가 아닌 스포츠처럼 운영되고 소비되고 있다고 생각합니다. 거의 주 단위로 새로운 이슈를 주제로 한 새로운 '경기'가 벌어지고, 보수와 진보의 '선수'들은 그 때마다 몸 담고 있는 '진영의 승리'를 위해 대립하고, 말과 글을 가진 자들은 그 광경에 당위와 서사를 부여하며 이 종목의 흥행과 각자 응원하는 진영의 승리를 유도하고, 그 프레임으로 중계를 보는 이들은 각자 응원할 팀을 정해 그 팀이 이번 라운드에서 이기길, 그래서 지선, 총선, 대선에서 더 많은 표를 받아 트로피를 들어올리길 기원하고, 그 중 열정적인 팬들은 이를 위해 적극적으로 내로남불식 서포팅도 불사하는 모습 모두 리그 단위로 운영되는 어떤 스포츠 종목과 비교해도 별 다를바가 없습니다.
한국 사회에 만연한 정치 혐오는 그 때문일 것입니다. 원래 정치가 대변해야 할 국민들의 요구는 그 과정에서 뒷전으로 밀리거나, 언급되더라도 어떤 라운드의 싸움 소재로, 겉핥기 수준에서 소비된 후 다음 라운드가 시작되면 버려지니까요. 정권이 바뀌고도 정치가 작동하는 이런 방식 자체가 변하지 않으니 그런 정치에 국민들이 화를 내는 건 당연한 일일 겁니다. 그러나 정말 국민들이 정치를 혐오만 하고, 정치권에 아무것도 바라는 게 없을까요?
그렇지 않다고, 활성화된 청와대 청원 게시판을 볼 때 마다 생각합니다. 전 너무 신기합니다. 왕이 하명하면 문제가 해결되던 왕조 시대도 아닌데 20만명의 동의를 얻어야 겨우 청와대의 '답변'을 받을 수 있을 뿐인 플랫폼이 그렇게 활성화 된다는 게 말이죠. 그런데 달리 생각해보면 그만큼이나 기존 정당들이 국민들의 요구를 대변하지 못하고 있다는 방증이기도 할 겁니다. 그렇다면, 정의당이 스포츠처럼 작동하는 정치에 뒷전으로 밀려난 국민들의 요구를 대변하는, 청와대 청원 게시판을 대체할 수 있는 정당이 된다면 어떨까요?
플랫폼을 만들든, 지역위를 적극 활용해서든, 국민들이 생활에서 마주하는, 정치권에서 해결해줬으면 하고 바라는 구체적인 요구를 수집하고, 단순히 답변하는 수준을 넘어 그 요구를 진보정당의 정책으로 만들어가는 과정을 끊임없이 요구자와 공유하며 결과물을 만들어 낸 다음 원내 의원들을 활용해 발의 시도까지 하는 식으로 정치에 대한, 또 정의당에 대한 국민들의 사용자 경험을 개선하는 일에 앞장서서 성과를 올릴 수 있다면 그간 정의당을 괴롭히던 여러가지 문제들을 해결할 수 있을 겁니다.
먼저 정의당이 소수정당이라 설사 위와 같은 과정을 거쳐 발의 시도한 법안이 당장 통과되진 못하더라도, 그 과정을 통해 요구자를 정의당의, 못해도 내 요구가 반영된 법안의 지지자로 만들 수는 있을 겁니다. 이는 그간 무슨 사이비 종교 집단 마냥 '우리에게 투표하면 세상을 더 좋게 만들어드리겠습니다. 믿습니까' 만 외치며 지지자를 모으려 했던 것 보다 훨씬 구체적이고 직관적으로 지지자를 모을 수 있는 방식이니 한계에 부딪힌 당의 성장에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고
위와 같은 과정을 반복하며 정치는 스포츠처럼 소비할 게 아니라 이렇게, 당신 삶의 문제를 해결할 무기처럼 사용할 수도 있는 것이라는 인식을 심어줄만한 사례를 꾸준히 쌓아가면 선거철만 되면 정의당을 괴롭히는 '정의당 찍으면 자한당 된다'에서 어느 정도 자유로워 질 수도 있을 겁니다. 그건 내 문제는 빠진 채 진보와 보수의 대결 구도'만' 있는, 정치가 스포츠처럼 작동하는 프레임안에서나 힘이 센 말이니까요.
그러나 이러한 시도를 위해서는 선결 과제들이 있습니다. 하나는 당직자들의 충분한 충원과 이들을 위한 적절한 보상 체계가 필요하다는 것입니다. 제가 직접 당에서 보수를 받고 일해 본 적은 없기에 자세히는 모르지만 그간 옆에서 지켜보고 전해들은 바로는, 정의당은 정의당이 비판하는, 사람 갈아넣으며 열정 페이나 주는 악덕 기업과 비슷한 측면이 있습니다. 그러니까 비례 후보 선거만 끝나면 앞 순위를 받지 못한 캠프 관계자들에게서 '그간 우리 후보가 당을 위해 얼마나 헌신했는데..' 같은 얘기가 나오는 거겠죠. 제가 위에서 제안한 사항은 말이 쉽지 실행하려면 굉장히 힘든 일일텐데, 지금까지처럼 당의 열악한 상황을 핑계대며, 열성적인 당원들을 갈아 넣는 식으로는 이런 사업은 시도도 못할 겁니다.
그래서 전 지금은 당비를 인하할 때가 아니라, 당비를 인상해서라도 좋은 인력들을 당으로 끌어들이고 그들이 제대로 일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들어줄 필요가 있다고 생각합니다. 뭐만 제안하면 '그런 걸 실행하기엔 당 상황이 열악해서 어려울 것 같다'는 답변이 돌아오고, 선거 시즌만 되면 특별 당비 모금 문자를 보내는 당에 달에 만원씩 내는 것 보다 제대로 일하는 당에 달에 삼만원씩 내는 게 좀 덜 아까울 것 같거든요.
다른 하나는 당원에게 제공하는 사용자 경험도 개선할 필요가 있다는 겁니다. 정의당이 기업이라면 당원은 굳이 그럴 필요가 없음에도 불구하고 다달이 만원씩 내며 정의당을 후원하는 충성 고객입니다. 그러나 기업이라면 온갖 혜택을 제공할 그런 충성 고객을 정의당은 어떻게 대합니까? 앞선 글에서 지적한 것 처럼 꽉막힌 소통 구조를 유지하며 생각이 다르면 나가라 하고, 선거 시즌에 쏟아지는 전화, 문자 폭탄에 피로감을 호소하며 탈당하겠다는 당원들이 나와도 '그런 당원들이 나가는 건 어쩔 수 없다'고만 하며 충성 고객을 정의당 안티로 양성하는 데 최선을 다합니다. 실제로 정의당을 탈당한 이들은 정의당의 적극적인 안티가 되죠.
이런 문제를 지적하고 내 의사를 당에 반영해 달라고 요구하면 항상 대의제의 한계를 이야기 하며 핑계를 대지만 사실 정의당의 대의제는 선거 과정에서부터 문제가 있습니다. 아시다시피 우리는 당직 선거 때 대표, 부대표, 전국 위원, 대의원을 한꺼번에 뽑습니다. 이 중 주요 관심사가 되는 건 대표와 부대표 선거고 이 자리에 출마하는 후보도 굉장히 많죠. 생업을 병행하면서는 선거 기간 내내 최선을 다해 당직 선거에 관심을 가져도 대표, 부대표의 공약과 의견을 전부 확인하고 표를 줄 후보를 정하는 것만으로도 시간이 빠듯합니다.
결국 전국 위원이나 대의원은 투표 당일, 선거창을 열었을 때 스윽 보고 대충 뽑는 경향이 짙을 수 밖에 없습니다. 당직 선거 후보 홍보 방식 개선 방안 공청회에 참여했을 때 들었던 것 처럼 그게 당원들의 피로감을 높이는 행동이건 말건 전화 한번 더하고, 문자 한번 더한 후보가 당선 확률이 높다는 건 아마 그 때문이겠죠. 그렇게 투표하기 때문에 그렇게라도 이름 한번 더 들어본 후보에게 표를 줄 가능성이 더 높을 테니까요. 과연 이런식으로 선출한 후보들이 정말 당원들의 의사를 대의할 수 있을까요? 아닐겁니다.혁신은 이런 부분에서 이뤄져야 할텐데 이런 선출 방식에서 오는 한계를 혁신하겠다는 얘기는 없고 전국 위원회 권한을 대의원에게 일부 이양하고 이런식의 대의제의 업그레이드 버전인 중앙운영위원회를 신설하겠다는 내용만 있는 혁신안을 봤을 때, 이게 뭐하자는건가 싶었습니다.
그렇다면 그나마 신경써서 투표한 당대표, 부대표에게 의사 결정권을 2년간 모두 위임하고, 마음에 안드는 게 있으면 2년뒤 투표로 평가하라는 방식은 문제가 없을까요? 그렇지 않습니다. 대표, 부대표 선거때 후보들은 본인들의 당선에 유리할 것들만 얘기하지 불리할 것들은 얘기하지 않습니다. 즉 당직선거 기간에 이 사람이 앞으로 2년간 닥칠 이슈에 대해어떻게 반응할지 전부 예측하는 건 불가능한데, 그런 상황에서 행사한 표의 댓가로 2년간 당에 중요한 의사결정이 필요한 순간에도 조용히 있으라고 하는 건 당원들에게 너무 나쁜 사용자 경험을 제공하는 일입니다.
그런데 혁신위에서 집단 지도 체제 도입이나 논의하고 있다는 게 너무 답답합니다. 집단 지도 체제 도입이 이런 사용자 경험을 개선할 수 있나요? 지금 혁신위에서 논의되어야 할 건 정파의 의견을 좀 더 많이 당론에 반영하기 위한 지도 체제 변경이 아니고, 당에 정파같은 게 있는지도 모르는 당원들의 의견을 어떻게 당론에 더 잘 반영할 수 있도록 하는 직접 민주주의 확대 방안이어야 합니다. 그렇게 해야만 당에 들어온 이들이 몇년 뒤 당의 안티가 되어 탈당 하는 걸 막을 수 있을테고, 우리가 대중들에게 다가가 지지자를 늘리는 것이 의미가 있을 것이고 이 지긋지긋한 지지율 제자리걸음에서 벗어날 수 있을테니까요.
그래야 집권할 수 있지 않겟습니까. 전 자신의 옳음에 지나친 확신을 가지고, 그래서 사사건건 가르치려 들며, 여기 저기 시비 걸고 다니는 모습을 보고 있으면 정의당은 집권을 포기한 정당 같단 생각을 자주 합니다. 우리 그러지 맙시다. 당원과 유권자에게 정치에, 정의당에 대한 좀 더 좋은 사용자 경험을 제공하고, 지지를 얻고 그걸 쌓아나가 집권에 도전합시다. 그래서 말로만 좋은 세상을 얘기하는 정당이 아니라 하루라도 빨리 직접 세상을 좋게 만들어나가는 정당이 됩시다. 여기까지가 혁신안 초안을 읽고, 제가 말하고 싶었던 것들입니다.
쓰면서 이거 쓴다고 뭐가 바뀌기나 할까 하는 현타가 자주 와서 완성까지 생각보다 오래 걸렸네요. 부디 여지껏 시간 투자해 읽어주신 분들께 좋은 영감을 전해준 글이었길 바랍니다. 또 이렇게 글로 정리한 시간이 없을 뿐 저처럼 정의당에 하고 싶은 말이 가득한 분들이 많을 거라 생각합니다. 8월 9일 일요일 오후 세시 정의당 중앙당 당사에서의 평당원 모임은 그래서 준비했습니다. 벌써 내일이네요. 부디 많이들 오셔서 여러분들이 품고 있는 생각, 거리낌없이 나눠주셨으면 좋겠습니다. 긴 글 지금까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일요일에 뵙겠습니다
전 PC함을 뽐내려 여기저기 시비 걸고 다니고, 사사건건 가르치려 들며 사방에 적만 늘리고 있는 정의당에 꼭 필요하지만 당이 꾸준히 놓치고 있고, 심지어 혁신위도 캐치하지 못하고 있는 개념이 '사용자 경험'이라고 생각합니다.
물론 이건 정의당만의 문제는 아닙니다. 이건 정치 영역에선 거의 다뤄지지 않고 주로 기업이 시장 경쟁에서 살아남기 위해 신경쓰는 개념이라 자한당도 민주당도 이 부분을 크게 신경 쓰지 않고 있기는 매한가지니까요. 전 그래서 정의당이 이에 집중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기업들은 시장에서 살아남기 위해 사용자 경험을 개선하는데 사활을 걸고 있고, 그래서 우리 모두는 개선된 사용자 경험을 누리는 데 익숙해져 있는데 한국 정치가 유권자에게 선사하고 있는 사용자 경험은 최악이기 때문입니다.
전 한국 정치가 정치가 아닌 스포츠처럼 운영되고 소비되고 있다고 생각합니다. 거의 주 단위로 새로운 이슈를 주제로 한 새로운 '경기'가 벌어지고, 보수와 진보의 '선수'들은 그 때마다 몸 담고 있는 '진영의 승리'를 위해 대립하고, 말과 글을 가진 자들은 그 광경에 당위와 서사를 부여하며 이 종목의 흥행과 각자 응원하는 진영의 승리를 유도하고, 그 프레임으로 중계를 보는 이들은 각자 응원할 팀을 정해 그 팀이 이번 라운드에서 이기길, 그래서 지선, 총선, 대선에서 더 많은 표를 받아 트로피를 들어올리길 기원하고, 그 중 열정적인 팬들은 이를 위해 적극적으로 내로남불식 서포팅도 불사하는 모습 모두 리그 단위로 운영되는 어떤 스포츠 종목과 비교해도 별 다를바가 없습니다.
한국 사회에 만연한 정치 혐오는 그 때문일 것입니다. 원래 정치가 대변해야 할 국민들의 요구는 그 과정에서 뒷전으로 밀리거나, 언급되더라도 어떤 라운드의 싸움 소재로, 겉핥기 수준에서 소비된 후 다음 라운드가 시작되면 버려지니까요. 정권이 바뀌고도 정치가 작동하는 이런 방식 자체가 변하지 않으니 그런 정치에 국민들이 화를 내는 건 당연한 일일 겁니다. 그러나 정말 국민들이 정치를 혐오만 하고, 정치권에 아무것도 바라는 게 없을까요?
그렇지 않다고, 활성화된 청와대 청원 게시판을 볼 때 마다 생각합니다. 전 너무 신기합니다. 왕이 하명하면 문제가 해결되던 왕조 시대도 아닌데 20만명의 동의를 얻어야 겨우 청와대의 '답변'을 받을 수 있을 뿐인 플랫폼이 그렇게 활성화 된다는 게 말이죠. 그런데 달리 생각해보면 그만큼이나 기존 정당들이 국민들의 요구를 대변하지 못하고 있다는 방증이기도 할 겁니다. 그렇다면, 정의당이 스포츠처럼 작동하는 정치에 뒷전으로 밀려난 국민들의 요구를 대변하는, 청와대 청원 게시판을 대체할 수 있는 정당이 된다면 어떨까요?
플랫폼을 만들든, 지역위를 적극 활용해서든, 국민들이 생활에서 마주하는, 정치권에서 해결해줬으면 하고 바라는 구체적인 요구를 수집하고, 단순히 답변하는 수준을 넘어 그 요구를 진보정당의 정책으로 만들어가는 과정을 끊임없이 요구자와 공유하며 결과물을 만들어 낸 다음 원내 의원들을 활용해 발의 시도까지 하는 식으로 정치에 대한, 또 정의당에 대한 국민들의 사용자 경험을 개선하는 일에 앞장서서 성과를 올릴 수 있다면 그간 정의당을 괴롭히던 여러가지 문제들을 해결할 수 있을 겁니다.
먼저 정의당이 소수정당이라 설사 위와 같은 과정을 거쳐 발의 시도한 법안이 당장 통과되진 못하더라도, 그 과정을 통해 요구자를 정의당의, 못해도 내 요구가 반영된 법안의 지지자로 만들 수는 있을 겁니다. 이는 그간 무슨 사이비 종교 집단 마냥 '우리에게 투표하면 세상을 더 좋게 만들어드리겠습니다. 믿습니까' 만 외치며 지지자를 모으려 했던 것 보다 훨씬 구체적이고 직관적으로 지지자를 모을 수 있는 방식이니 한계에 부딪힌 당의 성장에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고
위와 같은 과정을 반복하며 정치는 스포츠처럼 소비할 게 아니라 이렇게, 당신 삶의 문제를 해결할 무기처럼 사용할 수도 있는 것이라는 인식을 심어줄만한 사례를 꾸준히 쌓아가면 선거철만 되면 정의당을 괴롭히는 '정의당 찍으면 자한당 된다'에서 어느 정도 자유로워 질 수도 있을 겁니다. 그건 내 문제는 빠진 채 진보와 보수의 대결 구도'만' 있는, 정치가 스포츠처럼 작동하는 프레임안에서나 힘이 센 말이니까요.
그러나 이러한 시도를 위해서는 선결 과제들이 있습니다. 하나는 당직자들의 충분한 충원과 이들을 위한 적절한 보상 체계가 필요하다는 것입니다. 제가 직접 당에서 보수를 받고 일해 본 적은 없기에 자세히는 모르지만 그간 옆에서 지켜보고 전해들은 바로는, 정의당은 정의당이 비판하는, 사람 갈아넣으며 열정 페이나 주는 악덕 기업과 비슷한 측면이 있습니다. 그러니까 비례 후보 선거만 끝나면 앞 순위를 받지 못한 캠프 관계자들에게서 '그간 우리 후보가 당을 위해 얼마나 헌신했는데..' 같은 얘기가 나오는 거겠죠. 제가 위에서 제안한 사항은 말이 쉽지 실행하려면 굉장히 힘든 일일텐데, 지금까지처럼 당의 열악한 상황을 핑계대며, 열성적인 당원들을 갈아 넣는 식으로는 이런 사업은 시도도 못할 겁니다.
그래서 전 지금은 당비를 인하할 때가 아니라, 당비를 인상해서라도 좋은 인력들을 당으로 끌어들이고 그들이 제대로 일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들어줄 필요가 있다고 생각합니다. 뭐만 제안하면 '그런 걸 실행하기엔 당 상황이 열악해서 어려울 것 같다'는 답변이 돌아오고, 선거 시즌만 되면 특별 당비 모금 문자를 보내는 당에 달에 만원씩 내는 것 보다 제대로 일하는 당에 달에 삼만원씩 내는 게 좀 덜 아까울 것 같거든요.
다른 하나는 당원에게 제공하는 사용자 경험도 개선할 필요가 있다는 겁니다. 정의당이 기업이라면 당원은 굳이 그럴 필요가 없음에도 불구하고 다달이 만원씩 내며 정의당을 후원하는 충성 고객입니다. 그러나 기업이라면 온갖 혜택을 제공할 그런 충성 고객을 정의당은 어떻게 대합니까? 앞선 글에서 지적한 것 처럼 꽉막힌 소통 구조를 유지하며 생각이 다르면 나가라 하고, 선거 시즌에 쏟아지는 전화, 문자 폭탄에 피로감을 호소하며 탈당하겠다는 당원들이 나와도 '그런 당원들이 나가는 건 어쩔 수 없다'고만 하며 충성 고객을 정의당 안티로 양성하는 데 최선을 다합니다. 실제로 정의당을 탈당한 이들은 정의당의 적극적인 안티가 되죠.
이런 문제를 지적하고 내 의사를 당에 반영해 달라고 요구하면 항상 대의제의 한계를 이야기 하며 핑계를 대지만 사실 정의당의 대의제는 선거 과정에서부터 문제가 있습니다. 아시다시피 우리는 당직 선거 때 대표, 부대표, 전국 위원, 대의원을 한꺼번에 뽑습니다. 이 중 주요 관심사가 되는 건 대표와 부대표 선거고 이 자리에 출마하는 후보도 굉장히 많죠. 생업을 병행하면서는 선거 기간 내내 최선을 다해 당직 선거에 관심을 가져도 대표, 부대표의 공약과 의견을 전부 확인하고 표를 줄 후보를 정하는 것만으로도 시간이 빠듯합니다.
결국 전국 위원이나 대의원은 투표 당일, 선거창을 열었을 때 스윽 보고 대충 뽑는 경향이 짙을 수 밖에 없습니다. 당직 선거 후보 홍보 방식 개선 방안 공청회에 참여했을 때 들었던 것 처럼 그게 당원들의 피로감을 높이는 행동이건 말건 전화 한번 더하고, 문자 한번 더한 후보가 당선 확률이 높다는 건 아마 그 때문이겠죠. 그렇게 투표하기 때문에 그렇게라도 이름 한번 더 들어본 후보에게 표를 줄 가능성이 더 높을 테니까요. 과연 이런식으로 선출한 후보들이 정말 당원들의 의사를 대의할 수 있을까요? 아닐겁니다.혁신은 이런 부분에서 이뤄져야 할텐데 이런 선출 방식에서 오는 한계를 혁신하겠다는 얘기는 없고 전국 위원회 권한을 대의원에게 일부 이양하고 이런식의 대의제의 업그레이드 버전인 중앙운영위원회를 신설하겠다는 내용만 있는 혁신안을 봤을 때, 이게 뭐하자는건가 싶었습니다.
그렇다면 그나마 신경써서 투표한 당대표, 부대표에게 의사 결정권을 2년간 모두 위임하고, 마음에 안드는 게 있으면 2년뒤 투표로 평가하라는 방식은 문제가 없을까요? 그렇지 않습니다. 대표, 부대표 선거때 후보들은 본인들의 당선에 유리할 것들만 얘기하지 불리할 것들은 얘기하지 않습니다. 즉 당직선거 기간에 이 사람이 앞으로 2년간 닥칠 이슈에 대해어떻게 반응할지 전부 예측하는 건 불가능한데, 그런 상황에서 행사한 표의 댓가로 2년간 당에 중요한 의사결정이 필요한 순간에도 조용히 있으라고 하는 건 당원들에게 너무 나쁜 사용자 경험을 제공하는 일입니다.
그런데 혁신위에서 집단 지도 체제 도입이나 논의하고 있다는 게 너무 답답합니다. 집단 지도 체제 도입이 이런 사용자 경험을 개선할 수 있나요? 지금 혁신위에서 논의되어야 할 건 정파의 의견을 좀 더 많이 당론에 반영하기 위한 지도 체제 변경이 아니고, 당에 정파같은 게 있는지도 모르는 당원들의 의견을 어떻게 당론에 더 잘 반영할 수 있도록 하는 직접 민주주의 확대 방안이어야 합니다. 그렇게 해야만 당에 들어온 이들이 몇년 뒤 당의 안티가 되어 탈당 하는 걸 막을 수 있을테고, 우리가 대중들에게 다가가 지지자를 늘리는 것이 의미가 있을 것이고 이 지긋지긋한 지지율 제자리걸음에서 벗어날 수 있을테니까요.
그래야 집권할 수 있지 않겟습니까. 전 자신의 옳음에 지나친 확신을 가지고, 그래서 사사건건 가르치려 들며, 여기 저기 시비 걸고 다니는 모습을 보고 있으면 정의당은 집권을 포기한 정당 같단 생각을 자주 합니다. 우리 그러지 맙시다. 당원과 유권자에게 정치에, 정의당에 대한 좀 더 좋은 사용자 경험을 제공하고, 지지를 얻고 그걸 쌓아나가 집권에 도전합시다. 그래서 말로만 좋은 세상을 얘기하는 정당이 아니라 하루라도 빨리 직접 세상을 좋게 만들어나가는 정당이 됩시다. 여기까지가 혁신안 초안을 읽고, 제가 말하고 싶었던 것들입니다.
쓰면서 이거 쓴다고 뭐가 바뀌기나 할까 하는 현타가 자주 와서 완성까지 생각보다 오래 걸렸네요. 부디 여지껏 시간 투자해 읽어주신 분들께 좋은 영감을 전해준 글이었길 바랍니다. 또 이렇게 글로 정리한 시간이 없을 뿐 저처럼 정의당에 하고 싶은 말이 가득한 분들이 많을 거라 생각합니다. 8월 9일 일요일 오후 세시 정의당 중앙당 당사에서의 평당원 모임은 그래서 준비했습니다. 벌써 내일이네요. 부디 많이들 오셔서 여러분들이 품고 있는 생각, 거리낌없이 나눠주셨으면 좋겠습니다. 긴 글 지금까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일요일에 뵙겠습니다